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an Oral Health Program by B School Dental Clinic in Anyang City

안양시 B초등학교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사업이 학생구강건강에 미치는 효과

  • 안용순 (을지대학교 치위생학과) ;
  • 장종화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
  • 이영수 (을지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08.10.02
  • Accepted : 2008.12.24
  • Published : 2008.12.24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an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supplied to primary school children in Anyang city. This program included oral health education, pit and fissure sealing, fluoride mouth rinsing and professional tooth brushing. The numbers of the subjects were 311 children in the program participant group and 165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which were not in the program.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 12.0 program. In attitude, behavior of oral hygiene, participant group wa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case of the perceived oral health, satisfaction of oral health, need oral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hool children can learn the good attitude and behaviors and oral health promotion can be achived from the oral health program run by shool dental clinic.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구강보건사업에 대한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안양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의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사업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동 그리고 이와 관련된 변수들의 연관성을 조사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별, 학년, 부모의 직업, 부모의 교육수준과 영구치우식경험도의 차이를 보면 성별과 학년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2. 학교구강보건실 구강보건사업의 사업군과 대조군의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 수준을 비교해 본 결과 행동과 태도에서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 < 0.05), 지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학교구강보건실 구강보건사업의 사업군과 대조군의 구강건강인지도, 구강건강상태만족도, 구강치료필요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4.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 건강상태만족도, 치료필요도,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동, 영구치우식경험도간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분석결과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구강보건에 대한 태도와 행동이 적극적이었으며(P < 0.01), 구강보건태도가 좋을수록 행동에 적극적이었다(p < 0.05). 5. 구강보건에 대한 태도가 양호할수록 영구치우식경험도는 낮게 조사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 > 0.05), 구강보건행동과 영구치우식경험도와는 약간의 음의 연관성이 있었다(p < 0.05). 6.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와 구강건강상태만족도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영구치우식경험도가 높을수록 구강건강인지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또한 영구치우식경험도가 높을수록 구강병치료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지식이 높고 태도가 좋을수록 구강치료가 필요없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