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flection Status of Curriculum i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Paper-Based Assessment Items - Focused on the Limit of Sequences -

고등학교 수학과 지필평가 문항의 교육과정 반영 실태 연구: 수열의 극한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6.12.07
  • Accepted : 2017.03.09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acher's understanding for the curriculum,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s i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items are one of the representative products reflecting these differences. Therefore we need to investigate how the understanding degree of the teacher for curriculum is reflected in the paper-based assessment items through analyzing them. In this study, we analyzed midterm and final 219 exam papers of 'Calculus I' which was based o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focused on items of 'the Limit of Sequences' which content area is among total 4,632 questions. We investigated how the changed curriculum is reflected in the high school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confirmed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paper-based assessment. Through this, we sought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 policy that should be accompanied necessarily in order to stabilize the new curriculum after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정도에 따라 교수 학습 방법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평가 문항은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는 대표적 산물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지필평가 문항 분석을 통하여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가 지필평가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에 대한 실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로 출제된 '미적분I' 219개 검사지에 수록된 문항 중 '수열의 극한'을 내용 영역으로 하는 문항을 중심으로 변화된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의 지필평가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필평가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확인하고, 교육과정 개정 이후 새로운 교육과정의 안정적 안착을 위하여 반드시 동반되어야 할 교육정책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련, 김병주(2009). 중학교 지필평가 분석: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3(2), 923-951.
  2.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3.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8].
  4. 교육부(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 15호. 교육부.
  5.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6.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2016). 교육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7. 교육인적자원부(2006).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6-75호 [별책8].
  8. 교육인적자원부(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8].
  9. 김병주(2009). 중학교 지필평가: 이차방정식, 이차함수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선희(2006). 학생평가 전문성을 갖춘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수학학습평가' 강좌의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안. 학교수학, 8(3), 301-326.
  11. 김성훈, 김신영, 김재철, 반재천, 백순근, 서민원 (2010).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12. 남명호, 박소영, 송미영, 김국현, 김수동, 조일수, 임완성, 이경애, 오수학, 강민선(2006).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연구(I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6-5.
  13. 라병소, 주복향(2002). 수학의 지필평가에서 발생하는 오해의 분석적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6, 59-76.
  14. 서동엽(2001). 수학 지필평가의 실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5, 19-36.
  15. 신이섭 외 25명(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정책연구 2011-11.
  16. 양성현, 이환철(2014). 고등학교 수학과 지필평가 문항 분석: 기하와 벡터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4(4), 565-585.
  17. 이의원(2009). 초등수학의 지필평가의 대안적인 채점방안.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2), 231-245.
  18. 정현도, 강신포, 김성준(2010). 초등수학 서술형 평가에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885-905.
  19. 주복향(2003). 수학의 지필평가에서 발생되는 오해의 분석적 연구: 4-가 단계를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홍영미(2008). 현행 중학교 수학과 9-나 단계 지필평가 문항분석.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McMillan, J. H. (2007).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 and practice for effective standardsbased instruction(4th ed). Boston: Allyn &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