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항인증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3초

지속 감항성 유지 프로그램 운영 경험의 항공기 설계와 인증 단계 적용 (Application of Operational Experience of the Continuous Airworthiness Program at the stage of Aircraft Design and Certification)

  • 구민성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9-14
    • /
    • 2013
  • Continuous airworthiness system is comprised of regulations and procedures to assure the safety and reliability through the total stage of development, certification and operation of aircraft. The purpose of this system is not only to provide the guidelines that should be kept by manufacturers and operators, but also to evaluate the maintenance capability in every activity of safety related procedures.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id and large size aircraft, operational experience should be reflected systematically for a safer and more reliable product by using the meaningful data base from operation. The relationship of safety roles between manufacturer and operator is mutually complementary, and the roles of each function have an influence to the next step. Overall structure of the procedure contains the concept of continuous analysis and feedback to achieve highest degree of safety and reliability during the entire life of aircraft. Finally, this paper describes how the feedback is made and used for aircraft design from operational experience under the continuous analysis and surveillance system.

다양한 형상의 동일 기종 항공기에 대한 성능개량 최적 구현 방안 연구 (The Study of Optimal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 for Aircraft of Various Variants within the Same Type)

  • 김영일;안승범;최명석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1-320
    • /
    • 2022
  •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optimal method of improving performance for aircraft having various variants within the same type. The study defined configuration of an entire fleet of aircraft being subject to a performance improvement program. And selected the most complicated aircraft configuration among them as a Standard Aircraft for modification by according to the proposed Aircraft Selection Process for developing an optimal Aircraft Performance Improvement Process. Based on the selected the Standard Aircraft, drew a system integration design result and carried out Evaluation Test and obtained Airworthiness Certification. Created the database with the design data of the Standard Aircraft, Evaluation Test, and Airworthiness Certification results, and applied it to variants of aircraft to complet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program with optimized schedules and costs.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IFF performance improvement program, drew optimal system integration design and completed the program with minimized schedule.

경량항공기 개발동향 및 인증제도 고찰 (Development Trend of Light Sport Aircraft and Certification Policy)

  • 김용석;신홍철;신대원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4-91
    • /
    • 2010
  • New aircraft category such as Light Sport Aircraft is introduced to prevent Ultralight Vehicle accidents and to promote aviation sports. Therefore, a new rule for airworthiness standard, certifica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light sport aircraft is being created.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LSA concept, development trend of LSA, airworthiness standards and certification policy. In particular, an aircraft type analysis of FAA certified LSA is conducted to establish performance requirements of Light Sport Aircraft designs.

경량항공기 인증제도 분석 (The Analysis the Certification Policy of Light Sport Aircraft)

  • 신대원;김웅이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1
    • /
    • 2013
  • In the present study, which is currently operating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rom the Technical Standards for Flight Safety of Light Sport Aircraft and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SA Category Airworthiness Certifications documents. In particular, an aircraft type analysis of FAA certified S-LSA that the speed greater than 120 knots LSA manufactured without United States of America. Through the analysis, we presented a revised plan to activation of the domestic aviation leisure sports and the development of the Light Sport Aircraft industry in reality.

러시아 항공기 인증체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ussian Aircraft Certification System)

  • 양하영;박소라;도륜호;이지은;백운율;강태영;유창경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9호
    • /
    • pp.647-655
    • /
    • 2022
  • 러시아 정부는 세계 3위의 민간항공기 생산 강국을 목표로 민간항공기 제작기술 및 첨단 소재 확보를 위해 외국과 생산 제휴 등 전략적 협력을 확대하는 중이다. 또한 러시아 정부는 항공기 제작산업의 발전을 지원하고 항공 인증 조직을 개편하여 체계적인 항공안전 확보를 추구하고 항공제품 수출을 위한 국제협력과 인증활동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가 간에 민간항공기 안전 및 인증분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인증시스템에 대한 상호간의 이해와 신뢰를 구축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러시아의 항공기 인증조직, 법령체계, 인증절차를 분석하여 러시아의 항공기 인증체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UAM 항공기 낙뢰 및 HIRF 환경에서 덕트의 케이블 보호 성능 분석 및 인증기술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Cable Protection of Duct in Lightning and HIRF Environment of UAM Aircraft and a Proposal for Certification Guidance)

  • 김동현;조재현;김윤곤;이학진;명노신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34
    • /
    • 2022
  • UAM (Urban Air Mobility) 항공기에 대한 수요가 세계 각 도시들은 인구집중으로 인한 교통체증 문제로 늘어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고정익 날개의 유무와 추진 시스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 항공기가 연구개발을 통해 상용화 준비 중이며, 도심을 비행하고 사람이 탑승하는 유인운송수단이므로 감항증명이 요구된다. UAM 항공기는 복합재 사용 비중 증가, 전기모터 사용, 다양한 전자 장비 탑재 등 낙뢰 및 HIRF 환경에 취약하다. 현재 UAM 항공기에 대한 낙뢰 및 HIRF 환경에서의 인증기술과 지침 및 요건 개발은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연방항공청(FAA)에서 발행한 AC 20-136B와 AC 20-158A에 나타난 회전익 항공기의 낙뢰 및 HIRF 간접 영향에 대한 적합성 인증 절차를 확인하고 UAM 항공기 전자기 전산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였다. 덕티드 팬 형 UAM 항공기에 대한 낙뢰 및 HIRF 영향성을 전산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고, 향후 운용될 UAM 항공기의 인증을 위한 실무지침 수립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항공기 엔진 및 보조동력장치 인증제도 현황 (A Study on Certification System for Aircraft Engines and Auxiliary Power Units)

  • 이은희;이강이;김진희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94-197
    • /
    • 2017
  • 항공기 엔진과 보조동력장치는 안전성에 기반하여 감항성 기준과 인증절차에 따라 반드시 인증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항공기 엔진은 형식증명을 통하여 설계와 제작에 대한 적합성을 입증하여야 하며, 보조동력장치의 경우는 기술표준품 표준서에서 요구하고 있는 최소성능표준(Minimum Performance Standards)에 대하여 설계와 생산에 대한 적합성을 입증하여야 한다. 우리나라는 항공기 엔진에 대한 항공기기술기준으로 Part 33을 제정하고 있으나, 보조동력장치에 대한 인증 기준은 고시되지 않은 상태이다. 항공기 엔진과 보조동력장치의 개발과 인증체계 구축은 우리나라 항공 산업을 한단계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엔진 및 보조동력장치에 대한 인증 현황을 통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고정익/회전익 인증기준 및 수직이착륙 특수기술기준 분석 기반의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인증기준 개발 방안 (A Study on Development of Certification Basis for VTOL UAS Based on Analysis of Certification Criteria for Fixed/Rotary Wing UAS and SC-VTOL)

  • 유민영;김수호;진경훈;오연경;이환;김우겸;공병호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6-23
    • /
    • 2021
  • 국내외 제조업체들은 미래 기술 수요에 발맞춰 여러 형상의 수직이착륙(VTOL) 무인항공기를 개발하고 있다. 그동안 무인항공기는 고정익/회전익으로 분류 가능한 형상으로 개발되고 그에 맞는 인증기준으로 검증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현재 VTOL 무인항공기는 VTOL에 특화된 인증기준의 부재로 인해 감항성 검증이 제한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고정익/회전익 무인항공기 인증기준 STANAG-4671 및 STANAG-4702와 유럽항공안전청(EASA)의 수직이착륙 특수기술기준(SC-VTOL)을 분석하여 VTOL 무인항공기에 적용 가능한 인증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준 항목별로 일반/고정익/VTOL 특성 분류기준을 수립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PAV 케이블 하네스에 대한 낙뢰 간접 영향성 인증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ertification of Lightning Indirect Effects on Cable Harness in Personal Air Vehicles)

  • 조재현;김윤곤;박세웅;명노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1-262
    • /
    • 2021
  • 최근 세계적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PAV(Personal Air Vehicle)에 대한 낙뢰 간접 영향성 인증 지침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미래 교통수단으로서 소형화, 전기 엔진 사용, 복합재 사용 증가, 무인 항법 시스템 적용하는 추세인 PAV는 낙뢰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미연방항공청(FAA)에서 발행한 AC 20 136B에 나타난 낙뢰 간접 영향에 대한 적합성 인증절차를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RTCA DO 160G Sec. 22에 수록된 장비 과도 설계 수준에 대한 인증 지침을 PAV에 적용하였다. 이어서 SAE ARP 5416A에 수록된 항공기 수준 시험을 전자기 해석 소프트웨어 EMA3D을 통해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PAV에 대한 실제 과도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적합성 인증에 필요한 자료를 도출하였다.

전기추진 수직이착륙 항공기 인증제도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eVTOL Aircraft)

  • 임대진;이관중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29
    • /
    • 2021
  • 항공기 추진시스템 전동화, 분산추진기술, 자율지능기술의 발달로 전기추진 수직이착륙 항공기(eVTOL: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를 활용한 도심항공교통서비스 구현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미국, 유럽 등 항공선진국들에서 전기추진 수직이착륙 항공기에 대한 인증제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19년 유럽항공안전청이 수직이착륙 항공기를 위한 새로운 기술기준 SC-VTOL을 고시하는 등 근시일 내 인증제도 마련이 예상되나 국내 인증제도는 eVTOL 항공기의 개발과 시장 운용에 대비가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eVTOL 개발과 인증제도 마련 동향을 조사하고, 미국/유럽의 제도개선 방향을 분석하여 국내에 관련 인증제도 마련을 위한 고려사항을 분석하였다. 이 후 SC-VTOL과 현행 국내 항공기기술기준을 비교분석하고 국내 eVTOL 항공기 형식증명/형식증명승인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