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설청

Search Result 42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ultivation Management Map Using Drone - Focused on Spring Chinese Cabbage - (드론 기반의 재배관리 지도 제작 및 활용방안 - 봄배추를 대상으로 -)

  • Na, Sang-il;Lee, Yun-ho;Ryu, Jae-Hyun;Lee, Dong-ho;Shin, Hyoung-sub;Kim, Seo-jun;Cho, Jaeil;Park, Jong-hwa;Ahn, Ho-yong;So, Kyu-ho;Lee, Kyung-do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3
    • /
    • pp.637-648
    • /
    • 2021
  • In order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farming plan, it is important to preemptively evaluate crop changes and to provide precise inform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suitable for decision-making by farming stage through scientific and continuous monitoring using dron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the farming plan for ground vegetable. The cultivation management map of each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preliminary study. Three cultivation management maps include 'field emergence map', 'stress map' and 'productivity map' reflected spatial variation in the planta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in units of plants based on 3-dimensions. Application fields of the cultivation management map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etect miss-planted, replanting decision, fertilization, weeding, pest control, irrigation schedule, market quality evaluation, harvest schedule, etc.

Flood forecasting system of agricultural reservoirs based on the RAWRIS realtime data (RAWRIS 실측자료 기반 농업용저수지 홍수예측시스템)

  • Jaekyoung Noh;Jaenam Lee;Minseok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6-366
    • /
    • 2023
  • 우리나라 농촌 지역의 농업용저수지는 유역면적이 작고 홍수 도달시간이 짧아 홍수 대응에 어려움이 있으며, 대부분의 농업용저수지는 용수공급 목적으로 건설되어 홍수 대응능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농어촌공사는 수자원, 재난재해 등 농촌용수 관련된 다양한 정보의 통합관리를 위한RAWRIS(Rural Agricultur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을 운영하고 있으나, 소하천 및 농촌 지역의 홍수 피해 저감에 대한 관리와 노력은 도시 지역의 대하천 유역과 비교하여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과학적 재해관리를 위해 RAWRIS의 홍수량 산정기술을 개선하고, 저수지 홍수예경보에 필요한 기상청 초단기 강우예측자료의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농업용저수지 중 홍수배제시설인 레디얼게이트가 설치된 농업용저수지 30개소를 대상으로 해당 저수지의 수위계측 정보, 수문 방류 정보 등 저수지 홍수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농어촌공사가 운영 중인 RAWRIS의 홍수량 산정과정을 검토하여, 기존 RAWRIS에 CN값이 미설정된 저수지 유역의 CN값을 설정하였으며, 유역의 강우량 및 유효우량 산정 알고리즘 개선하고 저수지 유역별 강우-유출모형의 대표 매개변수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초단기 강우예측자료의 활용성 평가를 위해 기상청 강우예측자료와 저수지 유역의 면적평균강우를 비교하였으며, 예측 및 관측강우에 의한 홍수유입량을 산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RAWRIS 홍수량 산정기술의 개선 효과를 검토한 결과, 예당저수지의 경우에는 첨두유량백분율 오차가 최대 50 % 이상, 결정계수(R2)가 최대 0.6 이상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초단기 강우예측자료의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RAWRIS에 제공되는 기상청 강우예측자료와 관측강우자료을 비교한 결과, 초단기 예측강우자료는 정량적, 정성적 신뢰도의 문제가 있어, 농업용저수지 홍수예측시스템에 그대로 적용하는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duction or Importance Analysis for Pre-dispute Factors in the Constructions (건설공사 사전분쟁요인 도출 및 중요도 분석)

  • Park, Sung-Yong;Ko, Dae-Jun;Ha, Bong-Gyun;Yang, Jin-Kook;Lee, Sang-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505-508
    • /
    • 2008
  • It's hard to express a lot of information with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s as construction projects have gradually become large-size and complex. So, disputes are caused by that and reason that the usual practice(culture) of contract of the constructions in Korea is based on unfair rather than the fair principle between clients and contractors. However, the contractors don't try to solve this kind of things because they are worried about at their disadvantage situation. Therefore, this paper deduced the factors in the pre-dispute phase by analysing the cases of the civic counseling in the office of supply and the pre-dispute factors, and conduct analysis on the factors' importance by using AHP. The results will be used for a check-list to prevent the disputes.

  • PDF

Using the common-WBS based on the Construction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integration of Schedule and Cost information (공정-내역정보 연계를 위한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기반의 공통WBS 활용방안 -도로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 Yun, Seok-Heon;Kim, Seong-Si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6 no.6 s.28
    • /
    • pp.107-114
    • /
    • 2005
  • The time and cost is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Currently, a lot of studies have been done in order to clearly relate them with each other, but there have been some difficultie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government contract law, the construction project in Korea is managed by only cost and the time and cost information is distinctly separated. In order to manage all the major construction project information smoothly, the time and cost information should have relation with each other. This study suggest methods for relating the time and cost information, especially for road construction project of MOCT. Through the survey of construction field engineers and case study of the road construction project, several alternative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construction information are suggested in this study. These alternatives can support relating other construction information.

호주 노사관계에서의 한국계 이주노동자의 노동실태 - 건설산업 타일직종의 사례 -

  • Kim, Sam-Su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4 no.2
    • /
    • pp.309-346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호주에서 한국계 이주자가 다수 취업하고 있는 건설산업의 타일직종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계 이주노동자의 노동실태를 밝힌다. 건설현장의 사례조사를 통해 중층적 하청구조의 말단에 편성된 타일노동조직인 노무재하청업체의 작업방식 및 생산성관리, 숙련구분 및 임금결정, 임금수준 등 기타 노동조건을 구체적으로 규명한다. 그리고 이를 호주의 노사관계에서 제도화된 자영청부방식 및 자영청부공의 노동조건 등과 비교한다. 사례조사는 2006년도에 시드니지역 상업용 건축부문의 타일시공현장 두 곳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두 곳의 건축현장 모두 노조가 활동하는 현장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계 이주 타일노동자는 공식적인 노사관계제도가 적용되지 않는 무협약상태에 있다. 건설산업의 최저 노동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전국재정 마저도 적용되고 있지 않다. 그들이 공식적인 노사관계제도의 적용으로부터 배제된 근본적인 이유는 타일회사로부터 타일시공을 다시 하수급하는 한국계의 노무재하청업체(오야까따)에 고용되어 있기 때문이다. 타일회사나 빌더는 1990년대 후반부터 다수 유입되기 시작한 한국계 타일공을 이와 같은 노무 재하청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건설노조는 확대되는 노무재하청에 대해 한국계 타일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여권조사, 임시고용비자 및 타일청부면허 취득 캠페인 등의 활동을 통해 불법취업자의 사용을 금지하는 한편 한국의 타일기능공을 자영타일공으로 전환시켜 노사관계 질서를 세우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조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기업협약에 의해서 명문으로 금지되고 있는 노무재하청의 관행이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 노무재하청 관행에 대한 건설노조 정책의 가장 곤란한 문제점은 노무재하청을 행하는 당사자인 재하청업자를 한국계 타일노동자 조합조직의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또 하지 않을 수 없는 점에 있음을 양국 간의 숙련구분 및 임금제도 비교분석을 통해 밝혔다.

A study on the analysis of groundwater falling by subsurface dam (지하댐 건설로 인한 주변부 지하수위 하강 분석 연구)

  • Oh, Jun Oh;Young, Jeon Ju;Park, Jae Hyeon;Jun, Sang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7-117
    • /
    • 2017
  • 울산시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과 시민들을 위한 청정원수 공급과의 갈등을 지난 20년간 논의해 왔다. 이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하여 사연댐 수위를 낮추어 관리하여 발생하는 12.0만$m^3$의 용수부족량분과 장래 용수부족량분 30.0만$m^3$에 대하여 낙동강원수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사연댐에 비해 수질이 나쁜 낙동강 원수사용의 비율이 높아지면 정수비용 증가로 인한 시민의 부담이 증가한다는 울산시의 입장과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하여 사연댐의 수위를 낮추어 관리해야 한다는 문화재청의 입장으로 마찰을 빚어왔다. 이에 울산시의 신규 수자원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 방안으로 지하댐건설이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울산시 울주군 사연리 주변에 지하댐이 건설된다면 그 주변 지하수위 변화에 대하여 지하수 모델(Visual-MODFLOW)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울산시 울주군 사연리 인근에 지하댐을 건설한다면 일 30.0만$m^3$의 취수가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분석하였으며, 가능하다면 용수취수로 인한 주변부 지하수위 하강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 30.0만$m^3$의 용수취수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로 인한 지하수위 하강은 취수정이 설치된 지점에서는 최대 1.8m의 지하수위 하강이 발생하며, 그 영향반경은 약 50.0m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하수위 하강이 약 0.3m ~ 1.8m까지 발생하는데 그 반경은 최대 약 700.0m 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울산시 신규 수자원 개발을 위하여 지하댐을 건설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만약 울산시 신규 수자원으로 지하댐을 건설한다면 추가 정밀조사를 통하여 정확한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분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Types for the Management of River Project (하천사업 공사관리를 위한 공종 표준화 방안 연구)

  • Jang, Chorok;Jang, Moon Yup;Song, Juil;Kim, Ha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6-486
    • /
    • 2021
  • 국가에서는 수해예방 및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하천사업을 수행한다. 국토교통부의 경우 매년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하천정비 및 재해복구사업 등을 추진 중에 있으나, 체계적인 공사관리와 산출물의 전산화를 위한 시스템은 부재한 실정이다. 현재 건설사업정보시스템(건설CALS)을 통해 하천공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나 총 공사비, 참여업체 등 기본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공정관리 및 예산정보에 관한 상세한 내역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은 부재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하천사업(공사)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우선적으로 하천사업 공종 표준화를 수행하고자 한다. 현재 건설공사표준품셈을 통해 건설공사의 공종을 확인할 수 있으나 '제2장 하천공사' 내에는 사석, 돌망태, 하천호안공에 관한 정보만을 담고 있다. 하천공사 공종 표준화를 진행하게 될 경우 공종별 공사 세부정보에 대한 관리가 가능해지며, 현재 하천을 관리 중인 국토교통부, 지방국토관리청 및 지자체 등 하천사업을 수행 중인 기관의 시스템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 하천사업 공종표준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현재 건설공사표준품셈, 도로대장 전산화 입력지침 등기 수립된 지침 및 기준을 통해 건설토목공사 시의 공종을 조사·분석한 후, 하천공사 준공보고서 및 감리보고서 등 공사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공사에 주로 수행되는 공사들에 관한 종류를 도출하였다. 이후 건설토목공사 공종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하천공사에서 주로 수행되는 공종을 도출·표준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하천사업 공종의 경우 향후 하천사업(공사)관리시스템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며, 하천공사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 PDF

BIM-based Repair&Replacement (R&R) Cost Estimating Process (BIM기반 건축물 수선교체비 산정 프로세스)

  • Park, Jieun;Yu, Jungh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7 no.2
    • /
    • pp.31-38
    • /
    • 2016
  • In a construction project, the portion for maintenance costs for a building is considerable compared to the initial construction cost. As such, Life Cycle Cost (LCC) analysis is being increasingly utilized to assess the design value of engineering work in Korea. Additionally,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in Korea announced that it will be mandatory for all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s to adopt BIM. Furthermore, the paradigm for architectural design has shifted from 2D to 3D, and to BIM, which includes a data management system. Within this background,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adequate BIM-based LCC analysis software and the requirements of cost estimation for repair and replacement cost for a building is not completely adequate in BIM tools such as Revit and Archica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process of cost estimation for repair and replacement (R&R) cost based on IFC data. First, we analyzed existing R&R criteria and defined BIM-based requirements when calculating R&R costs. These requirements were extracted from relevant IFC data. Subsequently, this was saved to a database and a BIM-based database was built for R&R cost estimation. Finally, this database was connected with external databases such as R&R Criteria DB and Cost Information DB to calculate R&R costs. This process is expected to improve upon the traditional process of cost estimation of R&R cost by applying a BIM model. The proposed process can contribute to a further standardizing of BIM-based LCC analysis thru application to initial construction costs, energy costs, and other maintenance costs.

Development for rainfall classification based on local flood vulnerability using entropy weight in Seoul metropolitan area (엔트로피 가중치를 활용한 지역별 홍수취약도 기반의 서울지역 강우기준 산정기법)

  • Lee, Seonmi;Choi, Youngje;Lee, Eunkyung;Ji, Jungwon;Yi, Jae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4
    • /
    • pp.267-278
    • /
    • 2022
  • Recently Flood damage volume has increased as heavy rain has frequently occurred. Especially urban areas are a vulnerability to flooding damage because of densely concentrated population and property. A local government is preparing to mitigate flood damage through the heavy rain warning issu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is warning classification is identical for a national scale. However, Seoul has 25 administrative districts with different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climate, topography, disaster prevention state, and flood damage severity. This study consider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25 administrative districts to analyze the flood vulnerability using entropy weight and Euclidean distance. The rainfall classification was derived based on probability rainfall and flood damage rainfall that occurred in the past. The result shows the step 2 and step 4 of rainfall classific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heavy rain classification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flood vulnerability is high with high climate exposure and low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the rainfall classification is low in the northern region of Seoul. It is possible to preemptively respond to floods in the northern region of Seoul based on relatively low rainfall classification. In the future, we plan to review the applicability of rainfall forecast data using the rainfall classification of results from this study.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research for preemptive flood response measures.

일본 국립공원 관리제도의 특성-우리나라의 제도개선과 관련하여

  • Lee, Seok-Su
    • 공원문화
    • /
    • s.33
    • /
    • pp.21-24
    • /
    • 1986
  • 본고는 지난 3월 6일부터 10일동안 자연공원법 개정을 위한 자료수집 및 연구조사 작업의 일환으로 일본환경청 자연보호국을 비롯 자연공원관계부처와 일본 국립공원협회, 미화관리재단 등 20여 기관을 순방한 바 있었던 이석수 건설부 자연공원 과장이 국립공원지의 발전과 회원제위 뿐만 아니라 특별회원 (관련 공무원.관리요원)의 참고자료가 되도록 자연공원법개정을 앞둔 바쁜 일정 속에서 소견을 첨가해서 초록해 준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