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행동

검색결과 1,401건 처리시간 0.024초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여대생의 두피건강신념과 두피관리행동 (A study on differences in scalp health beliefs and scalp care behaviors according to the lifestyl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이서희;임연실;전해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66-27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두피관리행동의 증진을 위해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을 유형으로 나누어 두피관리행동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여대생 총 534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18일에서 2020년 4월 7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두피건강관리 건강신념수준의 차이는 인지된 유익성과 인지된 장애성, 자기효능감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두피관리행동 차이에 대한 결과로는 사회지향성향, 유행추구성향, 경제지향성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두피건강신념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보와 교육 프로그램의 개설 및 라이프스타일의 유형별 두피관리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한국 대학생의 건강행동에 관한 융복합적 연구: 서울과 지방 대학생의 비교 (Convergence Study on Health Risk Behavior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Seoul vs. Non-Seoul Area)

  • 이지하;이지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345-356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 남녀 대학생의 건강위험행동을 서울 소재 대학과 지방 지방소재 대학으로 구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건강위험행동(음주, 성, 자살) 그리고 건강위험요인(정신건강, 스트레스)를 융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음주 행태를 살펴보면, 음주 위험군에 속하는 경우는 2.3% 수준 이었으며, 연구에서 참가한 대학생들 중, 거의 격주 혹은 더 빈번히 술을 마시는 경우는 52.6%로 나타났다. 대학생들 중에 성경험이 있는 경우는 40.6%로 나타났으며, 지금까지 일생동안 두명 이상의 파트너와 성경험이 있는 경우는 서울지역 대학생의 4명중 1명 (25.4%), 지방소재 대학생의 경우 5명중 1 명 (20.3%)로 나타났다. 지방에 소재한 대학생들의 경우 자살 및 정신건강의 수준이 서울 소재 대학생의 경우보다 심각한 수준이라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서울소재 대학생과 지방소재 대학생은 자존감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건강문제에 대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안양시 B초등학교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사업이 학생구강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n Oral Health Program by B School Dental Clinic in Anyang City)

  • 안용순;장종화;이영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75-380
    • /
    • 200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구강보건사업에 대한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안양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의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사업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동 그리고 이와 관련된 변수들의 연관성을 조사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별, 학년, 부모의 직업, 부모의 교육수준과 영구치우식경험도의 차이를 보면 성별과 학년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2. 학교구강보건실 구강보건사업의 사업군과 대조군의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 수준을 비교해 본 결과 행동과 태도에서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 < 0.05), 지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학교구강보건실 구강보건사업의 사업군과 대조군의 구강건강인지도, 구강건강상태만족도, 구강치료필요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4.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 건강상태만족도, 치료필요도,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동, 영구치우식경험도간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분석결과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구강보건에 대한 태도와 행동이 적극적이었으며(P < 0.01), 구강보건태도가 좋을수록 행동에 적극적이었다(p < 0.05). 5. 구강보건에 대한 태도가 양호할수록 영구치우식경험도는 낮게 조사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 > 0.05), 구강보건행동과 영구치우식경험도와는 약간의 음의 연관성이 있었다(p < 0.05). 6.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와 구강건강상태만족도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영구치우식경험도가 높을수록 구강건강인지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또한 영구치우식경험도가 높을수록 구강병치료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지식이 높고 태도가 좋을수록 구강치료가 필요없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 PDF

건강관련 식품표시가 구매 전 품질평가와 제품 사용 및 구매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획적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Effects of Health-Related Food Labeling on Quality Assessment Before Purchase, Attitudes towards Using and Purchasing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전상민
    • 소비문화연구
    • /
    • 제15권3호
    • /
    • pp.67-90
    • /
    • 2012
  • 소비자는 건강식품을 구매할 때, 건강관련 식품표시 뿐 아니라, 제품의 맛과 가격을 함께 고려하고, 과거구매경험과 주변 사람들의 의견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계획적 행동이론의 모형에 맛, 건강 기대도와 가격수용도 등의 구매 전 품질평가 변수와 제품사용태도, 과거구매경험 변수를 추가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제품 선택 시 건강관련 식품표시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건강관련 식품표시는 유기가공표시, 영양강조표시, 식품첨가물표시로 구성하였고, 자녀용으로 슬라이스 치즈를 월 1회이상 구입하는 기혼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건강관련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은 맛과 건강에 대한 기대와 가격수용도를 높여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건강관련 식품표시를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별도의 품질평가 없이 제품사용에 대한 호의적 태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수용도는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에, 과거구매경험은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쳐 계획적 행동이론 확장모형의 주요 변수로 파악되었다. 또한,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제품구매태도로 나타났고, 지각된 행동통제의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계획적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맛, 가격 등 구매 전 품질평가와 과거구매경험 변수를 포함하여 건강관련 식품표시와 제품선택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틀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of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s)

  • 이홍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819-1824
    • /
    • 2013
  • 본 연구는 제 5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토대로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요인과 이들의 일탈행동요인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인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일탈행동요인, 그리고 종속변수인 건강에 대한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 통계분석과 각 독립변인에 따른 건강수준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t-검증과 F-검증 분석, 그리고 각 독립변인이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학적 특성 요인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양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에, 가계의 경제수준이 높은 경우에, 인문계 고등학생의 경우에, 학업성적이 높은 경우에, 일탈행동요인에 있어서는 인터넷 중독이 아닌 경우에, 문제음주를 하지 않는 경우에,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건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 보호 및 증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군 간부 건강검진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 행동의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officer Health Examination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 이지철;이진우;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301-309
    • /
    • 2017
  • 본 연구는 군 간부에게 매년 적용되는 건강검진 서비스품질요인이 건강검진 서비스 가치 및 만족과 수요자가 느끼는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여 군 간부건강검진에 대한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건강검진제도가 실현되도록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2016년 9월 27일부터 10월 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300명 중 294명을 최종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ANOVA분석, Pearson's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론에서는 연령(p<0.05), 검진횟수(p<0.01), 의료커뮤니케이션(p<0.01), 의료서비스 품질(p<0.001), 의료서비스 가치(p<0.001)가 건강검진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행동의도에 있어서 분야별 특징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향후 군은 건강검진 제도 인지도 향상을 위한 교육, 홍보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건강검진서비스 품질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연령별 손 건강에 대한 관심과 손 피부 관리행동의 상관관계 연구 (Correlation between interests of hand's health and hand skin care behaviors by age group)

  • 홍다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58-165
    • /
    • 2017
  • 본 연구는네일 관리 샵에서 고객의 세부 요구 사항을 연령대별로 파악, 고객의 관리 행동을 이해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접근 방법을강구할 수 있는 지표 개발 목적으로시행되었다. 이에 전문 네일 샵의 주 고객층을 이루고 있는 20대에서 50대 사이의 성인을 대상으로 2017년 8월 30일부터 9월 15일까지 설문을 실시, 30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한 손피부에 대한 관심은 연령에 구분 없이 높은 지표를 보였으나 관리 행동에서는 다소의 차이를 발견 할 수 있었다. 20대와 30대에서는 손 건강에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자가 손피부관리 행동이 두드러졌으며(r=.284, p<.01) 이는 건강한 손 상태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0대와 50대에서는 손 건강에 대한 정보의 인지(${\beta}=.246$, p<.1), 관련 제품 사용(${\beta}=.312$, p<.05)과 전문 관리(${\beta}=.354$, p<.000)가 건강한 손 피부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꼽혔다. 이는 연령에 따라 손피부에 대한 관심 영역과 고민도 변화하며 그에 따라 관리 행동도 변화함을 알려주는 동시에 건강한 손피부에 대한 인식 고양과 연령에 따른 효과적인 손 관리 행동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후속 연구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령별 손 건강에 대한 관심과 손피부관리행동을 참조하여 네일 전문제품 개발 및 네일 전문 관리샵 마케팅 전략과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써 네일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하여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and Behavioral Problems in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a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 손해경;이혜정;김미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314-321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이론에 입각하여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13년 11월 18일부터 29일까지, S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재학생 384명(남자 186명, 여자 198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도구는 개인 배경 변인, 진로 관련 변인(진로장벽, 학습경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미결정),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에 관한 자기기입식 설문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다중 회귀분석 결과, 개인적 변인으로 스트레스 인지(t=5.12, p < .001)와 평상시 건강상태(t=-4.08, p <.001), 배경적 변인으로 학업성적(t=5.46, p <.001), 진로 관련 변인에서 진로장벽(t=10.57, p <.001)이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의 영향요인으로 개인 배경 변인과 함께 진로장벽을 확인하였다. 특히, 진로결정은 발달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으므로 진로를 선택하는 청소년 후기에 이를 고려한 예방적, 중재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정신 건강 및 문제행동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중재 개발과 학교보건 및 실무에의 적용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건강통제 집단의 삶의 질과 문제행동 비교 및 부모보고와 자기보고의 차이 연구 (Discrepancy between Parent and Child Report on Quality of Life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 and Adolescent cancer survivors and Healthy Control Group)

  • 김민희;정경미;이명아;유철주;원성철;신윤정
    • 한국심리학회지ㆍ건강
    • /
    • 제16권3호
    • /
    • pp.483-500
    • /
    • 2011
  • 의학 발전과 함께 소아암이 치료 가능한 질병이 되면서, 소아암 생존자 아동, 청소년의 장기적인 심리사회적인 적응과 관련된 문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소아암 생존자 아동, 청소년의 삶의 질과 문제 행동 수준을 건강 통제 집단과 비교하고, 자녀의 심리적 적응 상태를 평가하는데 나타나는 부모와 자녀의 보고 불일치 양상이 소아암 경험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다.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건강 통제 집단의 아동, 청소년과 그들의 어머니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PedQL의 아동 버전과 부모 버전을 이용하여 삶의 질을 측정하였고, K-CBCL과 K-YSR을 이용하여 문제행동 수준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소아암 생존자 집단은 건강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신체적, 사회적 기능에서 낮은 삶의 질을 경험하고 있었고, 높은 수준의 내재화된 문제 행동을 보이고 있었다. 이 때의 결과는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였느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정보원간의 보고 불일치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 모두에서 부모는 자기 보고에서보다 문제 행동은 더 낮게, 삶의 질은 더 높게 보고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건강 통제 집단에서 나타난 부모와 자기 보고의 불일치 정도를 비교해보았을 때, 삶의 질의 대부분의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내재화된 문제행동 영역에서 소아암 생존자 집단이 건강 통제 집단보다 부모와 자녀의 보고 차이가 유의미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유아 부모의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행동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internet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younger children's parents)

  • 조옥희;황경혜;김미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403-41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부모의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108명을 편의 표집하여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 리터러시,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행동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Scheffé test,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유용성과 정보활용도가 영유아 부모의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영유아 부모의 특성과 유용성, 정보 활용도를 고려하여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활용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