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감정소진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8초

독립사업자의 감정노동전략이 감정소진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Independent Business Owners' Emotional Labor on Emotional Exhaustion and Depression: Moderating Role of Regulatory Focus)

  • 이훈;전주언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5호
    • /
    • pp.251-264
    • /
    • 2022
  • 고객서비스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아지면서 국내 벤처기업들의 감정노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감정노동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감정노동전략이 감정소진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상반된 주장이 발견된다. 이는 기존 연구들이 연구설계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고, 감정노동자의 심리적 유연성을 고려하지 못 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고려해 근로자들이 채택한 감정노동전략(표면행위와 내면행위)이 감정소진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반복측정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또한 근로자들의 조절초점에 따라 감정소진과 우울감은 다를 것으로 예측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했다. 감정노동 근로자들을 동일 표본으로 선정한 후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채택한 감정노동전략과 감정소진, 우울감을 측정해 근로자들의 심리적 역동성을 추정했다. 분석결과 감정노동전략 중 표면행위는 감정소진과 우울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행위는 감정소진과 우울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방초점에 의한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우울감을 더욱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요일별 감정소진과 우울감을 비교해 본 결과 내면행위에 비해 표면행위에 따른 감정소진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욱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해 국내 벤처기업들에게 감정노동자들의 심리장애를 회복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했다.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감정소진,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otional Labor, Emotional Burnout,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

  • 정경이;한옥성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0-286
    • /
    • 2015
  • 본 연구는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감정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광주지역의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감정소진, 이직의도를 분석한 결과 감정노동의 경우 4년제졸업 및 대학원 이상이 3.72,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3.85로, 월 소득 수준은 200만원 미만이 3.76으로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감정소진에서는 연령에서, 이직의도는 연령과 임상경력이 5년 이하인 경우에, 치과병원에서 근무한 경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05). 감정노동, 감정소진, 이직의도에 대한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정노동은 감정소진(r=0.280, p<0.01)과 이직의도(r=0.194, p<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감정소진은 이직의도(r=0.359,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임상경력이 5년 이하인 경우, 5일제 근무를 안 하는 경우, 감정소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감정노동을 완화 및 관리하기 위한 개인 및 조직적인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콜센터 근로자의 감정노동과 감정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Relations of Emotional Labor to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Call Center Workers)

  • 이수연;양해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97-210
    • /
    • 2008
  • 본 연구는 고객과 직접적인 대면을 하지 않고 전화를 이용하여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을 수행하는 콜센터 상담원들의 감정노동의 결과로 표출되는 감정소진(emotional exhaustion)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감정소진이 직무만족을 저해시켜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이직율이 높은 콜센터 운영에서 관리하여야할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실증하였다. 감정소진을 낮추기 위해서는 시간적 압력을 낮추고 업무의 자율성을 부여하여야 하며, 이직의도를 낮추는 위해서는 상사지원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콜센터 운영에 있어서 감정노동이 상담원의 관리에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 가 있다.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감정소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Call Center Tele-Communicators)

  • 이수연;양해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91-308
    • /
    • 2008
  • 본 연구는 고객과 직접적인 대면을 하지 알고 전화를 이용하여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을 수행하는 콜센터 상담원들의 감정노동의 결과로 표출되는 감정소진(emotional exhaustion)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감정소진이 직무만족을 저해시켜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이직율이 높은 콜센터 경영에서 관리하여야할 중요한 요소라는 것에 대한 실증적인 증거를 제시하였다. 감정소진을 낮추기 위해서는 시간적 압력을 낮추고 업무의 자율성을 부여하여야 하며, 이직의도를 낮추는 위해서는 상사지원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콜센터 경영에 있어서 감정노동이 상담원의 관리에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 PDF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Psychological Burnout)

  • 복미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141-14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보험 회사의 고객센터 상담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객센터 상담사들은 감정노동의 표면화 행위보다는 내면화 행위에 대한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소진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정서적 고갈은 여성 상담사일수록, 개인적 성취감 결여는 고졸일수록, 1일 전화응대시간이 8시간 초과할수록, 월평균가계소득이 낮을수록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상담사의 개인특성과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감정노동의 표면화 행위가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을 증가시켰고, 월평균 가계소득이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을 감소시켰다. 개인적 성취감 결여는 감정노동의 표면화 행위가 높을수록, 1일 전화 응대시간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월평균 가계소득이 높을수록, 감정노동의 내면화 행위가 많을수록 개인적 성취감 결여는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and Career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 김영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57-76
    • /
    • 2012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 보육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여기서 회수된 자료는 SPSS 12.0(v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Likert 5점 척도를 사용 했을 때 감정노동 3.05, 소진 3.22, 경력몰입 2.86 순서로 평균값을 나타냈다. 둘째, 감정노동, 소진, 경력몰입은 변인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셋째, 감정노동은 소진 하위변인인 정서적 소진, 비인격화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성취감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감정노동은 경력몰입에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은 암묵적으로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었던 소진과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심도 깊은 논의를 거쳐 인적 자원관리 차원에서 보육교사 감정노동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소진이 고객지향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Consultant's Emotional Exhaustion at the Call Center)

  • 조상은;양해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86-403
    • /
    • 2010
  • 본 연구는 콜센터에서 업무특성상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을 수행하는 상담원들이 감정소진(emotional exhaustion)의 결과로 고객에 대한 친절의 욕구, 성취감의 욕구 저하가 초래되어 고객지향성 및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소진이 고객지향성 및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서울지역 콜센터 상담원을 대상으로 회수된 설문지 157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상담원의 감정소진이 고객지향성 및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상담원의 감정소진의 정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업무수행시 시간적 압력을 낮추고 업무의 자율성과 권한을 부여하여야 하며, 유관부서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리자들과 상담원간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감정소진을 저하 시키는 요인을 제거하고 개선시켜서 업무수행의 주체인 상담원의 감정소진 경험을 최소화 시켜야 한다는 중요성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콜센터 운영에 있어서 상담원의 감정소진이 고객지향성 및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 요소라는 것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 가 있다.

신규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및 직무소진 (A Study of New Nurses'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Job burnout)

  • 박인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3-374
    • /
    • 2018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이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98명의 신규간호사이었고,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IBM SPSS 2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감정노동이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과 소진과는 모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정노동, 회복탄력성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35.2% ($R^2=.352$)이었다(F=38.05, p<.001). 결론적으로, 신규간호사의 직무소진을 감소하고 임상적응능력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 PDF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적 부조화와 직무소진의 영향관계: 감정지능의 조절효과 분석 (Effects of Korean Marine Police's Emotive Dissonance on Job Burnout: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 임유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8-334
    • /
    • 2016
  • 경찰공무원들의 일상생활은 수많은 범죄행위와 범죄피해 그리고 범죄현장에 직면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이러한 경우 개인의 부정적인 감정이 표현될 수도 있다. 해양경찰 조직 내에서 구성원들의 부정적인 감정은 직장에 대한 기여도와 직무에 대한 성취도 그리고 효과적인 직무처리를 위한 자신감을 향상시켜 준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의 감정적 부조화를 통제하는 것은 조직의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된다. 이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적 부조화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감정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집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적 부조화 하위요인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의식적으로 감정표현을 하거나 절제하려고 노력할 때 감정적 부조화를 느끼지 않으며 바람직한 감정표현을 하는 과정에서 감정지능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지능은 직무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적 부조화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감정지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국,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비교한 결과, 해양경찰공무원들은 감정적 부조화가 직무소진을 느끼는 것만큼 감정지능에 의해 직접적으로 직무소진을 경험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소진탄력성이 노인복지관종사자들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kers's Burnout Resilience on Burnout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 김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401-409
    • /
    • 2014
  •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로서 노인복지관종사자들의 소진위험성과 소진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동시에 소진위험성이 소진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소진탄력성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노인복지관 13곳에 근무하는 종사자들 중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소진의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는 소진위험성, 소진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소진탄력성, 그리고 전문가의 업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소진(감정고갈)을 구조화된 척도로 측정하였다. 대상들의 일반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주요 변수들간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 독립변수, 종속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소진위험성은 소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2) 소진위험성은 소진탄력성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3) 소진탄력성은 소진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로서 노인복지관종사자들이 소진을 겪게 되는 과정의 예방적인 차원에서 소진탄력성의 유효성을 검증한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