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증진 자기효능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스트레스 정도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Convergent Study of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s 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Stress Level and Mental Health as Mediating Factors)

  • 이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39-148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J도 소재 3개 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303부의 설문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지료 분석은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신건강과는 각각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스트레스 정도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은 스트레스 정도와 정신건강을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관리하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여대생의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이 감염예방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uman Papillomavirus(HPV) Related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on the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 김윤영;김주연;안민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74-683
    • /
    • 2021
  • 본 연구는 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이 개인의 질병 예방행위를 결정하는 영향요인으로 보고, HPV 예방접종과 관련된 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이 HPV 예방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국 5개 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40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Statistic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염예방행위의도에 영향을 주었던 전공계열, HPV 관련 지식, HPV 예방접종 경험을 통제변수로 투입한 후에도 HPV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이 감염예방행위 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여대생의 HPV 관련 감염예방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여대생의 HPV 감염예방행위의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재 개발을 위해 개인의 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HPV 예방행위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여겨진다.

대학생의 가족기능과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 Function and Self-efficacy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 류은진;박미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6-164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Methods: The subjects were 200 students sampled from the population that attend four universities in G and J city. Data were collected with a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21. Family function and self-efficacy were identified as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which explained 53% of the total varianc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Conclusion: The findings provide evidence to help health assessment and activity related to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초등학생 비만아동의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정남옥;전미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228-235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80 students from seve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honbuk Provinc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were used with SPSS WIN ver 15.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for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2.95{\pm}0.60$ and $2.99{\pm}0.39$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elf-efficacy (r= .614, p<.001). The main predictor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self-efficacy, which explained 37.7%.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a ne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luding the promotion of self-efficacy.

  • PDF

치위생과 학생의 건강증진행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he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Students on Dept of Dental Hygiene)

  • 김은미;이향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41-148
    • /
    • 2004
  • 본 연구는 2004년 9월 13일부터 17일까지 전라남도 K시에 소재하는 4개의 대학에 재학중인 치과위생과 학생 1,2,3학년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건강증진 행위와 자기효능감, 인지된 이익, 인지된 장애, 건강통제위, 자아존중감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조사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건강증진 행위는 2.60 이었고, 하부요인으로 자아실현 2.89, 건강책임 2.12, 운동 1.89, 영양 2.45, 대인관계 2.97, 스트레스관리 2.63 이었다. 자기효능감은 2.56, 인지된 이익문항은 3.45, 인지된 장애 문항은 2.32, 건강통제위는 3.04, 자아존중감은 2.81이었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에서는 학년, 종교, 경제수준, 가족질병경험, 본인의 질병경험,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고,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하부영역중 자아실현은 학년, 경제수준,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종교,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책임은 학년, 종교, 경제수준, BMI(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본인의 질병경험,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운동영역은 모의 교육정도, 가족 질병경험,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영양영역은 경제수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인관계 영역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서 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스트레스 관리 영역은 학년,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인지-지각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자기 효능감은 경제수준,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지된 유익성은 종교(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지된 장애는 경제수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본인의 질병경험(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통제위는 학년(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r=0.376), 인지된 유익성 (r=0.188), 인지된 장애(r=-0.155), 건강통제위(r=0.064), 자아존중감(r=0.318), 인지된 건강(r=0.084), 인지된 구강 건강(r=0.165)은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이 존재하였다. 5.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조사한 결과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자기효능감이었고, 자아존중감, 인지된 유익성, 인지된 구강건강 순서였으며, 이 네 변수를 투입하여 건강증진 행위 18.5%를 설명할 수 있었다.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이용하여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보았으나 설명력이 18.5%로 낮아 좀 더 많은 요인을 찾아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검증 연구 (An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in Mid-life Women)

  • 김금자;차영남;임혜경;장효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41-55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in mid-life women.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 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24 to April 14, 1998. The subjects were midlife women, ages 40 to 50 years who reside in Chonju cit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41 subjects and the control group 40 subjects.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the Self Efficacy Scale an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Scale developed by Park(1995).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PC.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 Through the 7 week education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self efficacy and health behavior were effectively changed in middle-aged.

  • PDF

고등학생의 구강보건행태와 자기효능감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Self-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 주온주;우승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55-360
    • /
    • 2015
  • 이 연구는 청소년의 구강보건행태와 자기효능감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익산시 소재 W 여자고등학교 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11월 2일부터 11월 5일까지 구강보건행태와 자기효능감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IBM SPSS Statistics ver. 21.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하였다. 정기구강검진을 받고 있는 집단(3.26점)이 그렇지 않은 집단(3.15점)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았고(p<0.05),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고 있는 집단, 칫솔질 횟수가 4회 이상인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또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생각할수록, 발음장애(3.66점), 저작장애(3.32점)가 불편하지 않은 집단이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았다(p<0.01, <0.001).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저작장애(r=-0.184), 발음장애(r=-0.200) 등은 음의 상관관계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r=0.243)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p<0.001)가 좋다고 생각할수록, 발음장애(p<0.01)가 없을 때 높았다. 이상으로 구강보건행태와 자기효능감은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다. 그러므로 자기효능감을 높여 구강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사업에서 구강보건의식행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행동변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플립러닝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Flip Learning Learning Method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양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67-473
    • /
    • 2021
  •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적용한 건강사정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경상북도 K시 일개 간호대학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건강사정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일군 전후 비교 연구이다. 최종분석은 10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전 사후 차이는 대응표본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주도 학습능력(t=-3.23, p<.01), 비판적 사고성향(t=6.381,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t=-4.62,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플립러닝 학습범의 적용은 장기적으로는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학생들의 능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mental health in college nursing students)

  • 박성희;변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284-8291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정신건강의 정도를 알아보고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B시, C시의 3년제 과정에 있는 간호대학생을 18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WIN/18.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분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은 $2.25{\pm}0.65$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정신건강은 자기효능감(r=-434, p<.001), 사회적지지(r=-.393, p<.001)와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요인들은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을 24.7%로 설명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을 높이기 위해 반복연구를 통하여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수준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of the Elderly)

  • 정수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71-180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들의 구강관리행태, 구강건강관리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자료조사는 2019년 9월 17일부터 2019년 11월 22일까지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일부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𝑥2-test, Pearson 상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은 틀니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3.242배, 일일 칫솔질 횟수가 3회 이상인 경우 2.339배 증가하였으며, 구강건강관리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각각 1.755배, 1.192배 증가함에 따라 주관적 구강건강수준도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의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의 증진을 위해서는 틀니관리방법과 칫솔질교습 등의 구강보건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구강건강관리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킬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