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객석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139초

1:50 다목적홀의 음향평가를 위한 축소모형재료의 선정 (Selection of Scale Model Materials for Acoustical Evaluation of 1:50 Multipurpose Halls)

  • 전진용;김정준;김용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781-789
    • /
    • 2009
  • 다목적홀의 음향을 1:50 축소모형으로 예측 및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모형재료의 구성과 흡음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실제 홀에서의 반사면 및 가변음항요소, 객석의 설계요소별 흡음특성 (125Hz-lkHz 평균)을 기준으로 축소모형의 형상과 재질을 선정하였으며, 흡음율은 상사의 법칙과 ISO 354를 준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벽체의 평균흡음율은 0.08로 래커 코팅된 MDF나 아크릴이 적합하며, 객석 의자, 관객 및 연주자 평균흡음율은 각각 0.64, 0.74와 0.45를 목표로 할때 목재, 흡음천과 폼보드를 조합하여 흡음률을 재현하였다. 흡음커튼과 배너는 적용부위 및 단면설계에 따라 흡음재의 마운팅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배면공기층이 없는 상태 (A형 마운팅)에서의 평균흡음율이 0.42, 0.9 m 배면공기층 조건에서 시료 양단이 고정된 상태 (E형 마운팅)에서는 0.47, 천장에 매단 상태 (G형 마운팅)에서는 0.45로 나타났다. 특히, 배면공기층의 증가에 의해 저주파 대역 흡음력이 증가하였다. 스테이지 하우스 내부는 평균흡음율 0.68의 Fiber glass board 시공을 예상하여 흡음재와 스피커망 원단을 조합하여 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모형 재료의 형상과 흡음특성은 향후 1:50 축소모형으로 다목적홀의 형상에 의한 중주파 대역 이하의 음향예측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공연장의 소방시설 설치기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Protection System in the Stage)

  • 장상태;이영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3-19
    • /
    • 1999
  • 건축물의 면적과 용도에 따른 형식적이고 획일적인 소방시설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국내공연장들의 소방 시설 실태를 근거하여 건축물의 특이성에 적합한 방재시설에 대한 보완방법을 신축하고 있는 1900석 규모의 공연장을 사례로 하여 - 최 상층부 소방시설의 방수압력을 고려한 1차 수원의 100%와 예비 가압송수장치 -무대부 개방형 스프링쿨러에서의 측벽형 헤드 보완과 대구경 살수 헤드 -특수감지기의 설치규정 세분화와 첨단 감지기 도입 -무대부와 객석부의 방화구획용 방화막의 설치와 설치에 따른 설치방법 등에 대해 제시하였다.

  • PDF

음식점의 객석 배치와 착석 심리 연구 -패스트푸드 점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Guest Seats Arrangement and Seating Psychology in Restaurant)

  • 홍영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호
    • /
    • pp.22-28
    • /
    • 1994
  • The restaurant is regarded as the place of association and rest, and is the commercial facilities required the space of delightful and comfortable in mentality as well as the visual satisfaction for the users. The customers have their tendency to avoid the visual and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strangers in the restauran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rrange the undisturbed space from strangers through the appropriate guest seats arrangement by understanding such mental basement.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way of space application between the people in the space and the mental mechanism, and we made study and analysis on the conciusness & behavior of the users of the restaurant actually. As the result, the theoretical study was connected to the customers conscious or unconscious behavior and the same results was come out from the paper-and-pencil test and observation research, and its appropriateness was clarifed. To put it briefly , the people have been showing their trends to prefer the place where have a fine view, undisturbed from others and may keep to the private area. On the whole , they prefer the visual variation somewhat rather than the simple, and they are fond of the space of open and comfortable. and also showing that the mental environment could be established by the control of physical environment.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restaurant is required to fulfill this spatial desire of the users through the guest seats arrangement and other visual factors.

  • PDF

대학 소극장의 공간 계획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서울시 소재 소극장의 내부 공간 분석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Space Planning of the University Small Theater - Focused on the Space Analysis of the Small Theaters in Seoul -)

  • 정원주
    • 교육시설
    • /
    • 제15권1호
    • /
    • pp.62-7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a basic study of a small theater planned to be built on the university campus for the exclusive use of performing arts. For this, the documents and records of small theaters in Seoul was first reviewed. And then, some selected theaters among small theaters opened since 2000 was examined and analyzed by their blueprints, design maps and actual measurement on the spot. Since 1990s, the increase in per capital income, the advancement of culture and arts, and the accompanying increase in demand have prompted universities to open performing arts courses. Going beyond the concept of a multipurpose auditorium a space devoted to professional performances has been increasingly needed by many universities. Small theaters that have been the subjects of study have become extinct or changed for other uses due to the rapid changes in the performing environment. This research examined theaters that have opened since 2000 and analyzed the data on their stages and seats. This study is intended for providing preliminary data for building of a small theater on the university campus.

현대공연장에 나타난 고전유형의 적용경향에 관한 연구 - 무대와 객석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lassic Styles in Contemporary Performing Art Centers - Focusing on Stage and Auditorium Space -)

  • 김성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80-18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tion tendency of the western classical style which appears in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centers. The types of space in performing arts center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times. There were somewhat fixed stage and auditorium types for each period ; the ancient times had the arena stage and round auditorium, the Renaissance the proscenium stage and the U-shaped auditorium, the Elizabethan period the thrust stage and polygonal auditorium, and the modern times the proscenium and apron stage, the horseshoe and fan type auditorium. Today since the purposes of performance are multiple, a variety of stage types are applied to each performing arts center. They use various spaces and performances of multiple purposes by moving and transforming the stage and auditorium according to the kinds of performance as a variation of the arena and proscenium stage. Recently there appear complex performing arts centers that can plan performing spaces of diverse sizes and forms to fit the functions of a performance in a large building. Since they put on performances in a large spa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nd of performance, the intentions and goals of the performance are well delivered to the audience.

전주월드컵 경기장의 음향특성 평가 (Acoustic Properties of the Jeonju World Cup Stadium)

  • 연철호;한찬훈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1호
    • /
    • pp.495-500
    • /
    • 2002
  • 전주월드컵 경기장은 Fully Digital sidelobe-free array 방식의 음향시스템을 도입한 유일한 경기장으로서 대규모 경기장에 Line Array type의 스피커를 사용한 최초의 예가 된다. 현장음향실험을 통하여 경기장의 주요 음향 파라미터인 음압레벨(SPL), 잔향시간(RT), 음성명료도(D50), 음성이해도(RASTI) 등을 측정함으로 전주월드컵 경기장의 음향시스템의 특성과 종합적인 음향성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주음원(Messenger)만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음압레벨(SPL)은 관중석의 객석간 위치별 음압레벨 표준편차가 약 2.78dB로 나타났다. 이 값은 당초의 음압레벨분포편차의 목표치인 ${\pm}3dB$의 범위 이내로 나타났다. 또한 최대음압레벨은 평균 100.1dB로 목표치인 96dB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향시간(RT)은 공석시 전체 관중석 평균 2.94초로 나타났으며, 1000Hz에서의 평균 잔향시간은 2.58초로 나타났다. 잔향시간은 실제 경기장의 사용 시 약 0.3-0.4초의 감소가 발생되리라 판단된다. 음성명료도(D50)는 전체 관중석 평균 $56.2\%$로 매우 양호한 상태로 나타났고 음성이해도(RASTI)는 전체 관중석 평균 0.63으로 목표치인 0.5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현장음향실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주월드컵 경기장의 음향성공은 음향설계 요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야외 경기장 같은 대형공간에서의 음향시스템에 있어서 Fully Digital sidelobe-free array 방식의 음향시스템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극장의 구성 원리와 도시 개념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Seoul Performing Art Center 국제 공모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vity Between the Theatre's Composition Principle and Urban Concept - Focused on the Productions that are Applied for International Ideas Competition for the Design of the Seoul Performing Arts Center -)

  • 임종엽;권익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47-54
    • /
    • 2006
  • Stages, in the theatrical spaces, were space, which incorporates aspects of cities. Hence, the stages have been constituted to materialize sequence of city, which has exact number, proportion and order of ideal city. In addition, it has accomplished change, which depends on type of performance with the social condition and culture of generation, city has. However, the original form of theatrical space were forgotten on account of the various changes of theatrical form with modem movement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atrical space, which does not relate with its space of city, was started to constitute. Particularly in contemporary society, the theatre can give vitality to the citizens, and also theatrical architecture as a commercial code has been a general form, though it takes important role, which improves cultural value with technical improvement of cities development of society. Thus, this study analyzed urbanity ,which theatres have incorporated historically, and deduced a correlativity from to be based on constitution of space in visual, perceptual, spatial constitution and functional role. Focused on published SPAC international competition, it was interpreted by contemporary focus, therefore, this experiment suggests constitution of theatrical spaces of information, takes urbanity, through to analyze visual, perceptual, spatial constitution and functional role in context of contemporary city.

K-POP 홀로그램 콘서트에 나타난 스펙터클 분석 -SM Entertainment 콘텐츠를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Spectacles of K-POP Hologram Concerts -Focus on Contents of SM Entertainment-)

  • 한혜원;정아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740-749
    • /
    • 2016
  • 홀로그램은 소수 전문가 집단을 위한 특정 기술의 영역에만 한정되지 않고, 대중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K-POP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경우, 홀로그램 영상을 도입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홀로그램을 부분적으로만 활용해 스펙터클을 연출하거나, 아이돌 자체를 홀로그램 캐릭터로 재현해 '원본 없는 이미지'만으로 콘서트를 진행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POP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중 홀로그램 콘서트를 일정 기간 이상 안정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SM Entertainment 의 콘텐츠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홀로그램 콘서트에서 발현되는 스펙터클과 아우라를 분석해 실제 인물의 퍼포먼스와 변별되는 홀로그램 콘서트만의 차별화 전략을 도출했다. 그 결과 홀로그램 콘서트의 경우 배경에서 무대와 객석을 분리함으로써 소외효과를 극대화했으며, 아이돌 캐릭터에게는 탈현실의 환상성을 부여했다. 홀로그램 콘서트에서는 홀로그램의 허구성을 은폐하기 보다는 오히려 이를 폭로함으로써 환상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취한다. 홀로그램 콘서트는 ICT 강국으로서의 한국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지리적으로 글로벌화에 불리할 수 있는 한류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여, 융합 콘텐츠의 대중화 사례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콘서트홀 무대반사판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ensemble reflector in a concert hall)

  • 김민애;오양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56-362
    • /
    • 2018
  • 장방형 평면의 한쪽 끝에 자리잡아 벽체와 천장 등의 1차 혹은 2차반사음을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슈박스 콘서트홀의 무대와는 달리, 객석으로 둘러싸인 무대의 빈야드 콘서트홀은 무대 위의 연주자들이 자신이나 다른 연주자들의 연주음 크기나 화음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초기반사음이 절대 부족하다. 무대 주변벽에서의 반사음을 기대할 수 있지만 무대라이저와 그 위의 연주자들에 의해 상당부분 가려지기 때문에 그 효과는 극히 제한적이다. 무대반사판(ensemble reflector)은 무대의 상부에 설치하여 연주자들의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연주음의 앙상블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2,000여석 규모의 커다란, 따라서 높은 천장으로 인해 유효한 초기 천장반사음을 확보하기 힘든 대형 빈야드 콘서트홀에서 적절한 위치와 형태와 면적을 갖는 효율적인 무대반사판을 설계하고 무대서포트에 관한 정량적 지표를 토대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슬랫천장이 소규모실의 음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slat ceiling on the acoustics of a small performance space)

  • 오예닮;이효진;정대업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63-368
    • /
    • 2018
  • 최근 슬랫형 천장은 음악전용공연장인 음악당에서부터 공항대합실을 포함한 다양한 규모와 용도의 건물에서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활용에 따른 공간의 실내음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어 공간의 계획 시 활용 가능한 자료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1/20 축소모형실험을 통하여 shoe-box 형태의 소규모 공연장에서 슬랫형 천장의 적용이 객석의 음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분석하였다. 실험은 슬랫의 간격 및 설치높이 변화의 조합에 따른 6가지 설치조건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잔향시간 ($T_{30}$), 명료도 ($D_{50}$$C_{80}$), 그리고 음의 세기 (G 및 $G_{80}$) 측면에서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