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성 판별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Emotion Level Recognition System for Repeated Computational Stresses (반복 연산 스트레스의 레벨 인식 시스템 구성에 관한 연구)

  • 박광훈;김승태;이윤진;장중식;고한우;김동선;신동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45-14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20 대 남자 대학생 45 명에게 세단계의 난이도를 갖는 덧셈연산을 수행하게 하여 반복 연산 스트레스를 유발시켰고, 각각의 피검자들로부터 생체신호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생체신호로부터 8 개의 감성 파라메터를 추출하였다. 연산스트레스의 감성지수화를 위하여 세단계의 감성지수 인식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각 단계의 감성지수 판별을 위하여 선형 판별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판별성능 분석은 Cross Validation 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연산스트레스의 감성지수 인식율은, 학습용 데이타에서는 77.66% Cross Validation 에서는 63.02%의 일반화된 감성지수 인식성능을 보였다.

  • PDF

Development of the Emotion Evaluation System for the Repeated Computational Stress (반복 연산 스트레스에 대한 감성 평가 시스템 구현)

  • 박광훈;하은호;김동윤;김승태;김동선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2 no.1
    • /
    • pp.19-2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20대 남자 대학생 45명에게 반복 연산 스트레스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세 단계의 난이도를 갖는 덧셈 연산을 수행하게 하였으며, 이때 각 피검자들로부터 이에 대한 생체 신호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생체 신호로부터 제시된 연산 스트레스에 대한 감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7개의 생체 파라미터를 사용하였고, 비선형 특성을 갖는 연산 스트레스에 대한 감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 단계의 구조를 갖는 감성 평가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또한 감성평가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평가 시스템의 각 단계를 선형 판별 알고리즘인 Least Mean Square Algorithm을 이용한 경우와 비선형 판별 알고리즘인 Radial-Based Functional-link Net을 이용한 경우를 사용하였다. 각 감성 평가 시스템은 Cross Validation을 사용하여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전체 감성 평가 시스템에서의 연산 스트레스에 대한 감성 평가 정확도는 선형 알고리즘을 이용할 경우 63.02%, RBFLN을 이용한 경우는 83.07%를 얻었다.

  • PDF

A Discrimination System Model of Harmful Contents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llective Emotions (집단지성 및 집단감성을 활용한 유해 콘텐츠 판별 시스템 모델)

  • Yoon, Mi-Sun;Kim, Bo-Ra;Kim, Myuhng-Joo;Moon, Young-Bi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2
    • /
    • pp.37-45
    • /
    • 2012
  • The case of South Korea's Internet newspapers, harmful advertising is illegal but rampant. The children and youth are not protected, so effective measures are urgently required. Therefore, to achieve self-regulation, a discrimination system model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llective emotions is proposed.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scrimination System Model of harmful contents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llective emotions as the actual program of self-regulation. The Discrimination System model forms the level of harmful contents by using contents, form, text, size as well as the implied and reminiscent story of image as discriminant factors of a group testing. The formed level is established for harmful contents discriminant criteria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generalization again. It can be not clear and ambiguous for internet newspaper banner ads to be measure the level of harmfulness. This Discrimination System will have the strengths of resolving this problem.

  • PDF

Determination of voice phishing based on deep learning and sentiment analysis (딥러닝과 감성 분석에 따른 보이스피싱 여부 판별)

  • Kim, Won-Woong;Kang, Yea-Jun;Kim, Hyun-Ji;Yang, Yu-Jin;Oh, Yu-Jin;Lee, Min-Woo;Lim, Se-Jin;Seo, Hwa-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811-81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점차 진화되어가는 보이스피싱 수법에 대하여 딥러닝 기반 네트워크인 DNN(Deep Neural Network)를 통한 보이스피싱 여부 판별할 뿐만 아니라, CNN, Bi-LSTM을 활용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감성 분석을 통하여 보이스피싱 조직원의 감성 상태를 파악하여 판별된 결과에 신뢰도를 높여주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Classification of Subjective Sensation by Surface Fibers Measured by Image Analysis Technique (이미지 분석기법으로 측정한 표면섬유에 의한 주관적 감각 판별)

  • 김동옥;김은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81-138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분석기법으로부터 측정된 표면섬유과 가와바타 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직물의 표면특성과 주관적 거칠기, 따뜻함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시료로는 춘추용 수트직물로 사용되는 평직과 능직의 소모직물 32종을 사용하였다. 표면섬유의 분석을 위해서 이미지 분석장치로부터 촬영된 직물 표면 이미지로부터 단위길이의 직물안에 들어가는 표면섬유의 총길이(Fiber Aggregate Length)가 측정되었다. 직물의 주관적 평가를 위해 일관성 테스트와 평가능력 향상 훈련을 마친 20명 패널을 대상으로 기준직물을 제시한 9 의미미분척도를 사용하여 직물의 거칠기와 따뜻함에 대해 평가하였다. 직물의 표면섬유와 주관적인 거칠기, 따뜻함간의 상관성이 분석되었고, 직물의 표면 특성, 표면섬유로부터 직물의 감각을 판별하는 판별식을 도출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the Time Series Analysis System for EEG Signal using SAS Package (SAS패키지를 이용한 EEG신호 시계열분석 시스템)

  • 김진호;이현우;임성식;황민철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1
    • /
    • pp.53-60
    • /
    • 1999
  • EEG 생리신호의 분석은 국내에서도 최근에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시계열을 이용한 분석법은 통계학의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감성과학 연구자들이 보다 쉽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Tool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EG 생리신호 분석을 위한 모형분석 시스템과 생리신호 분류를 위한 판별분류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에서는 신호분석을 위한 그래프 작성, 자극 신호에 대한 모형식별 방법의 제시, 모형에 대한 추정 및 진단 기준에 따른 최적의 모형선정 방법 등을 지원한다. 또한 선정된 모형에 이해 모수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계에 대한 지식이 없이도 쉽게 각 뇌파 신호들을 판별 분류할 수 있다.

  • PDF

Abstraction Method of Sensibility Factors for Streetscape Design (도로경관 설계를 위한 감성요인 추출 방법에 관한 연구)

  • Lee, Byung-Joo;Kim, Myung-Soo;Jo, Kyung-Do;NamGung, M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2 no.2
    • /
    • pp.51-61
    • /
    • 2010
  • According as the quality of life is improved along with economic growth, in the road plan and design sector also, it is now progressed that function oriented design is changed into the landscape oriented design that considers eyesight and emotion, which are psychological properties of users. Accordingly this study tries to come up with reasonable and objective methods to extract various emotional adjectives, which were found by the survey, while minimizing difference among characteristics of emotion and cognition of individuals. First, given semantic differential, based on various emotional adjectives that were found through the survey with the scale up to five points, the author extracted representative emotional adjectives through an element analysis, which is a conventional method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through an identification analysis which is suggested by this study, and then established model I of Quantification. And by using the established quantification model, the author presumed satisfaction degree, and through verifying pair wise comparison with actual satisfaction degree, the author found the results from identific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are most similar to actual satisfaction degree. As a result, the author could check the above emotional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appropriate methods for comprehending which emotional elements are applicable when a continuous road landscape is designed by identification and correlation analyses.

Empirical Sentiment Classification Using Psychological Emotions and Social Web Data (심리학적 감정과 소셜 웹 자료를 이용한 감성의 실증적 분류)

  • Chang, Moon-S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2 no.5
    • /
    • pp.563-569
    • /
    • 2012
  • The studies of opinion mining or sentiment analysis have been the focus with social web proliferation. Sentiment analysis requires sentiment resources to decide its polarity. In the existing sentiment analysis, they have been built resources designed with intensity of sentiment polarity and decided polarity of opinion using the ones. In this paper, I will present sentiment categories for not only polarity of opinion but also the basis of positive/negative opinion. I will define psychological emotions to primary sentiments for the reasonable classification. And I will extract the informations of sentiment from social web texts for the actual distribution of sentiments in social web. Re-classifying primary sentiments based on extracted sentiment information, I will organize sentiment categories for the social web. In this paper, I will present 23 categories of sentiment by using proposed method.

Sensitivity Lighting System Based on multimodal (멀티모달 기반의 감성 조명 시스템)

  • Kwon, Sun-Min;Jung, In-Bum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4
    • /
    • pp.721-729
    • /
    • 2012
  • In this paper, human sensibility is measured on multi-modal environment and a sensitivity lighting system is implemented according to driven emotional indexes. We use LED lighting because it supports ecological circumstance, high efficiency, and long lifetime. In particular, the LED lighting provides various color schemes even in single lighting bulb. To cognize the human sensibility, we use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arousal state information, which are composed of multi-modal basis and calculates emotional indexes. In experiments, as the LED lighting color vision varies according to users' emotional index, we show that it provides human friendly lighting system compared to the existing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