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21초

독일의 수학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 Nordrhein-Westfalen 주를 중심으로 - (Reflections on Mathematics Curriculum of Germany -Focusing on Nordrhein-Westfalen-)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2호
    • /
    • pp.181-211
    • /
    • 2004
  • 본 연구는 최근 2000년대를 향한 세계 여러 나라의 수학 교육과정 개정의 결과들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제 7차 수학 교육과정 개정 노력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학교육의 오랜 전통을 지녔으나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독일의 수학 교육과정의 구성체제와 구성내용을 Nordrhein-Westfalen 주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과 그 특징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학교육과정의 발전적 고찰을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PDF

2015 개정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 연계 분석 - 문자와 식 단원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Mathematics and other Subjects in the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 윤시영;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537-554
    • /
    • 2018
  • 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기본적인 수학적 지식을 갖추는 것은 물론 이를 다른 분야 간의 연계를 통하여 새로운 기술을 창출해낼 수 있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도 반영되어 2011년부터 강조된 STEAM 교육(융합인재교육)을 더욱 확대 추진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다수의 교사들은 타 교과에 대한 전문 지식은 부족한 상태에서 융합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융합교육수업이 요구되는 상태에서 타 교과와의 연계에 대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수학1' 교과서의 '문자와 식' 단원을 대상으로 교과서 내의 문제 분석을 통하여 교과 연계 반영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융합교육수업 방안을 논의할 때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타 교과의 내용 및 성취기준을 참고할 수 있도록 Yakman(2008)이 제시한 분류틀을 토대로 새로운 분류틀을 고안하여 분석에 적용하였다.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for the Practic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 이경화;강현영;고은성;이동환;신보미;이환철;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4호
    • /
    • pp.819-834
    • /
    • 2016
  • 수학교육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방안으로서 평가의 개혁은 최근 과정 중심 평가라는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 과정 중심 평가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것이며 정책적으로도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직 개념화가 명확하게 되지 않은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와 그 실행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고, 최신 교육 평가 이론과 연구를 바탕으로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과정 중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조건 등을 탐색하여 그 실행 방안을 모델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 수업 현장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실천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을 중심으로 (Analysis on Connecti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Focused on 3~4 Grades)

  • 장혜원;강태석;박원규;김동원;이환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181-204
    • /
    • 2014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과서의 현장 적용 시점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집필 수정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학년군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에 이어 본 연구는 3, 4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며,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재구성한 재구성 성취기준에 따른 교과서 분석, 교과서 차시별 학습목표에 따른 재구성 성취기준과의 연계 분석, 용어와 기호와 관련한 교과서 분석, 수학적 과정과 관련한 교과서 분석의 네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기초한 교수학적 논의로부터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 PDF

자연수의 나눗셈 지도에 대한 고찰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수학 교과서와 지도서를 중심으로 - (Review Teaching Division of Whole Numbers - Focussing on Elementary Math Textbooks and Manuals for Teachers -)

  • 강문봉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6
    • /
    • 2011
  • 이 연구는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지도서의 자연수 나눗셈 영역에 대한 고찰이다. 교과서와 지도서는 수학을 지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문서이다. 또한, 장차 초등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려는 예비교사들이 교과서와 지도서를 바탕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이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문건이다. 그러므로 교과서나 지도서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 그러나 자연수 나눗셈과 관련하여 개정 교과서와 지도서에 몇 가지 오류와 개선해야 할 점들이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그런 사항들에 대해 논하고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 PDF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역량, 기능, 성취기준 연계성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improvement of curriculum on analysis of the connectivity between competencies, skill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 이화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4호
    • /
    • pp.357-371
    • /
    • 2020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교과 역량이 '기능'과 '성취기준'으로 구체화되어 제시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역량, 기능, 성취기준의 연계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섯 가지의 수학과 역량은 '기능'으로 고르게 제시되었으나, '기능' 중 일부는 성취기준으로 제시되지 않았으며, '이해하기'와 같은 기능에 치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차기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 구현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실용수학 및 수학 I 확률 및 통계단원 분석

  • 장대흥;이효정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249-254
    • /
    • 2004
  • 우리나라 초$\cdot$$\cdot$고등학교 확률 및 통계영역 교육은 1997년 교육인적자원부 교시로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현재 초$\cdot$$\cdot$고등학교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다. 교과서 전수 조사를 통하여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실용수학 및 수학 I 확률 및 통계단원을 분석하였다.

  • PDF

교수요목기부터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학교 수학 용어의 표현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Expression of School Mathematics Terminologies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2007 Curriculum)

  • 도종훈;박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491-50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초, 중, 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수학 용어가 해방 이후 현재까지 어떻게 변해 왔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2007 개정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용어를 기준으로 교수요목기부터 현재까지 사용되었거나 사용 중인 수학 용어들을 조사하여 정리한 뒤 수학 용어 표현에 사용된 언어를 중심으로 그 변화를 분석하고, 각 교육과정 시기별 수학 용어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현행 학교 수학 용어의 표현 방식은 제2차 교육과정과 제3차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표준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드러난 학교 수학 용어 변화의 가장 큰 흐름은 '용어의 한자화'와 '표현의 한글화'인 것으로 보인다.

  • PDF

고등학교 수학과 지필평가 문항의 교육과정 반영 실태 연구: 수열의 극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flection Status of Curriculum i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Paper-Based Assessment Items - Focused on the Limit of Sequences -)

  • 양성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1호
    • /
    • pp.43-58
    • /
    • 2017
  •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정도에 따라 교수 학습 방법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평가 문항은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는 대표적 산물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지필평가 문항 분석을 통하여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가 지필평가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에 대한 실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로 출제된 '미적분I' 219개 검사지에 수록된 문항 중 '수열의 극한'을 내용 영역으로 하는 문항을 중심으로 변화된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의 지필평가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필평가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확인하고, 교육과정 개정 이후 새로운 교육과정의 안정적 안착을 위하여 반드시 동반되어야 할 교육정책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Multicultural education show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based on 2015 revised curriculum)

  • 조수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1호
    • /
    • pp.19-37
    • /
    • 2018
  • 본 연구는 1, 2학년 수학교과서에 반영된 다문화 교육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다문화 수학교육 요소 분석 틀을 개발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우리 문화의 정체성'이나 '지식의 다양성', '사회적 문제 해결'에 대한 다문화 교육 요소가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나 있었지만,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우리 문화의 정체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학교과서에는 '사회적 문제해결'을 제외한 다문화 교육요소가 고루 나타나 있었다. 그러나 교과서에 적용된 다문화 교육 요소의 적용 수준은 대부분 낮게 나타났으며 교과서에 제시된 다른 나라의 수학사나 문화가 지나치게 유럽 중심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과서에는 다문화 학생이나 장애인, 타인종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교과에서 다문화 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다음 교과서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