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순일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초

쌀가루 입도가 쌀 식빵의 팽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ticle size of rice flour on popping rice bread)

  • 박미경;강순아;이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94호
    • /
    • pp.419-42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substitution of rice flour for wheat flour in making bread and thus the consumption of rice by examining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f rice flour on leavening rice bread. For this purpose, sever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regard to particle size distribution, 59.45% of wheat flour had passed 200 mesh and 3 kinds of rice flour milled to penetrate into 20, 35, and 45 mesh (S1, S2 and S3) had passed 21.88%, 33.1% and 36.38% of those for 200 mesh, respectively. To leaven the rice flour dough to bread, 25% of vital gluten was needed. To determine the optimal water quantity for rice bread dough, the hardness of wheat and rice flour dough was measured by rheometer. The appropriate water quantity for S1, S2 and S3 was set at 285 ml , 295 ml and 335${\sim}$340m1, respectively. The loaf volume index of the wheat flour bread was 6.24, while that of and rice flour bread S1, S2 and S3 was 5.38, 5.50 and 5.75,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af volume index of rice flour bread is lower than that of wheat flour bread, but that the volume of rice flour bread was increased with fuel particle size of rice flou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 of the wheat bread tissue at a magnification of 35 times showed long, large, oval-shaped, air cells and thin cell membrane, as well as small air cells, whereas the images of rice flour showed angular, circular, air cells and rough and thick cell membrane. The size and number of air cells in the rice bread were larger in S2 and S3 with fuel particle flours than in S1. In particular, the bread made with S3 contained many air cells that were as large as those in the wheat bread were. In addition, when the inner cell wall was magnified 1500 times, almost no small air cell was observed in C and S3, whereas many fine air cells were observed in the cell wall of S1 and S2.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해 유도된 인지 및 기억능력 손상에 대한 김치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Kimchi against Aβ25-35-induced Impairment of Cognition and Memory)

  • 최지명;이상현;박건영;강순아;조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60-366
    • /
    • 2014
  • 김치의 EtOH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상에서 DPPH와 ${\cdot}O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고, ICR mouse의 해마 부위에 $A{\beta}$를 주입시킨 AD model을 이용하여 김치 추출물을 2주간 투여한 후 물체 인지, T-maze, water maze의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살펴보았다. 김치추출물은 우수한 DPPH와 ${\cdot}O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AD 동물 model에서 해마 부위에 $A{\beta}$를 주입한 control군의 경우 물체 인지, 기억 및 학습능력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김치 추출물을 100과 200 mg/kg/day를 투여한 군에서는 물체 인지 실험에서 새로운 물체에 대한 호기심 정도가 높았으며, T-maze 실험에서는 새로운 길에 대한 탐색 정도도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ater maze 실험에서도 도피대를 찾아가는 반복 훈련을 할수록 도피대를 찾아가는 시간이 점차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피대를 기억하는 능력도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김치 추출물이 radical을 소거함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여 인지능력 및 기억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김치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 및 AD 예방에 대한 상관관계에 대한 작용기작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우리나라 대표 식품인 김치의 섭취로 인한 AD 예방 효과에 대해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폐경 후 한국 여성에서 이눌린 보충이 혈중 지질 농도와 변 담즙산 및 중성 스테롤 배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ulin Supplementation on Blood Lipid Levels, and Fecal Excretion of Bile Acid and Neutral Sterol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 이은영;김윤영;장기효;강순아;조여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5호
    • /
    • pp.352-363
    • /
    • 2004
  • Lipid-lowering effects of the inulin have been demonstrated in animal, yet attempts to reproduce similar effects in humans have generated conflicting results. In this study, the lipid-lowering potential of inulin and especially its effect on bile acid and neutral sterol excretion were investigated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Nineteen postmenopausal wom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in a double-blind parallel design and consumed one of two supplements for 12 weeks; placebo of 8g maltodextrins/sucrose mixture (placebo group) or 8g inulin (inulin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ody weight during the supplementation period in either inulin or placebo group. Dietary consumption of animal fat in both group tended to decrease after 12 weeks of experiment. Intake of cholesterol was lower in placebo group, whereas the decrease of cholesterol intake in inulin group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12 weeks. The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TC) and LDL-cholesterol (LDL-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placebo (p<0.05) and inulin group (p<0.01) after supplementation for 12 weeks compared with the baseline.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TG) and HDL-cholesterol (HDL-C)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inulin supplements, but atherogenic index (AI) and LDL-C/HDL-C ratio (LHR) as a predi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were improved (p<0.01) significantly after inulin supplementation. Therefore, inulin supplement may decrea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via improving blood cholesterol level. Fecal weight and pH were not changed after 12 weeks of supplementa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for the fecal short-chain fatty acids (SCFAs). In inulin group, fecal deoxycholic acid (DCA) was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with the baseline (p<0.05) whereas other bile acids were not changed. During the 12 weeks of intervention,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fecal excretion of neutral sterol in the two groups. In summary, dietary inulin decreases serum TC, LDL-C, AI, LHR and lowers excretion of fecal DCA in the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se results support the use of inulin for reducing risk factors for hyperlipidemic postmenopausal women. However, the exact mechanism (s) responsible for the blood lipid lowering action of inulin including altered fecal bile acid remain to be elucidated.

평균 6개월 모유영양 영아 어머니의 이유지식에 관한 고찰 (A Study of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on Weaning of Breast-fed Infants, the Age of 6 Months)

  • 강순아;신호정;임융호;김계애;우연희;전용훈;김순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53-46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on weaning of 101 infants (8 for 4 mo, 44 for 5 mo, 45 for 6 mo, 4 for 7 mo) at a public health center of Incheon. Informations on the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were obtained by questionnaires. In this survey $41.6\%$ of infants were breast-feeding, $43.6\%$ of them were bottle-feeding, and $14.9\%$ of them were mixed feeding right after birth. The rate of breast-feeding right after birt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others of high school graduate than mothers of college/university graduate (p < 0.05). The infants of mothers graduated high school began to be weaned significantly earlier than the infants of mothers graduated college/university (p < 0.05). $95.1\%$ of infants (n = 101) began to be weaned 4 to 6 months. $83.1\%$ of infants were fed home-made weaning foods. $66.7\%$ of infants were fed rice gruel, $18.5\%$ of them were fruit juice, $6.2\%$ of them were mixed grain, and $4.9\%$ of them were commercially prepared weaning foods as their first supplementary foods. As main supplementary foods, $32.8\%$ of infants were fed vegetable, $30.5\%$ of them were rice gruel, and $27.7\%$ of them were fruit juice.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related to weaning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mothers of college/ university graduate than mothers of high school graduate (p < 0.05). $86.1\%$ of mothers disagreed with the questionnaire in which breast-fed infants aged over 4 months needed to be fed iron sufficient food. For the improvement of nutritional status especially iron nutritional status of infants, nutritional education for mothers with weaning aged infants has to be increased and related programs have to be operated effectively.

한국.중국.일본 당귀가 cyclophosphamide로 유발된 흰쥐의 빈혈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Differences of Hematopoietic Effects of Angelica gigas, A. sinensis and A. acutiloba Extract on Cyclophosphamide-induced Anemic Rats)

  • 강순아;장기효;이지은;안덕균;박성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204-1208
    • /
    • 2003
  • 항암제인 cyclophosphamide를 흰쥐에 투여하여 유발된 빈혈증상에 대하여 한국당귀, 중국당귀, 일당귀의 투여가 빈혈회복에 미치는 효능을 비교한 연구로서,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에게 cyclophosphamide를 30mg/kg BW/day로 3회 복강 투여 후, 참당귀, 중국당귀와 일당귀 추출물을 1 g/kg BW/day로 14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Cyclophosphamide 투여로 체중감소는 대표적인 전신증상으로 나타났으나 당귀추출물의 투여가 cyclophosphamide에 의한 체중감소 부작용을 저해함으로써 체중증가를 유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참당귀 투여군은 적혈구 용적(hematocrit, Hct) 변화, 적,백혈구수 변화, 혈색소 농도 변화, 혈청 iron, transferrin 포화도 등의 항목에 대하여 유의성 있는 회복 효과를 나타내었고, 중국 및 일당귀 투여군은 백혈구수 감소에 대하여 유의성 있는 회복효과를 나타내었다. Cyclophosphamide 투여 후 비타민 $B_{12}$ 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중국당귀, 참당귀, 일당귀 순으로 비타민 $B_{12}$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당귀가 비타민 $B_{12}$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혈액생산작용에 도움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참당귀추출물 투여로 인해 혈액수치가 향상된 결과는 암 환자가 화학요법으로 인하여 생긴 빈혈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솔잎 첨가 벌꿀주의 발효 특성 (Effects of Supplementation with Needles of Pinus densiflora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Honey Wine)

  • 이제혁;한우철;김인철;정철;강순아;장기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3-359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솔잎을 꿀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주를 개발하는 것이다. 솔잎이 첨가되지 않은 꿀을 사용한 그룹을 대조군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솔잎-벌꿀주와 벌꿀주 등 2개의 그룹을 $20^{\circ}C$에서 30일간 발효한 후 숙성하였다. 솔잎-벌꿀주에서는 발효 초기에 pH와 효모 생균수 변화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였으나, 당도($^{\circ}Bx$)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효모는 발효 시작 후 5~10일에서 가장 높은 생균수를 보였다. 쌀효 전에는 솔잎-벌꿀주에서 발효액의 pH는 3.8으로 벌꿀주의 pH 3.4보다 높았다. 벌꿀주와 비교시 솔잎-벌꿀주에서 발효중 당도 감소 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pH는 초기의 산성 pH에서 중성쪽으로 변화하였고, 발효 속도는 증가하였다. 발효와 숙성을 거친 솔잎-벌꿀주는 $13.7^{\circ}Bx$, pH 3.05, 에탄올 함량 13.5%, 산가 0.37%를 보였다. 솔잎-벌꿀주의 관능적인 선호도를 높이기 위한 시도에서는 과당을 4% (w/v) 수준으로 첨가시 가장 결과가 좋았다.

당귀(當歸)와 황기(黃芪)의 배합 변화가 DPPH 자유기 소거에 미치는 영향 연구 (Compositions of Astragali Radix and Angelicae Radix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강순아;오명숙;김도림;강지웅;김원남;박은화;장문석;박성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24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tioxidant activity of ratio-related Angelicae Radix and Astragali Radix compositions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ethods : The species of Angelicae Radix was compared as Angelica gigas, A. sinensis and A. acutiloba. Then various compositions of Angelicae Radix with Astragali Radix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 Diphenyl-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measured after 10, 20 and 30 minutes. Each extracts were tested by 1, 5, 10, 50, 100, 500 and 1,000 ${\mu}g/ml$ concentrations.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Angelica gigas, A. sinensis and A. acutiloba scavenged DPPH radical with 66.8, 61.7 and 56.7% in 1,000 ${\mu}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result, Angelicae Radix and Astragali Hadix compositions with 100:0, 10:1, 5:1, 3:1, 1:1, 1:3, 1:5, 1:10 and 0:100 ratio were scavenged DPPH radical with 56.3, 49.9, 61.2, 55.7, 54.7, 55.0, 52.8 ,md 50.2% in 1,000 ${\mu}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 extract of Angelicae Radix and Astragali Radix compositions with 100:0, 10:1, 5:1, 3:1, 1:1, 1:3, 1:5, 1:10 and 0:100 ratio scavenged DPPH radical with the $IC_{50}$ being 85,21, 1016.26, 656.51, 785.67 and 956.74 ${\mu}g/ml$ respectively.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 extract of Angelicae Radix and Astragali Radix compositions with 1:1 ratio showed dose-depend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PDF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에서 발효된 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in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Containers)

  • 이은지;박소은;최혜선;한귀정;강순아;박건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93-799
    • /
    • 2010
  • 김치를 기체 투과도가 조절된 플라스틱 용기, 시유옹기, 유리병을 사용하여 각각 발효하였을 때, 그 품질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5^{\circ}C$에서 8주간 발효하면서 관찰하였다. 다른 용기에 보관한 김치에 비해,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한 김치의 pH 감소가 적었으며, 산도 역시 8주 후에 0.99로 나타나 증가율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미생물수의 변화를 보면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한 김치가 총균수의 증가는 적고, 유산균의 증가는 높게 나타나 김치의 발효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김치 조직의 탄성은 역시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한 김치에서 그 감소폭이 가장 적었으며, 적숙기인 3-4주차 때에는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와 유리병에 보관한 김치간의 탄성 차이가 10%정도로 매우 크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에서도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에서 발효한 김치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질감 및 외관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점수가 높았다.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한 김치의 항산화 효과는 다른 용기에 보관한 김치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용기별 기체투과도에 있어서도, 시유옹기에서 $O_2$, $CO_2$ 투과력이 각각 $10\;mmol\;h^{-1}\;m^{-2}\;atm^{-1}$, $13.7\;mmol\;h^{-1}\;m^{-2}\;atm^{-1}$,이었는데 비해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가 $458\;mmol\;h^{-1}\;m^{-2}\;atm^{-1}$, $357\;mmol\;h^{-1}\;m^{-2}\;atm^{-1}$, 로 더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전통적으로 김치발효 용기로 사용된 옹기와 유사한 결과이며, 따라서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는 김치 발효에 적합한 용기이며, 앞으로 김치의 보관 및 발효에 있어서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동증류기를 이용한 과실증류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uit Spirits from a Copper Distillation Apparatus)

  • 조호철;강순아;최성인;정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43-752
    • /
    • 2013
  • 과실을 이용한 증류주 개발에 있어서 국내에서 생산량이 많고 과잉생산으로 인한 잉여과실 발생빈도가 높은 사과와 감귤을 선정하였으며, 외국에서 증류주 제조에 많이 사용하고 국내에 많이 자생하는 마가목 열매를 원료로 선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원료의 발효특성에 따라 맞춤형 효모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한 술덧을 동재질의 상압다단식 증류기와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압단식 증류기 및 감압단식증류기 등으로 각각 증류한 증류주의 주요 향기성분과 증류효율 등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상기 증류주의 품질평가를 위해 4개월 숙성 후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과와 감귤의 경우 원료 사용비율에 관계없이 발효가 원활히 진행되었으나 마가목 열매의 경우 원료사용비율이 10 w/v% 이상일 경우 발효가 되지 않거나 미미하였으며, 사용비율이 8 w/v% 이하일 때에는 원활한 발효가 진행되었다. 원료별, 증류방식별로 초류, 본류, 후류로 나누어 증류한 증류주의 증류효율을 검토한 결과 과실 원료 차이에 따른 증류주의 수율 차이는 적었지만, 증류효율 면에서는 상압다단식 증류기, 상압단식, 감압단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과실증류주의 주요 향기성분 분석결과 증류방식별 다소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모든 원료에서 동재질의 상압다단식증류 방식에 의해 제조된 시제품이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압단식 및 감압단식방식에 의해 제조된 증류주에 비해 아로마가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용된 원료에 관계없이 증류수율, 작업능률 및 품질측면에서 동재질의 상압다단식증류방식이 스테인리스 재질의 단식 또는 감압증류방식보다는 증류주제조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쌀을 이용한 증류주 제조에만 국한되어 있는 국내 증류주시장을 고려하면 과실을 이용한 유럽스타일의 증류주 제조, 특히 마가목 열매를 이용한 과실증류주 상품화 기술은 향후 FTA 시대를 맞아 시장 다변화 및 우리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베타-글루칸의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쥐에서 체지방 및 혈청지질 개선효과 (The Improvement Effects of β-Glucan on Adiposity and Serum Lipids Level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 홍경희;김현순;장기효;강순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973-3981
    • /
    • 2015
  • 본 연구는 미생물 유래 베타-글루칸의 항비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을 통해 식이 베타-글루칸이 체지방 형성과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prague-Dawley종 흰쥐를 6주간 고지방 식이로 사육하여 비만을 유도한 후 베타-글루칸을 각각 식이 무게의 0%(고지방 대조군), 0.1%, 0.5%로 함유한 식이로 5주간 사육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AIN-76A 식이로 사육하였다. 고지방식이군에서 단위체중당 체지방이 많았으며, 0.1% 베타-글루칸 공급은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된 복막지방, 내장지방 축적을 각각 16%와 19% 억제하였고, 혈중 렙틴을 28% 감소시켰다(P<0.05).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고지방 대조군의 평균 지방세포 크기는 1.7배 높았으며, 베타-글루칸 섭취군에서는 감소하여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낮아졌다(P<0.05). 0.1% 베타-글루칸 섭취에 의해 혈청 유리지방산 농도는 19% 감소하였고, 반면 HDL 콜레스테롤 50%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베타-글루칸 공급은 렙틴과 같은 호르몬 분비와 지단백질 대사 변화로 지질 대사 개선을 유도하고 체지방 형성과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 베타-글루칸은 고지방 식사에 기인하는 비만과 이상지혈증 개선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