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ents' capability about the core contents of 'Family' unit of the 2009 revised middle-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2009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족'영역의 핵심내용에 대한 학부모의 역량

  • Son, Yu-Lim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 Baik, Kyung-Im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 Ju, Su-Eu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손유림 (동국대학교 가정교육과) ;
  • 백경임 (동국대학교 가정교육과) ;
  • 주수언 (동국대학교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14.04.30
  • Accepted : 2014.06.29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ssential contents in the 'Family' unit of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and look into the capability of parents with respect to such essential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s: First, the essential content deem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the 'Family' unit of Home Economics textbook was found to be the communication, followed by the conflict and gender equality. Second,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of parents were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ducation level. In the social skill or linguistic skill, mothers were found to have greater capability than fathers were. Third, in relation to the integrating strategies with respect to the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of parents, fathers used the integrating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mothers. The parti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be used more often among the mothers, while the avoiding strategies were found to be used more frequently among the fathers. Fourth,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higher among the mothers, compared to the fathers, and was higher among the parents who had daughters rather than sons.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중학교에서 교재로 삼고 있는 2009 개정 기술 가정 교과서의 '가족'영역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핵심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 핵심 내용에 대한 학부모들의 역량을 파악해 보는데 있다. 그 연구결과는 첫째, 기술 가정 교과서의 '가족'영역의 핵심 내용은 의사소통, 갈등, 양성평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의사소통 역량은, 교육수준이 가장 유의미하게 상관이 높았다. 의사소통 능력 중 관계적 능력은 자녀가 많을수록 역량이 있으며, 대인적 능력이나 언어적 능력에서 아버지에 비해 어머니가 역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가 딸일 경우에, 또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많았다. 셋째, 학부모의 갈등관리 전략에서 통합전략은 어머니보다 아버지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분할전략과 회피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분할전략은 어머니가 더 많이 사용하고, 회피전략은 아버지가 더 많이 사용하며 각자 아들에게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부모의 양성평등의식은 어머니가 아버지에 비해 의식수준이 높았으며 자녀가 아들보다 딸을 가진 경우에 부모의 양성평등 의식이 높았다. 따라서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교육이 남학생에게, 또 아버지에게 더욱 많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학부모 교육에서 의사소통방법, 갈등 해결을 위한 통합전략 사용법, 양성평등의식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