• 제목/요약/키워드: 겉뿌림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8초

겉뿌림 및 다른 파종방법들이 Alfalfa의 생육과 수량 및 조단백질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Oversowing and Other Seeding Methods on Growth , Yield and Crude Protein Yield of Alfalfa ( Medicago sativa L. ))

  • 이종경;서성;김하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4-89
    • /
    • 1991
  • 본 시험은 alfalfa파종시 겉뿌림 및 다른 파종방법들이 alfalfa의 생육. 건물수량.조단백질 생산량 및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겉뿌림, 겉뿌림+갈퀴질, 겉뿌림+갈퀴질+쇄압, 경운+산파+쇄압 및 경운+조파+쇄 등 5개 처매구를 두고, 1988년 9월부터 1989년 10월까지 축산시험장 초지시험포에서 수행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경운방법으로 6개월후에 토양산도와 토양의 매화학적 특성은 개선되었다. 2 알팔파의 정착개체수는 갈퀴질이나 쇄압으로 증가하였으며, 겉뿌림보다 경운시 크게 증가 하였다 (P<0.05). 3. 1차 이용시 잡초솔은 갈퀴질이나 쇄압으로 감소하였으며, 겉뿌림보다 경운시 크게 감소하였다. 2차 이용시 잡초솔은 전 시험구에서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3차와 4차 이용시 잡초솔은 점차 증가하였다. 4 .알팔파의 건물수량은 갈퀴질이나 쇄압으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겉뿌림보다 경운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고(P<0.05), 경운 산파시 가장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5. 2차 이용시 조단백질 생산량은 쇄압으로 증가 하였고, 겉뿌림보다 경운시 크게 증가하였다(p

  • PDF

제초제에 의한 초지개량시험 III. Glyphsate 살포후의 관목제거간격이 겉뿌림 목초의 정착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asture Improvement with Herbicides III. Effect of different cutting intervals of shrubs after glyphosate application on establishment and teild of surface-sown pasture species)

  • 김동암;권찬호;서성;이무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
    • /
    • 1986
  • 본 시험은 경운(耕耘)이 불가능한 산지(山地)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초지개량시험(草地改良試驗)의 일환으로서 ha당 2.9kga,i의 Glyphosate를 철포(撤布)한 후(後)에 선점관목(先占灌木)을 그대로 방치한 것과 또 살포후 관목을 10, 20, 30, 40일 간격으로 예취제거(刈取除去)하였을 때 이러한 처리가 겉뿌림한 오차드그라스 및 라디노클로버 유식물(幼植物)의 정착(定着)과 생육(生育)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83{\sim}1984$년에 실시되었다. Glyphosate살포후 기존관목에 대한 다른 예취간격은 겉뿌림 목초(牧草)의 정착(定着), 유식물(幼植物)의 활력(活力), 건물수량(乾物收量) 및 개량초지(改良草地) 식생비율(植生比率)는 하둥의 상이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本) 시험결과(試驗結果)에 의하면 목초(牧草)의 겉뿌림을 위한 기존(旣存) 관목(灌木)의 제거(除去)는 Glyphosate살포후 $10{\sim}40$일 사이에 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겉뿌린 산지초지의 초기 관리방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Early Grazing Management in the Oversown Mountainous Pasture)

  • 이인덕;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8-22
    • /
    • 1983
  • 겉뿌림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초기(初期) 관리방목(管理放牧)이 수량(收量) 및 식생(植生)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코저 초고(草高) 3수준, 방목강도 2수준을 두어 시험했던 바 초고(草高) 25cm일 때 10a 당(當) 10두(頭)의 한우성우(韓牛成牛)를 방목(放牧) 시킨 C처리(處理)가 단위면적당 목초(牧草)의 수량(收量)과 식생비율(植生比率)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結果)는 예취(刈取)나 기타 다른 방법(方法)으로 경제적으로 초기(初期) 관리(管理)가 어려운 지역(地域)을 개량(改良)해 나가는데 바람직할 뿐 아니라 가축에 의한 초기관리방목(初期管理放牧)은 겉뿌림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수량(收量)과 식생(植生)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方法)임을 제시하였다.

  • PDF

파종량과 파종상 처리방법이 겉뿌림한 목초의 정착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Rates and Seesbed Preparations on the Seedling Establishment and Yield of Surface-Sown Pasture Species)

  • Dong Am Kim;Sung Cheol Lee;Joung Kyong Lee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5-69
    • /
    • 1990
  • 본 시험은 파종량과 파종상 처리방법이 겉뿌림한 목초 유식물의 정착과 목초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화성군의 구릉산지에서 2년간에 걸쳐 수행되었다. 얻어진 결과에 따르면 orchardgrass의 정착은 ha 당 30-40kg 파종시보다 20kg 파종시에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ladino clover의 정착은 파종량간에 차이가 없었다. 파종상 처리방법으로서 레이키질과 화인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목초의 정착률을 유의적으로 향상시켰다. Orchardgrass의 정착율에 대하여는 레이키질 한것이 화입한 것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ladino clover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다. 목초의 파종량 증가는 겉뿌림 초지의 목초수량을 높여 주지 못하였으나, 파종상 처리방법으로서 레이키질과 무처리는 목초수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주었다. 본 시험결과에 따르면, 목초으 정착률에 있어서는 레이키질과 화입처리가 효과적이었고 수량에 있어서는 레이키질과 무처리가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었으나, 목초의 수량에 대해서는 ha 당 20kg 이상증량 파종량과 화입방법은 증수효과가 없었다.

  • PDF

산지초지 개량에 관한 연구 III. 종자 Coating에 의한 겉뿌림 초지육성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Mountainous Pasture III. Effect of seed coating on oversown pasture)

  • 이인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94-200
    • /
    • 1984
  • 종자(種子) coating이 겉뿌린 목초(牧草)의 정착개체수(定着個體數), 초기생육(初期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코저 60% lime, 20% Phosphate 및 20% peatmoss(w/w)의 증량피복재료(增量被覆材料)와 13% arabic gum및 2% methyl cellulose (w/v)를 접착제(接着劑)로 사용(사용)하여 종자(種子)와 피복재료(被覆材料)의 무게 44를 1 : 20(w/w)으로 coating하여 pot, soil box 및 field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종자(種子) coating은 겉뿌린 수준(水準)의 초기(初期) 생육(生育)을 촉진(促進)하였다(Table 2와 3). 2. 종자(種子) coating은 겉뿌린 목초(牧草)의 초기(初期) 정착개체수(定着個體數)를 15%정도 증가시켰고,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및 kentucky bluegrass의 정착개체수(定着個體數)를 증가시킨 반면 대립종(大粒種)의 tall fescue 및 소립종(小粒種)의 ladino clover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3. 종자(種子) coating은 겉뿌린 목초(牧草)의 식생비율(植生比率)을 증가시켰다. 4. 종자(種子) coating은 겉뿌림 초지(草地)의 조성당년(造成當年)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을 17%정도 증가시켰다(P<0.05). 5. 종자(種子) coating시(時) 증량피복물질(增量被覆物質)은 토양(土壤) 및 식물체(植物體)의 화학성분(化學成分)에 영향을 주었다(Table 8). 6. 환경조건이 불량(不良)한 지역(地域)에서의 겉뿌림 초지개량시(草地改良時) 종자(種子) coating은 관행적(慣行的)인 겉뿌림 방법보다 목초(牧草)의 정착개체수(定着個體數), 초기생육(初期生育) 및 수량(收量)을 증가시킬 수 있는 확실한 방법(方法)이라 할 수 있다.率)과의 관계를 주의깊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생산(生産)할 수 있다고 사료(思料)된다.향이 없었으나 골목 $m^3$당 접종량(接種量) 4.0kg구가 1.63g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보면 전호(前胡)의 용도별(用途別) 적정(適正) 재식거리(栽植距離)는 채소형(菜蔬型) $30\times20cm$, 약재형(藥材型) $60\times30cm$, 채소(菜蔬) 약재(藥材) 복합형(複合型) $45\times20cm$에서 지하부(地下部)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하면서 생엽(生葉) 및 건근(乾根) 수량(收量)이 증수(增收)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퇴비(堆肥) 등(等)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 시용(施用)이 효고적(效果的)이었다.DS-PAGE법(法)으로 단백질(蛋白質) 양상을 등숙시기별(等熟時期別)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두 계통간(系統間) 질적(質的)인 차이(差異)는 보이지 않았으나 시기별(時期別)로는 양적차이(量的差異)를 나타냈다.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다.($P{\leq}0.01%$). 5. NEL 및 starch value 환경온도(環境溫度)가 상승(上昇)됨에 따라 감소(減少)된다. 4 엽기(葉期) sorghum식물(植物)의 환경온도(環境溫度)를 달리 하였을 때 NEL가치(價値)는 각각(各各) 4.87MJ($30/25^{\circ}C$), 5.46MJ($25/20^{\circ}C$) 및 5.81MJ/kg($18/8^{\circ}C$)로 변(變)하여 고온(高溫)에서 net energy lactation 축적(蓄積)이 크게 감소(減少)되었다.다. 그러나 기온(氣溫)이 낮은 조건(條件)에서는 예취관리(刈取管理)에 따른 비구조성(非構造性) 탄수화물(炭水化物)의 함량변화(含量變化)

  • PDF

제초제에 의한 초지개량시험 II. Glyphsate 및 Paraquat의 사용량과 살포시기가 겉뿌림 초목의 정착 ,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asture Improvement with Herbicides II. Effects of rate and timing of glyphosate and paraquat application on esatblishment, production and quality of surface-sown pasture species)

  • 김동암;권찬호;임상훈;한왕범;김영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69-175
    • /
    • 1985
  • 본시험은 경운(耕耘)이 불가능한 산지(山地)를 경운(耕耘)을 하지 않고 초지화(草地化)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方法)을 구명(究明)할 목적으로 1983-1984년 사이에 수행되었다. 시험구의 처리로서는 제초제(除草劑)를 살포하지 않은 무처리구와 Glyphosate 및 Paraquat의 다른 양(量)을 목초파종(牧草播種) 30일, 445일 및 60일전에 살포하는 구를 두었다. 오차드그라스의 정착율(定着率)은 제초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라디노클로비의 정착율은 Glyphosate 및 Paraquat 제초제처리의 영향을 받았다. Glyphosate 및 Paraquat 제초제를 목초(牧草)를 파종하기 $30{\sim}60$일전에 살포했을 때 토양잔여해독(土壤殘餘害毒)이 나타나지 않았다. 제초제를 처리한 구에서의 목초(牧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비살포구에 비하여 유의적(有意的)으로 높았으며 가장 목초(牧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이 높은 구는 파종전 45일째 ha당 1.8kg의 Glyphosate를 살포한 구였다. 제 3 회 수확시 Glyphosate 처리구의 관목(灌木) 및 야초(野草)의 식생비율(植生比率)은 5%였으나 무처리구에서는 51%까지 남아 있었으며 사초(飼草)의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 및 IVDMD는 제초제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았다. 본시험결과 Glyphosate제초제는 Paraquat 제초제에 비하여 관목(灌木) 및 야초제거(野草除去)에 더 효과가 있었으며 겉뿌림 초지개량시 Glyphosate제초제를 ha당 유효성분량으로 $1.8{\sim}2.8kg$을 겉뿌림 $30{\sim}45$일전에 살포하는 것이 목초(牧草)의 정착(定着)과 건물수량증가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

산지초지 개량에 관한 연구 II. 임지의 선점식생이 겉뿌린 목초의 정착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Moutainous Pasture II. Effect of existing vegetation on establishment and herbage production of oversown grasses in forest)

  • 이인덕;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8-114
    • /
    • 1983
  • Lycopodium serratum이 우점된 곳에서는 심한 영향을 받았다. 선점식생(先占植生)에 따른 겉뿌림 초종(草種)의 반응은 시일(時日)이 경과함에 따라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및 Ladino clover와 같은 $2{\sim}3$개의 초종(草種)으로 식생(植生)이 단순화(單純化)되는 경향이었고 Orchardgrass가 우점종(優占種)이었다. 식생변화(植生變化)는 예취회수(刈取回數)에 따라 선점식생(先占植生)은 현저히 감소되었고 반면에 목초식생(牧草植生)은 급격히 증가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겉뿌림 임간초지조성시(林間草地造成時) 선점식생(先占植生)인 Miscanthus sinensis와 Festuca ovina가 우정된 곳의 초지(草地) 개량(改良)은 용이한 편이나, Lycopodium serratum 우점지는 지표처리(地表處理)없이 개량이 어렵다고 보며 개량방법(改良方法)도 낮은 잠재생산성(潛在生産性)에 적합(適合)해야 될 것으로 본다.

  • PDF

산지초지 개량에 관한 연구 I. 낙엽퇴적물이 겉뿌린 목초의 발아 , 정착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Mountainous Pasture I. Effect of the various litters on germination , establishment , and herbage production of oversown grasses)

  • 이인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5-40
    • /
    • 1983
  • 낙엽(落葉)퇴적물의 종류(種類)가 겉뿌린 초종(草種)의 발아(發芽), 정착(定着), 목초율(牧草率)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저 리기다 소나무, 굴참나무, 물오리나무 및 일본잎갈나무의 낙엽(落葉)을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etri dish 내(內)에서의 발아율(發芽率)은 낙엽종류(落葉種類) 및 초종(草種)에 따라 영향을 받았고, 특히 소나무 낙엽(落葉)침출액은 ladino clover와 timothy 같은 소립종(小粒種)의 발아(發芽)를 억제하였다. 2. Pot내(內)에서의 정착율(定着率)은 ladino clover와 timothy가 소나무 침출액(浸出液)에 의해 약간 감소되었을 뿐 기타 초종간(草種間)에는 상대적으로 감소 경향은 없었다. 3. 소립종(小粒種)인 ladino clover와 timothy 및 무거운 red clover는 낙엽간극내(落葉間隙內)에 종자(種子)가 쉽게 침투되어 정착율(定着率)이 높았다. 4. 일본잎갈나무의 퇴적층에서 모든 초종(草種)의 정착율(定着率)은 심하게 감소되었는데 이것은 수분(水分) 보존력(保存力)이 낮기 때문인 것으로 본다. 5. 초장(草長) 및 근장(根長)은 낙엽종류(落葉種類) 및 초종(草種)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었다. 6. 굴참나무 수림내(樹林內)에서 겉뿌림 목초(牧草)의 정착율(定着率)은 지표처리(地表處理)에 따라 화입(火入) 36%, 제경(蹄瓊) 46%, 갈퀴 37%, 및 무처리(無處理) 31%였다. 7. 목초율(牧草率)은 지표처리(地表處理)에 따라서 화입(火入) 57.8%, 제경(蹄耕) 70.9%, 갈퀴 59.6% 및 무처리(無處理) 54.0%였다. 8. 지표처리(地表處理)로써 제경(蹄耕)은 겉뿌림시(時) 기존식생(植生)을 억압할 뿐 아니라 토양(土壤)과 종자(種子)가 잘 밀착(密着)할 수 있어 효과가 컸다. 9.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제경처리(蹄耕處理)가 가장 높았으나(P<0.05) 다른 처리간(處理間)의 수량(收量) 차이(差異)는 크기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경사산지(傾斜山地) 및 임간지내(林間地內)에서의 겉뿌림 초지조성(草地造成)은 낙엽(落葉)퇴적물 위에 직접 겉뿌림하는 조성방법(造成方法)도 중요(重要)한 의미(意味)를 내포한다.

  • PDF

종자피복이 겉뿌림 목초의 정착과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 (Seed Coating Effect on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of Over Sown Pasture Species)

  • 김종관;권찬호;한건준;민두홍;김종덕;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1-66
    • /
    • 2000
  • 본 시험은 1998년 충남 성환에 있는 천원목장의 불경운초지 및 임간초지에 선점식생을 제거하지 않고 피복종자를 겉뿌림하였을 때 목초의 정착 및 초기생육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불경운초지에서 tall fescue 및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정착률 및 초기생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불경운에서 alfalfa 피복종자는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각각 4.7% 및 $4\;g/\textrm{m}^2$로 부처리에 비하여 높았다 (p<0.05). 한편 임간초지에서 tall fescue 피복종자의 정착률은 11.8%로 무처리의 0.3% 보다 높았으나 (p<0.05), 초기생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임간초지에서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처리간에 정착률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초기생육은 피복종자가 18.7%로 무처리의 0.3% 보다 높았다 (p<0.05). 임간초지에서 alfalfa 피복종자의 정착률은 무처리보다 높았다 (p<0.05).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tall fescue, orchardgrass 및 alfalfa 종자를 피복하여 불경운 초지 및 임간 초지에 겉뿌림시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개선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