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념적 수학

Search Result 1,27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atterns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effective concept learning - around theory of vectors (수학적 개념의 유형과 효과적인 개념학습 - 벡터이론을 중심으로)

  • Pak, Hong-Kyung;Kim, Tae-Wan;Lee, Woo-Dong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0 no.3
    • /
    • pp.105-126
    • /
    • 2007
  • The present paper considers how to teach mathematical concepts. In particular, we aim to a balanced, unified achievement for three elements of concept loaming such as concept understanding, computation and application through one's mathematical intuition. In order to do this, we classify concepts into three patterns, that is, intuitive concepts, logical concepts and formal concepts. Such classification is based on three kinds of philosophy of mathematics : intuitionism, logicism, fomalism. We provide a concrete, practical investigation with important nine concepts in theory of vectors from the viewpoint of three patterns of concepts. As a consequence, we suggest certain solutions for an effective concept learning in teaching theory of vectors.

  • PDF

Humanity mathematics education: revealing and clarifying ambiguities in mathematical concepts over th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인간주의 수학교육: 수학적 개념의 모호성을 드러내고 명확히 하기)

  • Park, Kyo-Sik;Yim, Jae-Hoon;Nam, Jin-Young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8 no.2
    • /
    • pp.201-221
    • /
    • 2008
  •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humanity mathematics education can be realized in practice. The essence of mathematical concept is gradually disclosed revealing the ambiguities in the concept currently accepted and clarifying them. Historical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oncepts has progressed as such, exemplified with the group-theoretical thought and continuous function. In learning of mathematical concepts, thus, students have to recognize, reveal and clarify the ambiguities that intuitive and context-dependent definitions in school mathematics have. We present the process of improvement of definitions of a tangent and a polygon in school mathematics as examples. In the process, students may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their thoughts and reform them with feelings of humility and satisfaction. Therefore this learning process would contribute to cultivating students' minds as the humanity mathematics education pursues.

  • PDF

대학수학에 필요한 기초 개념 이해도 측정

  • Kim, Byeong-M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57-68
    • /
    • 2005
  • 무한, 극한, 연속, 미분가능과 같은 중요한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대학수학 교양과정의 미분적분학 수강생들에게 필수적이다. 이들 개념의 이해 수준을 부록1, 2, 3을 통해 알아보고 평가를 분석한다. 평가결과는 이해도가 낮은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교수법이 필요성을 알게 하고 수학적 기본개념의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정의의 정확한 이해를 돕고 구체적인 예제를 제시하는 교수법 개발에 수학교수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도형영역 교수단위 추출 연구

  • Kim, Hyeo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
    • 2010.08a
    • /
    • pp.143-156
    • /
    • 2010
  •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수학교육과정도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 교사는 수학교육의 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함께 수학, 교육학, 심리학 등 수학교육과 관련된 학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교사에 대한 시대적인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으로 Wittmann(1984)은 수학교과의 특성상 변하지 않는 요소들을 교수단위(Teaching Units)라 하고, 수학교육을 통합시키는 개념으로 교수단위이론으로 제시하였다. 교수단위는 수학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들을 목적, 자료, 활동, 배경 등의 4요소에 따라 작은 단위로 조직화한 것으로, 이를 통해 수학연구자나 교사는 가르쳐야 할 내용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와 체계적인 조직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어 나아가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도형영역의 교수단위를 학년별로 추출하고, 추출된 교수단위의 특징과 제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단위가 수학교육과정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도형영역의 교수단위(TU)는 특징과 제목에 따라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의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의 도형영역 교육과정은 대체로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념적용형이 개념알기형보다 조금 더 많다. 이는 도형영역 교육과정이 학습한 개념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여러 활동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도형의 개념을 좀 더 명확하게 알게 되는 초등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교수단위(TU)는 수업자가 도형학습주제에 맞게 수업을 재구성하거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준별 맞춤자료를 제작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수학연구자들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수립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교수단위는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고 계속 보완되고 진화될 수 있는 모델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많은 수학연구자나 현장교사의 참여로 교수단위가 보다 더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추출된 교수단위를 교사나 학생들이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용 소프트웨어로 개발하려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수학적 창의성의 개념

  • Yu, Yun-Ja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81-94
    • /
    • 2004
  • 수학적 창의성의 개념을 과정적 정의로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으로 규정하여 수학적 영재의 판별을 문제 발견의 창의성과 문제해결의 창의성으로 나누고 각각에 대한 판별검사 도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수학 개념의 자기 주도적 구성을 위한 교수 ${\cdot}$ 학습 모델 개발 - Cabri Geometry II와 MathView 활용을 중심으로 -

  • Park, Yong-Beom;Kim, Han-Hui;Park, Il-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97-114
    • /
    • 1999
  • 새로운 세기의 수학 교육은 직관과 조작 활동에 바탕을 둔 경험에서 수학적 형식, 관계, 개념, 원리 및 법칙 등을 이해하도록 지도되어야 한다. 즉 학생들의 내면 세계에서 적절한 경험을 통하여 시각적 ${\cdot}$ 직관적으로 수학적 개념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상황과 대상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한 자기주도적 수학 개념 형성에 적합한 교수 ${\cdot}$ 학습 모델을 구안하여 보았다. 이는 수학의 필요성과 실용성 인식 및 자기주도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적 매체의 활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수학 교수 ${\cdot}$ 학습 이론을 근간으로 대수 ${\cdot}$ 해석 ${\cdot}$ 기하 및 스프레트시트의 상호 연계를 통하여 수학 지식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학습수행지를 제작하여 교사와 학생의 다원적 상호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 PDF

수 개념과 감각을 기르기 위한 자리값 지도 방안

  • Gang, Yeong-Ran;Nam, Seung-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63-72
    • /
    • 1999
  • 수학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수 개념과 감각의 형성과정에서 자리값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또한 자리 값의 개념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수와 연산지도가 통합되어야 하며, 논리적 사고력을 신장의 한 요소인 계산 알고리즘이 유의미한 학습되기 위해서는 자리값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수에 대한 개념적 지식이 불충분한 상태에서 양을 수치화 하거나 지필 위주로 계산 알고리즘을 기계적으로 적용함으로 해서 발생하는 수와 연산학습의 결손을 줄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 개념과 감각을 기르기 위해 자리값 지도 방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use of the Link Sheet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athematics learning (개념연결표의 활용이 예비교사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Han, Hye-Soo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5 no.2
    • /
    • pp.259-279
    • /
    • 201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use of link sheet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athematics learning. The study was conducted in Calculus course during 1 semester with 25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and focused group interviews, the use of the link sheet helped students to develop deeper understandings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In addition, the use of the link sheet encouraged students to realize the value of the mathematics and it also played a central role in creating ac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atmosphere.

  • PDF

Knowled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ith Respect to Division (나눗셈 개념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이해도 분석)

  • 김민경
    • School Mathematics
    • /
    • v.5 no.2
    • /
    • pp.223-24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of division through open-ended problems focused on the following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division : connectedness between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as well as the knowledge of units. Results indicates that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howed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division such as the making word problem including division of fraction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units in division operation.

  • PDF

Student Understanding of Scale: From Additive to Multiplicative Reasoning in the Constriction of Scale Representation by Ordering Objects in a Number Line (척도개념의 이해: 수학적 구조 조사로 과학교과에 나오는 물질의 크기를 표현하는 학생들의 이해도 분석)

  • Park, Eun-J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4 no.4
    • /
    • pp.335-347
    • /
    • 2014
  • Size/scale is a central idea in the science curriculum, providing explanations for various phenomena.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plore student understanding of this concept and to suggest instructional approaches in scientific contexts. In contrast, there have been more studies in mathematics, regarding the use of number lines to relate the nature of numbers to operation and representation of magnitud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variations in student conceptions of size/scale in scientific contexts and explain learning difficulties including alternative conceptions, this study suggests an approach that links mathematics with the analysis of student conceptions of size/scale, i.e.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structure and reasoning for a number line. In addition, data ranging from high school to college students facilitate the interpretation of conceptual complexity in terms of mathematical development of a number line. In this sense, findings from this study better explain the following by mathematical reasoning: (1) varied student conceptions, (2) key aspects of each conception, and (3) potential cognitive dimensions interpreting the size/scale concepts. Results of this study help us to understand the troublesomeness of learning size/scale and provide a direction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better understa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