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갈등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4초

맞벌이 기혼남녀의 일-가정 갈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on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Happiness in Dual-Income Married Couples)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3권4호
    • /
    • pp.23-39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on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happiness in dual-income married couples. This study included 316 married employees who live in Seoul and have children attending junior high or lower grade schools. A survey was conducted December 1-30, 2018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child care centers, kindergartens, schools, companies, religious institutions, and other locations.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in this study, the degree of family→work conflict was higher than that of work→family conflict in dual-income married couples, indicating that role conflict at work is greater due to family role pressures. Second, amo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ual-career couples, monthly income, family→work conflict (an independent variable), and family problem-solving skills (a moderating variable; a subcategory of family strengths)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happiness, the higher the monthly income, the lower the family→work conflict, and the higher the family problem solving ability, the higher the feeling of happiness among dual-income married couples. When the work role conflicts from family life roles were more highly perceived in dual-income married couples. Moreover, family→work conflict and an interaction term of family problem-solving ability were identified as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effects on happiness. Third, family problem-solving ability was identified as a moderator buffering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happiness.

레저코치 - 사랑과 건강을 그대에게 "Shall We Dance?"

  • 이용규
    • 건강소식
    • /
    • 제37권5호
    • /
    • pp.24-25
    • /
    • 2013
  • 일본 영화 <쉘 위 댄스>는 평생을 성실하게 일만 해오던 중년의 직장인이 어느 날 찾아온 공허함을 달래기 위해 춤을 배우면서 겪는 삶의 변화를 다루고 있다. 춤에 열광한 나머지 대회에까지 출전하려는 가장을 이해하지 못하는 가족과의 갈등과 이해, 그 속에서 진정한 인생의 의미를 잔잔하게 그려낸 이 작품은 건전한 레저 활동인 댄스스포츠의 참 매력을 알리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 PDF

피학대 아동의 가족에 대한 정신적 표상: 성, 연령 및 학대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Mental Representation for Family in Abused Children: Focusing on Types of Child Abuse)

  • 이경숙;박진아;오은정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3호
    • /
    • pp.1-1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피학대 아동의 성, 연령 및 학대유형별로 정신적 표상 수준에서 가족에 대한 지각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소재 아동학대예방센터 1곳과 아동상담소 1곳에서 학대사례로 판정된 만 7-14세의 신체학대 아동 15명, 방임 아동 15명, 그리고 신체학대·정서학대·방임의 중복학대 아동 15명 등 총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아동·청소년의 가족지각검사(Family Assessment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학대 남아는 피학대 여아에 비해 부모의 적절한 제한설정에도 불순응하는 태도를 더 많이 보였으며, 정서적으로는 걱정을 더 많이 하고, 검사에 대한 거부적 태도를 더 많이 보였다. 반면에 피학대 여아는 피학대 남아에 비해 어머니를 스트레스 요인으로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학대 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어머니에 대해 자신을 보호하는 조력자로 더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중학생의 경우 검사에 대한 거부적 태도를 더 많이 보이고, 가족과 관련하여 분노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복학대를 경험한 아동은 신체학대나 방임을 경험한 아동에 비해 가족갈등을 더 많이 경험하는 동시에 갈등에 대해 부정적인 해결방안을 더 많이 사용하고, 부모의 부적절한 제한에 불순응하는 태도를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역기능적인 가족지각 지수도 중복학대 경험 아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중복학대의 심각성이 더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방임을 경험한 아동은 신체적 학대나 중복학대를 경험한 아동에 비해 슬픔과 우울과 관련된 정서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chool Adjustment for Adolescents)

  • 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7-87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부부갈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중학생 48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WIN 25.0 통계 프로그램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은 청소년의 공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은 부부갈등에 많이 노출될수록 공격성 수준이 높았다. 둘째, 청소년의 공격성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공격성 수준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낮았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부부갈등은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청소년 개인과 가족관계에 대한 개입, 그리고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개입의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청소년 학업중단의 가족 및 사회환경적 요인 분석 연구 (An Analysis Study on Family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of Adolescents' School Dropout)

  • 손충기;배은자;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504-2513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족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이 청소년의 학업중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밝혀 청소년의 학업중단 행동을 예방 혹은 해결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으려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J시 상담센터에 접수된 120명의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관련 변인을 측정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가족 구조적 요인으로서 가정경제수준과 결손가정은 가족유대감과 일탈친구 요인을 매개로 학업중단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가족심리적 요인으로서 가족갈등은 학업중단의 직접적인 요인은 아니며, 가족유대감은 일탈친구와 무단결석 요인과 결합되어 학업중단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회환경적 요인으로서 무단결석은 가족유대감과 일탈친구, 일탈친구는 가족유대감과 무단결석 요인을 매개로 학업중단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학업중단 행동은 주로 가족심리적 요인으로서 가족유대감과, 사회환경적 요인으로서 일탈친구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의 개선 혹은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이 청소년의 학업중단 행동을 예방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가족치료와 가족코칭의 융합적 접근 (Convergence Approach of Family Therapy and Family Coaching)

  • 서우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47-358
    • /
    • 2023
  •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개인 한 명의 내담자를 두고 상담과 코칭의 융합적 적용에 대한 중요성이 학계와 임상을 중심으로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가족치료와 가족코칭의 융합적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가족치료의 주요 이론 가운데 코칭과 접목하여 임상 만족도와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코칭 기술을 제시하였다. 또한 가족치료가 가족코칭과 융합적 적용이 가능한지, 가족치료의 주요 이론들이 임상현장에서 코칭과 접목하여 활용될 때 어떤 유익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이중구속과 의사소통 코칭, 가짜 친밀성과 진실한 라포, 부부 균열과 갈등 중재, 분화와 객관적 관조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가족 치료뿐만 아니라 상담 및 심리치료 현장에서 코칭과의 융합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새로운 임상 치료모델과 가족코칭의 학문적 정립을 구축해 나가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2009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족'영역의 핵심내용에 대한 학부모의 역량 (Parents' capability about the core contents of 'Family' unit of the 2009 revised middle-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 손유림;백경임;주수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51-6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중학교에서 교재로 삼고 있는 2009 개정 기술 가정 교과서의 '가족'영역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핵심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 핵심 내용에 대한 학부모들의 역량을 파악해 보는데 있다. 그 연구결과는 첫째, 기술 가정 교과서의 '가족'영역의 핵심 내용은 의사소통, 갈등, 양성평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의사소통 역량은, 교육수준이 가장 유의미하게 상관이 높았다. 의사소통 능력 중 관계적 능력은 자녀가 많을수록 역량이 있으며, 대인적 능력이나 언어적 능력에서 아버지에 비해 어머니가 역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가 딸일 경우에, 또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많았다. 셋째, 학부모의 갈등관리 전략에서 통합전략은 어머니보다 아버지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분할전략과 회피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분할전략은 어머니가 더 많이 사용하고, 회피전략은 아버지가 더 많이 사용하며 각자 아들에게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부모의 양성평등의식은 어머니가 아버지에 비해 의식수준이 높았으며 자녀가 아들보다 딸을 가진 경우에 부모의 양성평등 의식이 높았다. 따라서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교육이 남학생에게, 또 아버지에게 더욱 많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학부모 교육에서 의사소통방법, 갈등 해결을 위한 통합전략 사용법, 양성평등의식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하다.

  • PDF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정신건강과 결혼행복에 대한 연구 -부부갈등과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Mental Health and Marital Happiness of Intermarried Korean Men -Mediating Effects on Marital Conflict and Communication)

  • 김민경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2호
    • /
    • pp.41-57
    • /
    • 2012
  • This study uncovers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al health, couple relationships and marital happiness. The sample included 180 inter-married Korean men.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Mental health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rital conflict, but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fficient communication and marital happiness. Furthermore, marital conflict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and marital happiness. Second, mental health has a positive influence on marital conflict and a negative influence on marital happiness. Depression and social mal-adaptation have a negative effect on communication and marital happiness. Marital conflict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mental health and marital happiness. Third, depression and social mal-adaptation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communication and marital happiness. Communic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mental health and marital happiness. In conclusion, to reduce marital conflict,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in inter-married Korean men's marital happiness through special education programs and counseling.

  • PDF

문화적응 유형화를 중심으로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부부갈등과 가족상담자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기대 (Marital Conflicts and Expectations to Family Counselors' Cultural Competence Among Immigrated Women Focusing on Typology of Cultural Adaptation)

  • 이아진;최연실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90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characteristics of sociological and demographic population, marital conflicts and expectations to family counselors' cultural competence surrounding 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among immigrated wome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36 immigrated women in Kyonggi province, Seoul metropolitan cities, Cholla and Chunchung provinces and In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relatively few marital conflicts were found, as a whole, while they had the high levels of expectation to family counselors' cultural competence. Second, immigrated women can be clustered as three different types: 'multiplicity type', 'undifferentiated type' and 'adaptation type'. Third, sociological and demographic population characteristics which were subdivided and clustered according to cultural adaptation made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population. Population with multiplicity type out of the above-stated three types accounted for the highest conflict rates, while population with 'adaptation' type accounted for the lowest conflict rates. Lastly, expectations to family counselors' cultural competence made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population. Population with multiplicity type showed the highest expectation levels on expectations to family counselors' cultural competence, while population with undifferentiated type showed the lowest levels.

중년기 남녀의 성역할 정체감과 부부갈등 및 심리적 적응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the Middle-aged Men and Women's Gender-role Identity, Marital Conflict,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 이은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0권1호
    • /
    • pp.107-12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married middle-aged men and women's gender-role identity, marital conflict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Psychological adjustment was composed of mid life crisis, depression, and perceived happiness. The data of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397 married, middle aged men and women from 40 years to 59 years-old b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gender role ident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sex. In addition, women's perceived level of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role identity, indicating that androgynous women reported the lowest level of marital conflict. However, men's gender role conflict was not related to their marital conflict. Furthermore, men's psychological adjustment level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role identity, while women's psychological adjustment differed, indicating that androgynous women reported the lowest level of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the undifferentiated women the highest level of psychological adjustment. Finally, the result indicated that for both men and men, marital conflic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id-crisis and depression, and negatively related with happin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