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 이미지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5초

이미지 관리

  • 김인경
    • 한국산업간호협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간호협회 1998년도 건강진단과 사후관리
    • /
    • pp.47-74
    • /
    • 1998
  • PDF

코로나19 상황 속 간호사의 이미지 : 국내 주요 일간지 분석 (The Image of Nurses in Newspaper Articles during COVID-19 Era)

  • 최한나;오의금;이지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626-637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언론에 드러난 간호사 이미지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국내 주요 일간지 11개의 기사 451건을 바탕으로 월별 보도내용, 간호사 호의도 및 보도비중을 분석하였으며 주제 분석을 통해 5개 주제와 9개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제는 빈도순으로 "열악한 직업환경(47.9%)", "간호, '소명의 직업'(40.4%)", "'전문의료직'으로서의 면모가 부각됨(10.6%)", "엄격한 기준으로 평가됨(1.6%)", "간호의 영역을 확장함(1.1%)"이었다. 전문 의료진으로서의 지식과 술기, 상담·교육·협력 특성보다 노고, 헌신, 이타성과 같은 간호사의 직업윤리가 훨씬 부각되었고, 간호사 처우개선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대면 원격의료 시대에서의 간호사의 역할과 같은 새로운 면모도 일부 보도되었으나 언론을 통해 대중들에게 각인되는 간호사의 모습은 여전히 제한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다양한 역할을 대중들에게 알리고 간호전문직 이미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간호계의 적극적인 홍보 활동이 필요하다.

간호 대학생이 인식하는 간호사 이미지에 관한 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f Nurse Images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 박선정;박병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696-3705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이 인식하는 간호사의 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간호 대학생 2학년과 3학년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전과 후에 간호사에 대하여 어떤 이미지로 인식하는지 조사하여 간호사의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간호사에 대한 정의, 필요성, 훌륭한 간호사란, 간호사의 편견에 대하여 파악하기 위해 면담을 실시하여 내용분석방법과 절차에 따라 대상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48개의 의미 있는 진술문과 14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이를 토대로 전문적인 간호사로서의 자질과 환자와 가족 간의 상호작용을 증진이 필요하며, 간호사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긍정적인 이미지로 재조정하여 이미지 향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강원도와 경기도에 소재한 2개의 간호학과를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여 확대 해석하기에는 제한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더 많은 지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확대하면 좀 더 구체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를 산출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일부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이미지 결정요인 (Image of Nurses as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nd Image Determinants)

  • 정혜선;유양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8
    • /
    • 2010
  • Purpose: To examine the image of nurses as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nd clarify the image determinants. Methods: Subjects were 260 nursing students from a nursing college in Chungcheongbuk-Do. They received and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March 12 to April 20. 2007. The questionnair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2.0.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image of nurses was 115.89 of a total 165.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mage of nurses was lower in 2nd and 3rd year nursing students who did not profess a religious affiliation, those without a nurse among their relatives, those who were neutral concerning nursing science, those whose perceived personality was negative, and in those whose perceived adaptability was moderate. The mean score of the image of nurses per item was 3.51 of a total 5, the lowest item of image of nurses was 'Many opportunities for promotion'. The mean score of factors determining the image of nurses was 3.86 of a total 5, the highest one was 'Nurses' expert knowledge'. Conclusion: Intervention to improve the image of nurses by nursing students is prudent.

간호학생들의 무력감과 간호이미지 관계에서 임상실습만족도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Powerlessness and Nursing Image)

  • 이경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6권1호
    • /
    • pp.26-34
    • /
    • 2010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owerlessness of nursing students influenced their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nursing image, and how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lessness and nursing image.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107 junior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2.0. Results: Powerlessn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fluenced nursing imag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vided complete mediation between powerlessness and nursing image. Conclusions: Nursing students need to reduce their powerlessness and increas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o enhance their image of nursing.

간호과 학생들과 비간호과 학생들의 간호사 이미지와 결정요인 (Image of Nurse and it's Determinants among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 이순희;김정아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2-62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image of nurse and it's determinants among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Metho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design was used. All 1908 subjects were obtain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three nursing diploma program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from April 1st to June 30th, 200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n SPSS Win 12.0. Result: The mean score of 'professional image factor' was higher than any other factors of image of nurse in both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The mean score of 'subjective determinant' was higher than any other determinants among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The image of nurse and it's determinants of nursing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n-nursing student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rectly showed that the practical strategies would be needed in order to promote the image of nurse of the people who were not be related to nursing.

  • PDF

본당 가정간호의 실태 조사 연구

  • 조신형
    • 헬스앤미션
    • /
    • 통권2호
    • /
    • pp.28-30
    • /
    • 2004
  • 본당 가정간호 수혜자의 97.7%가 성당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는 사실은 본당연계 가정간호제도가 산업화 및 도시화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일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선교방법임을 말해준다.

  • PDF

임상실습 후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e image and major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fter clinical practice)

  • 황혜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76-483
    • /
    • 2018
  • 이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고학년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일 지역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 4학년 132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6월 30일까지 한 달 동안 임상실습을 수행한 학생들에게 연구자가 직접 설문조사를 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 요인은 경제수준(F=4.94, p=.009), 지원동기(F=3.13, p=.011), 지난 학기 성적(F=4.27, p=.016)이었으며,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사 이미지(r=.22, p<.012), 전공만족도(r=.20, p<.019)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간호사 이미지(F=.73, p<.001), 전공만족도(F=.24, p<.001)였으며 전체 8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실습 전후 고학년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심어주며 간호학에 대한 전공만족도를 높이는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문직자아개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rsing Students' Nurse Image and Professional Self Concept on Career Search Behavior)

  • 김희연;김보미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5-2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문직자아개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Y지역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 2, 3, 4학년 학생 153명이며 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0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간호사이미지, 전문직자아개념, 진로탐색행동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일반적인 특성은 t-test, ANOVA, 사후검정은 Scheffe's test, 평균평점,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문직자아개념, 진로탐색행동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는 전문직 자아개념이다. 이 변수들의 총 설명력은 모델 1에 비해서 모델 2는 2%가 증가된 25% 설명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간호사이미지와 전문직자아개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 그와 연계된 진로탐색행동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신규 간호사가 인식하는 좋은 간호사 이미지: Q-방법론 접근 (A Positive Image of Nurses as Perceived by New Nurses: Applying Q-Methodology)

  • 최은영;박선정;이주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56-16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ver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a positive image of nurses, as perceived by new nurses, by applying Q-methodology. Methods: Participants were 37 new nurses serving at tertiary hospitals accommodating over 300 bed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30, 2021. Results: A positive image of nurses wa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professional leadership, skilled empathy, experienced responsiveness, and cooperative sincerity.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a professional view of nurses by verifying the positive image of new nurses, who are likely to lead the future. Conclusion: Furthermore, by reducing the turnover of new nurses and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it would be possible to secure professional nursing personnel and the public's perception of good nurse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enhanced social status of n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