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수행능력

검색결과 640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대학생의 대면 및 비대면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Stress Coping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김혜경;박지예;강은지;이성현;민성현;이지윤;정지현;정현서;이소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21-533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면 및 비대면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각 요인 간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임상수행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임상실습교육 전략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소재 간호대학생으로, 2021년 6월 10일부터 7월 10일까지 총 201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하여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대면 및 비대면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임상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단계에서 간호대학생의 성적, 전공만족도, 대면실습만족도가 임상수행능력의 19.4%를 설명하였고, 2단계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를 추가하여 19.6%의 설명력이 증가되어 총 39.0%의 변량을 설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대한 원만한 스트레스 대처가 중요하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간호학생의 객관적 응급간호 임상수행능력에 영향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bjective Emergency Nursing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on Simulation Practice)

  • 최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96-30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의 객관적 응급간호 임상수행능력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영향 변수로는 간호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함께 시뮬레이션 관련 변수로 객관적·주관적 임상수행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 성과 성취 정도, 시뮬레이션 만족도, 시뮬레이션 자신감과 시뮬레이션 몰입도가 포함되었다. 대상자는 Y대학의 간호학과 4학년 92명이었으며 대상자들은 시뮬레이션 실습 전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함께 연구참여에 대한 동의서를 작성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시뮬레이션 관련 변수들은 학생들의 자가설문형태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객관적 임상수행능력은 간호학생들이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간호수행을 하는 동안 평가자가 수행평가표에 따라 평가하였다. 학습성과 성취는 시뮬레이션 실습이 끝난 후 디브리핑 시간 동안 학생이 작성한 보고서를 평가자가 학습성과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2-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progressiv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평가자에 의해 측정된 객관적 응급간호 임상수행능력은 임상실습만족도와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31, p=.005) 간호학생이 평가한 주관적 응급간호 임상수행능력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r=.23, p=.036). 회귀분석 결과, 설명력은 12%로 나타나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응급간호 임상수행능력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에는 다소 부족하였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응급간호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에 대한 탐색이 요구된다.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눈치, 학습몰입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Factors of Influencing Empathic ability, Nunchi and Learning Flow on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Online Clinical practic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 강승주;심정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05-41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눈치, 학습몰입과 임상수행능력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K광역시에 소재한 일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179명을 대상으로 연구기간은 2021년 5월 10일부터 5월 1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21을 이용하여 빈도, paired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눈치는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148, p=.048), 임상수행능력은 학습몰입과 유의한 순 상관관계(r=.605,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성취도(𝛽=.129,p=.049), 연령(𝛽=-.116, p=.014), 실습만족도(𝛽=-.242, p<.001)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변수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설명력(R2)은 39.4%이었다. 따라서 비대면 온라인 실습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과 온라인 실습을 만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비대면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non-Face-to-Face Clinical Practice)

  • 황성우;차현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39-550
    • /
    • 2021
  • 본 연구는 비대면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4개 간호대학교 3,4학년에 재학 중인 16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1월 부터 2021년 2월 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22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사후 검정은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으로 통계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실습 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이었으며 임상수행 능력에 대한 총 설명력은 60.6% 이었다. 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73점, 비판적 사고성향은 5점 만점에 3.78점, 임상수행능력은 5점 만점에 3.84점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비대면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 임상실습 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A Practical Performance Comparison of Nurse betwee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General Service Ward

  • Cho, Yun-Hee;Cho, Eui-young;Kang, Yea-ji;Oh, Min-kyung;Lee, Ju-young;Kim, Sun-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95-102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병동과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광역시의 S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8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등(2005)이 개발한 간호전문직관으로, 업무수행능력 정도는 이원희 등(1990)이 개발한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간병통합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간호전문직관이 높게 나타났고, 간호간병통합병동과 일반병동의 간호사 모두 간호전문직관이 업무수행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을 정립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간호업무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융복합 기반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의사결정능력, 문제해결과정, 임상수행능력,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nvergence-based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e program on the Clinical decision making,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for Nursing Students)

  • 문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271-284
    • /
    • 2017
  • 본 연구는 융복합 기반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의사결정능력, 문제해결과정, 임상수행능력,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에 의한 실험연구로 연구대상은 C도 소재 일개 4년제 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 64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6년 9월 5일부터 2016년 12월 6일까지였다. 연구결과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 운영 후 문제해결과정 (t=-3.052, p<.01), 임상수행능력(t=-4.279, p=.000),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t=-2.416, p<.05)의 점수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통합시뮬레이션실습 교육이 4학년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과정, 임상수행능력,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의 임상실습 수행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므로 이를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운영하는 교육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과학적이고 분석적인 평가 도구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과목별 시뮬레이션실습과목의 통합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의 융복합적 영향 (Study on Meta-cognition, Self-efficiency,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진은영;이명인;김윤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317-326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 및 임상수행능력의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대학생 15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형 설문지를 통해 2015년 9월1일부터 9월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이 임상수행능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특성 중 전공만족과 임상실습만족을 포함시켰을 때는 임상수행능력의 7%를 설명하였다(F=2.76, p=.030). 메타인지를 추가적으로 투입하였을 때는 임상수행능력이 25%의 설명력을 나타내었으며 자기효능감을 추가적으로 투입하였을 때는 임상수행능력이 27%의 설명력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스로의 문제해결능력이 강조되고 있는 간호현장의 상황을 고려할 때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개발 및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활성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선택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vanced Clinical Practicum on Clinical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

  • 김지수;김영숙;김혜순;조현숙;이은자;이여진;김윤미;박광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1-382
    • /
    • 2011
  • 본 연구는 4주간의 종합선택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 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4주간의 종합선택실습을 이수한 4학년 간호 대학생 128을 대상으로 하였고 임상실무수행능력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실무능력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종합선택실습 전의 임상실무능력이 70.4점에서 실습 후에는 124.8점으로 증가(p<.001)되었고 직접간호활동과 간접간호활동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실습 후의 임상실무수행능력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상위 성적 30% 학생의 종합선택실습 후의 임상실무수행능력이 중간 40%의 학생에 비해 더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47).

  • PDF

전문직업관 구성요인이 업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onents of Professionalism on Job Competency)

  • 유제복;홍재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407-40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업관이 업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간호 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간호 서비스 종사자 대상으로 수집한 193부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문직업관의 구성 요소 중 전문적 자아개념이 업무수행 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업무 전문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인식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업무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전문직업관을 어떻게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엿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임상실습 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융합관련성 (Convergence among Resilienc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 신미자;전열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9-3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 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융합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6개월 이상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433명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평균 3.58(${\pm}.39$)점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실습 수행능력은 평균 3.65(${\pm}.50$)점,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40(${\pm}.62$)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의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 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생활 만족도, 간호학 전공만족도 및 임상실습 만족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회복탄력성, 임상실습 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 수행능력은 정적 상관관계(r=.510)를,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사이에는 부적 상관관계(r=-.153),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고, 임상실습 수행능력을 향상시켜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