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강신념모델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2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감염 예방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건강신념모델에 사회적 변인 적용을 중심으로 (Predicting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in COVID-19 Pandemic Context: Application of Social Variables to Health Belief Model)

  • 홍다예;전민아;조창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2-35
    • /
    • 2021
  • 코로나19의 대유행이 지속되며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개인들의 생활 속 예방 수칙 준수를 강조하는 다양한 헬스 캠페인이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서 개인의 감염 예방행동 의도가 중요함을 인식하고 이를 건강신념 모델의 적용을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공동체 행동이 요구되는 상황임을 고려하여 건강신념모델에 사회적 변인을 추가한 사회적 건강신념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N=298), 각 변인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이익, 위험, 사회적 규범이 높을수록, 책임이 낮을수록 예방 행동 의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이 중 위험이 가장 큰 상대적 영향력을 보였고 지각된 심각성과 사회적 규범이 그 뒤를 이었다. 기존 건강신념모델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사회적 건강신념모델의 예방행동 의도 설명력을 비교한 결과 사회적 건강신념모델이 더 높은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의생활 안전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평가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Clothing Safe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 김류경;심현섭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27-143
    • /
    • 2020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가정과 의생활 안전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이 건강신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ADDIE 모형에 따라 '의복 및 섬유제품의 생산, 착용, 세탁, 보관 과정에서 노출될 수 있는 유해물질', '친환경 섬유', '천연세정제'와 같이 3가지 학습요소에 대하여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6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경기도 안양시 소재 남녀공학 중학교 3학년 7개 학급, 총 22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8월 20일부터 9월 7일까지 1주에 2시간씩 3주에 걸쳐 총 6차시로 수업을 실행하였다. 건강신념을 측정한 사전·사후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win(version18.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인지된 위협(인지된 민감성과 심각성의 조합), 인지된 이익, 자기효능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인지된 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가정과 의생활 안전교육 수업은 중학생들이 유해물질로부터의 안전한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교육으로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가정과 특색에 맞는 안전교육은 물론 의생활안전교육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여대생의 두피건강신념과 두피관리행동 (A study on differences in scalp health beliefs and scalp care behaviors according to the lifestyl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이서희;임연실;전해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66-27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두피관리행동의 증진을 위해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을 유형으로 나누어 두피관리행동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여대생 총 534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18일에서 2020년 4월 7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두피건강관리 건강신념수준의 차이는 인지된 유익성과 인지된 장애성, 자기효능감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두피관리행동 차이에 대한 결과로는 사회지향성향, 유행추구성향, 경제지향성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두피건강신념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보와 교육 프로그램의 개설 및 라이프스타일의 유형별 두피관리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유튜브 기반 홈 트레이닝 콘텐츠 이용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Factors of YouTube-based Home Training Content)

  • 윤승욱;김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345-355
    • /
    • 2021
  •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과 건강신념모델을 통합, 적용하여 유튜브 기반 홈 트레이닝 콘텐츠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다. 먼저, 개인의 혁신성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민감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지각된 이익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모두 지속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술수용모델과 건강신념모델의 통합 가능성을 일정 부분 재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여성의 SNS 이용이 대안 건강 행동에 미치는 영향: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대안 생리대 사용 의도를 중심으로 (Effects of Women's SNS Uses on Alternative Health Management Behaviors: Application of Health Belief Model on the Adoption of Alternative Menstrual Products)

  • 김총혜;조재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83-93
    • /
    • 2018
  • 본 연구는 여성들의 SNS 이용이 대안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했다. 특히 최근 많은 주목을 받았던 독성생리대와 대안생리대에 대한 SNS 정보추구가 대안생리대에 대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건강신념모델을 기반으로 가설을 설정했고, 총 11개의 가설을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한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했다. 경로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SNS를 통해 수집된 독성생리대와 대안생리대에 대한 정보이용은 대안생리대에 대한 지각된 이익과 독성생리대에 대한 지각된 민감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이익, 그리고 지각된 장애는 대안생리대의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분석 :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An Analysis of Convergence Factors on Smok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Based on a Health Belief Model)

  • 양선이;강희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05-21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대학생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제주지역 41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서술적 조사연구가 진행되었고 기술 통계 및 다중회귀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성별(t=-7.44, p<.001), 용돈 (t=-2.06, p=.040), 가족의 흡연 여부(t=4.43, p<.001), 친구의 흡연 여부(t=9.59, p<.001), 지각된 장애(t=0.87, p=.014), 행동의 계기(t=6.33, p<.001)는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흡연과 관련된 건강 및 건강 관련 변수 중 대학생의 흡연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적 및 치료적 접근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예방접종의도 영향요인: 건강신념모델을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COVID-19 Vaccination intention among Nursing Students: Applying the Health Belief Model)

  • 한미라;박소연;김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343-35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예방접종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하여 확인하기 위함이다. 일개 간호학과 1-4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온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코로나19 예방접종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코로나19 예방접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자기효능감(β=.345, p<.001), 행동의 계기(β=.307, p<.001), 지각된 유익성(β=.143, p=.034)과 지식(β=.116, p=.042)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50.8%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예방접종 행위 증진을 위해 특히 자기효능감과 코로나19 관련 지식 향상을 위한 전략적 중재가 중요하다.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 프로그램이 골밀도 및 건강신념에 미치는 효과

  • 신용애
    • 대한근관절건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002년도 제17회 추계 학술대회
    • /
    • pp.238-246
    • /
    • 2002
  • 최근 경제의 발전과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의 수명은 점차 연장됨에 따라, 노인인구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40세 이상 여성 인구도 8.998천명으로 전체 여성의 38%를 차지하며 이는 매년 증가할 것이다. 그리하여 전체 인구에 대한 폐경 여성의 점유율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폐경 이후 $5{\sim}10$년 동안 매년 $2{\sim}4%$씩 골농도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폐경기 여성을 위협하는 주요 질환 중 하나가 골다공증이다. 하지만 골다공증은 뚜렷한 자각증상이 없어 골 기형 및 골절이 발생하기 전에는 조기발견이 어렵다. 골다공증은 모든 중년 여성의 건강문제이므로 지역사회에서 골절 발생 위험율을 줄일 수 있도록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적용할 수 있는 골다공증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정한 후 지역사회 중년 여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 활용코저 함에 있다. 골다공증 예방 프로그램은 운동과 교육으로 구성하였으며, 12주 동안 점핑 동작 위주의 에어로빅과 스텝퍼 운동과 근력강화운동(최대 심박수의 $70%{\sim}80%$, $70{\sim}80$분, 3회/주)을 병행하여 실시하였고, 교육은 운동과 칼슘 섭취의 중요성을 건강 신념 이론에 근거하여 자기 효능감을 증대시키는 교육을 하여 지속적인 운동 실천과 칼슘식이 섭취를 하도록 하였다. 대상자는 서울시 일개 보건소에서 골감소증으로 진단받은 폐경 여성으로 실험군 19명과 대조군 19명이었다. 골다공증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는 골밀도, DPD ratio, osteocalcin, 일일 평균 칼슘섭취량, 일일 열량 소모량, 배근력, 최대 산소 섭취량, 제지방량과 건강신념 변수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 SPSS 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사는 t-test, $x^2-test$ 및 Fisher exact test를 이용하였고, 두 집단 간 결과변수들의 중재 전후의 차이는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L_{2-4}$ 골밀도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2) DPD ratio와 osteocalcin은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배근력은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제지방량과 최대 산소 섭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간호대학생들의 암에 대한 지식, 건강 신념, 그리고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ancer-related knowledge, health beliefs,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 김윤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77-83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암에 대한 지식, 건강 신념, 그리고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195명이며, 자료수집은 2020년 8월 5일부터 8월 29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암 예방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델I은 회귀모형의 적합도는 유의하였으며(F=2.543, p=.012), 학년(𝛽=.079, p=.011)이 암 예방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모델II의 회귀모형 적합도(F=14.924, p<.005)이며, 연령(𝛽=.079, p=.011), 건강신념(𝛽=.078, p=.001)이 암 예방 건강증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에게 암 예방 관련 융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