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략공사비산정모델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대표물량을 활용한 도로공사 개략공사비 산정모델 프레임워크 (Cost Estimation Model Framework of Road Construction Project through Quantity of Standard Work)

  • 곽수남;김두연;한승헌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07-612
    • /
    • 2007
  • 사업 초기 단계에서의 정확한 공사비 예측은 각각의 대안을 비교하여 향후 공사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예산수립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사업 초기 단계에는 공사비 산정 기준이 모호하고 가용 정보가 부족함에 따라 공사비 예측에 한계가 나타난다. 더욱이 현행 공사비 산정모델이 단위 길이당 공사비를 활용한 선형적이고 단순한 모델을 활용함에 따라 예측의 정확도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공사비 산정모델의 한계를 개선하고 사업 초기 단계에서 가용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공사비 산정 모델의 Framework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개략공사비 산정 모델을 분석하였으며, 기존 도로공사의 공사비 분석자료를 토대로 노선선정 등 사업초기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도로공사 개략공사비 산정모델의 Framework를 제시하였다.

  • PDF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개략공사비 산정모델 개발 - PSC BEAM교를 중심으로 - (Approximate Estimating Model Using the Case Based Reasoning - PSC BEAM Bridge -)

  • 강찬성;이건희;김경민;김경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45-448
    • /
    • 2008
  • 국내 도로건설사업에 있어서 개략공사비 산정 기준은 건설교통부 및 기획예산처, 한국도로공사 등에서 제시하는 평균 건설단가를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때 도로의 등급, 구조물 추간의 구성 비율 등에 따라 공사비를 도정하고 있으나 다양한 공사 특성을 반영하고, 지속적인 공사비 갱신의 기준 등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대규모 재원이 투입되는 건설공사의 공사비를 합리적인 방법으로 적정하게 예측하는 것은 사업비 관리 측면에서 필수적인 요소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획단계에서 가용한 정보를 활용하여 공사비를 예측할 수 있는 사에 기반추론 PSC BEAM교의 개략공사비 산정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시된 공사비 예측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본교량을 대상으로 공사비를 추정한 결과 $-11.92%{\sim}3.20%$의 추정편차를 나타내었으며, 기존 개략공사비 산정 기준에 비해 신뢰도가 향상되었다.

  • PDF

이.치수형 하천공사 개략공사비 산정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Approximate Cost Estimating Model for River Facility Construction at Planning Stage)

  • 이시욱;이정윤;박성환;최재준;우성권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95-103
    • /
    • 2009
  • 하천시설공사의 경우, 비정형적인 하천공사의 특성과 개략 공사비 산정을 위한 기준단가의 부재와 기본 설계단계 부재에 따른 가용정보의 부족 및 변동의 가능성 등의 특정으로 개략공사비 산정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기존의 하천공사의 개략공사비 산정은 하천제방의 대표 단면의 물량 산출을 통한 대표 단면 공사비 산정 후, 이에 단순히 연장(m)을곱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개략공사비 산정 방법론이 존재하지 않는 하천공사의 개략공사비 산정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있어, 기본설계가 없는 하천시설물공사의 특성을 고려해 기획단계에서의 개략공사비 산정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가예산이 투입되는 공공공사에서 국가예산의 낭비를 방지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공사비 산출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기획단계의 도로건설 공사비 예측 모델 (Road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Model in the Planning Phas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한형동;김정환;윤중호;서종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6D호
    • /
    • pp.829-837
    • /
    • 2011
  • 공사비 견적이란 건설공사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공사비를 산정하는 것으로, 공사 기획단계에서 사용하는 개략견적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도로공사의 경우, 현행 사용되는 개략견적방법은 과거의 실적자료를 산술평균하여 단위 km당 공사비를 제시한 것으로 실제 개략공사비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획단계의 도로공사견적 산정방식에 대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개략공사비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로건설 공사입찰을 위한 기본설계도면 작성 이후 공사비를 결정하는 변수를 포함한 과거 실적 자료를 바탕으로 인공신경망을 적용하여 기획단계에서 공사비 예측이 가능한 도로 공사비를 개략견적 하는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시행착오방식을 이용하여 모델의 변수들을 최적화하였다. 또한 최적화된 모델을 통해 나온 결과를 회귀분석을 적용한 결과와 비교하여 정확도가 뛰어남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인공신경망모델은 차후 도로건설공사의 개략공사비 산정을 위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확대 리모델링 개략 공사비 산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Basic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Model for Expansion of Underground Parking Lot Remodeling in Apartment Housing)

  • 정은빈;구충완;김태완;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42-52
    • /
    • 2021
  • 공동주택 주차장 리모델링 공사비는 전체 리모델링 공사비의 대략 20%를 차지한다. 지하주차장 공사비를 알면 전체 공사비 예측이 가능한 것이다. 공사비 산정 시 참고하는 표준품셈은 리모델링 공사비 산정에 적용하기 곤란하여 리모델링 공사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공사비 산정 모델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리모델링의 특징 및 설계 요소를 반영하여 개략 공사비를 산정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확대 리모델링의 개략 공사비 산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선행 연구 고찰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지하주차장 리모델링 공사의 Activity를 37개 도출하였다. 리모델링 설계도면이 확정되기 전 개략 공사비를 산정할 수 있도록 Activity 별 물량 산출식 및 단가를 제시하였다. 전문가 자문을 통해 공사비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개와 요인 별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리모델링 사례단지 3개를 개략 공사비 산정 모델에 적용한 결과, 정확도는 평균 93%로 나타났다.

PSC BEAM 교량 공사비 영향요인을 이용한 개략공사비 산정모델 개발 (Approximate Estimating Model for PSC BEAM Bridge Using Influence Factors)

  • 강찬성;임원석;김경민;김경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85-588
    • /
    • 2007
  • 대규모 재원이 투입되는 건설공사의 공사비를 합리적인 방법으로 적정하게 예측하는 것은 사업비 관리 측면에서 필수적이나 국내의 경우, 선진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공사비 예측 기술이 미흡한 수준으로 사업비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에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략공사비 산정모델 개발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기획 ${\cdot}$ 설계 단계에 대한 개략공사비 산정 모델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검증과 데이터 추가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공사비 예측기술 개발과 사업비 관리 인프라 기반조성을 통하여 건설공사의 품질을 확보하면서 예산 낭비 방지와 국가재원의 효율적 집행이 가능하며, 사업비 관리기술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건설 산업의 수익성을 재고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가용정보를 활용한 기획 및 설계초기 단계의 도로 공사비 예측모델 (Cost Prediction Models in the Early Stage of the Roadway Planning and Designbased on Limited Available Information)

  • 곽수남;김두연;김병일;최석진;한승헌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87-100
    • /
    • 2009
  • 공공사업에서 사업초기단계의 개략공사비 예측은 발주자에게 향후 공사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예산수립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사업초기단계는 획득 가능한 정보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정확한 공사비 예측이 어렵다. 현재 국내 발주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도로공사 개략공사비 산정체계는 단순하게 단위길이 당 단가에 도로의 연장을 곱하는 선형적인 모델이기 때문에 공사비 예측에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업의 진행에 따라 가용정보의 수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개략공사비 예측모델에는 이러한 가용정보의 특성이 반영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 초기단계를 크게 기획단계와 설계 초기단계의 두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의 가용정보 수준 및 공사비 예측의 목적을 고려한 개략공사비 산정모델을 제시하였다. 공사비 예측모델의 개발을 위하여 총 143건의 공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단계의 가용정보 수준에 적합한 공사비 영향변수를 도출하였다. 제안된 기획단계 및 설계초기 단계의 개략공사비 산정모델은 검증과정을 통하여 각 단계에서 요구되는 정확도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가용정보 수준에 입각한 개략공사비 산정모델은 향후 예산 산정업무나 타당성 조사, 노선 대안 비교검토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통계적 기법을 활용한 ILM압출공법 교량 상부공사 개략공사비 산정모델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he Approximate Cost Estimating Model Using Statistical Inference for PSC Box Girder Bridge Constructed by the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 김상범;조지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781-79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평균건설단가를 적용하여 개략 공사비를 산출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대표공종을 이용한 입력변수 도출 모델을 구축하여 기본설계단계에서 고려되어지는 여러 입력변수들을 활용하여 P.S.C(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교량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 공법에 연구 모델을 적용하고자 한다. 2000년부터 설계된 공사비 데이터와 설계자료 등을 분석하여 상부공사 중 총 공사비대비 누적비율 95%이상을 차지하는 공종을 대표공종으로 도출하였다. 각 대표공종의 하위공종에 대한 내역 분기를 실시하여 각 항목들의 Database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각적인 측면에서 개략공사비 산정 모델을 개발 및 제시하였으며,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대표공종을 기초로 단위물량을 사용한 개략공사비 산정모델(I)과 상관성이 높은 입력변수를 선택한 개략공사비 산정모델(II)과 상관계수 0.6이상의 입력변수들을 모두 포함하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개략공사비 산정모델(III)을 제시한다. 실제 총공사비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개략공사비 산정모델들을 비교하고, 신뢰성을 검증함으로써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산정방법에 비해 정밀도 측면에서 효율적인 공사비 관리방법을 제시한다.

대표공종 기반의 PSC Box 교량 상부공사 개략공사비 산정모델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Approximate Cost Estimating Model for PSC Box Girder Bridge based on the Breakdown of Standard Work)

  • 김상범;조지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791-800
    • /
    • 2013
  • 국내 도로 건설사업의 사업초기단계에서의 개략공사비 산정은 예비타당성조사, 도로업무편람, 투자평가지침에서 제시하는 도로의 평균단가 또는 표준단가를 기준으로 도출되는데 이는 공사비 산정 표준체계 부재 및 기초자료 갱신 평균단가를 적용하여 공사비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본 연구의 대상인 특수 교량공사의 특성을 전부 반영하기에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신속한 의사결정이나 대안선택이 결정되는 설계단계에서 소모적이고 획일적인 공사비 산정방식의 한계점을 개선하고 사업초기단계의 개략공사비산정 프로세스의 효율성 및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공사비 산정 모델을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균건설단가를 적용하여 개략 공사비를 산출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대표공종 기반의 상세물량입력 모델을 구축하였다. 실적 공사비 데이터 및 공종별 원가자료를 기반으로 토목공사 수량산출 지침서 기준 전체 공종내역 중 공사비 누적비율 대비 95%이상을 차지하는 대표적인 공종을 도출하였다. 상부면적당 대표공종기반 단위물량 및 차로수별 공사비단가를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교량형식별로 상부면적당 공사비단가를 도출 및 검증을 통해 사업초기단계에서 업무추진 의사결정의 신뢰적 지원 및 효율적인 공사비 산정방식을 도출 하였다.

RC라멘교의 기본설계단계 개략공사비 산정모델 (The Conceptual Cost Estimate Model on Preliminary Design Phase for RC Rahmen Bridge)

  • 김병수;권석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11-120
    • /
    • 2009
  • 건설공사에 소요되는 공사비의 개략적인 산정은 건설프로젝트의 계획단계뿐만 아니라 기본설계단계에서 예산을 확정하기 위해서 필수적이다. 현재 국내의 개략공사비 산정모델은 단위길이당 단가 또는 단위면적당의 단가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선형적인 단순 모델로써 오차율이 너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다한 오차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RC라멘교의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공사비의 변동특성에 따라 그룹핑(Grouping) 및 대표물량방식 그리고 합성단가를 사용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실제 설계공사비와의 오차를 상당히 줄일 수 있었으며 따라서 발주처나 용역업체에서 RC라멘교의 예산을 산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