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정학대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5초

가정학대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School Viol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and Depression)

  • 조민경;조한익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1호
    • /
    • pp.17-38
    • /
    • 2019
  • 본 연구는 가정학대 경험과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공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학생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학대경험이 많을수록 이후 학교폭력 가해 혹은 피해의 경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학대는 공격성을 매개로 학교폭력 가해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을 매개로 학교폭력피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학대를 경험한 적이 있는 학교폭력 가해자는 학교폭력 가해경험을 매개로 다시 학교폭력 피해자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정학대를 경험한 적이 있는 학교폭력 피해자의 경우에는 학교폭력 가해경험을 하게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는 상호인과적인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가정학대경험이 선행할 경우 학교폭력 피해자가 다시 가해자가 될 가능성은 매우 낮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학대가 공격성과 우울을 매개로 학교폭력 가해 혹은 피해로 이어지는 경로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가정학대가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및 경로를 규명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아동학대와 가정폭력의 중복발생 연구 : 아동보호서비스의 관점 (The Co-Occurrence of Domestic Violence and Child Maltreatment : Perspective from Child Protection Services)

  • 김기현;김용회;김경희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4호
    • /
    • pp.221-249
    • /
    • 2018
  • 본 연구는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 내 아동보호서비스에 연루된 학대발생가정 정보를 분석하여 아동보호서비스 관점에서 아동학대와 가정폭력의 중복발생을 살펴보았다. 국외연구들은 학대발생가정에서 가정폭력과 중복발생 비율이 상당히 높으며 학대발생 예방이나 서비스 제공에 있어 이 중복발생이 매우 중요한 지점이라고 지적하나 국내에 관련연구는 아직 많지 않고, 더욱이 아동보호서비스의 관점에서 중복발생을 논의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학대발생가정 내 가정 폭력 중복발생 실태와 중복발생가정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기존 이론과 실증연구에 기반하여 설정한 가정폭력과 아동학대 발생의 관계에 관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보호서비스에 연루된 학대발생가정의 21.4%에서 가정폭력과의 중복발생이 관찰되었고, 중복발생 가정은 아동학대만 발생한 가정과 여러 측면에서 다른 특성을 보였다. 또한, 가정폭력과 아동학대 발생은 관련이 있었으나, 구체적인 관계의 양상은 학대 하위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아동학대 발생의 이론적 함의와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서비스와 아동보호서비스의 서비스 통합과 협력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들을 논하였다.

Google 트랜드를 활용한 경제적 불평등, 주거, 방임, 가정폭력의 아동학대와의 인과관계 (The Effect of Economic Inequality, Housing, Neglect, and Domestic Violence on Child Abuse Using Google Trends)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21-12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Big Data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불평등, 주거, 방임, 가정폭력 등의 생태체계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Google 트랜드의 지난 5년간(2016.01.10.~ 2021.01.03.)의 경제적불평등-주거-방임-가정폭력-아동학대 등의 주제어 중심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적 불평등(B=.159, p<.05), 주거(B=.814, p<.01), 방임(B=.248, p<.001), 가정폭력(B=.151, p<.05)은 아동학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유아 학대예방 관련 부모교육 및 가정에서의 자녀교육 실태 (State of Parent Education and of Child Education at Home Related to Infant/Preschooler Abuse Prevention)

  • 성영화;이숙자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5-146
    • /
    • 2018
  • 본 연구는 부모들이 경험한 영유아학대예방과 관련한 부모교육 실태 및 가정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녀교육실태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에 거주하고 있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302명의 부모들이며, 연구결과는 부모들이 응답한 설문지의 내용을 빈도분석하거나 카이검증을 실시하여 도출하였다. 먼저, 부모교육 실태를 살펴본 결과 영유아학대예방과 관련하여 교육을 받은 부모들이 12.6%로, 네 가지의 학대 유형 각각에 대해 교육을 받은 부모들이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들은 유아교육과 관련한 기관에서, 아동학대 및 유아교육관련 전문가에 의해 교육을 받았으며, 받은 교육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자녀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과, 가정에서 자녀에게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한 부모들은 25.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학대와 학대 시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하였다. 가정에서는 영아기부터 학대예방교육을 시작하고, 일상에서 수시로, 주로 대화를 통해서 교육을 실시한다고 부모들은 응답하였다. 부모들은 학대와 관련한 자료의 부족으로 가정에서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부모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른 가정에서의 자녀의 학대예방교육 실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에서 바로 연계하고, 쉽게 활용 가능한 학대예방교육 매뉴얼의 개발과 방임에 대한 교육 및 홍보의 활성화에 대해 제시하였다.

청소년들의 가정학대 경험과 우울감의 관계에서 교사관계 적응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Relationship Adaptation Between Adolescents' Domestic Abuse Experience and Depression)

  • 장하영;이창식;유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1-7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가정학대 경험과 우울감 사이에서 교사관계 적응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S시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4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평균비교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효과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우울감은 성별과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가정학대와 교사관계 적응, 교사관계 적응과 우울감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가정학대와 우울감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조절효과분석 결과 가정학대와 우울감 사이에서 교사관계 적응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끝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우울감을 낮추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학대경험이 가정 외 보호 서비스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Effects of Abuse Experiences on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of Out-of-House Protection Service Youth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Adjusting Capacity)

  • 이화명;김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39-55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가정 외 보호서비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대 경험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고,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가정 외 보호서비스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학대 경험은 자기조절능력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대 경험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능력은 심리사회적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기조절능력은 학대 경험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대를 경험하고 있는 가정 외 보호서비스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방임과 정서적 학대를 예방하고, 가정 외 보호서비스를 받고 있는 청소년들의 자기조절능력을 높일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의 개입의 중요성을 촉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청소년기 자녀의 가정폭력 노출과 심리사회적 부적응 -중학생 자녀의 아내학대 목격과 자녀학대 피해를 중심으로- (Adolescent Children's Domestic Violence Exposure & Psycho-social Maladjustment -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 Children's Wife Abuse Witnessing and Child Abuse Victim -)

  • 김정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5호
    • /
    • pp.171-18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dolescent children's exposur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influences their psycho-social maladjustment. The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data obtained through 589 adolescents who attend middle school in Gwangju are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Domestic violence exposure in adolescent children was considerably serious; 84.4% child abuse by parents, 66.0% witness of father-to-mother abuse. 2. Child abuse and wife abuse had close relation in occurrence and severity. 3.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social competence of adolescents were different by the victim of child abuse, the witness of wife abuse, and the style of domestic violence exposure. 4. Domestic violence exposur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adolescent children's psycho-social maladjustment.

여학생 청소년들의 가정학대 경험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Between Female Adolescents' Domestic Abuse Experience and School Adaptation)

  • 이창식;유은경;장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297-303
    • /
    • 2019
  • 본 연구는 여학생 청소년들의 가정학대 경험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D시의 여학생 청소년 4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수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차이검정, 상관분석, 조절효과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은 부모가 맞벌이 여부와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과 학교적응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가정학대는 다른 변인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조절효과 회귀분석 결과 가정학대와 학교적응 사이에서 성격에 대한 성장 마인드셋은 조절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지능에 대한 성장 마인드셋은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여학생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성격에 대한 성장 마인드셋과 연령을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직업군인 배우자의 성장기 학대경험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과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Influence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 on Perpetration of Child Abuse among the Military Personnel's Spouses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Conflict)

  • 서정열;최장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43-35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군인 배우자의 성장기 학대피해경험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성장기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이 결혼 후 자녀학대로 이어지는 경로에 있어서 가정폭력피해 경험의 매개경로를 파악하여 자녀학대 가해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후반기 육군 3개 부대, 해군 2개부대, 공군 2개부대를 선정하여 자발적으로 설문에 응답한 직업군인 배우자를 대상으로 실태 조사한 설문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기혼 직업군인 배우자 238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직업군인 배우자의 자녀학대 가해률의 경우, 정서학대가 51.4%, 신체학대가 28.9%, 방임이 3.8%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직업군인 배우자의 성장기 학대경험과 자녀학대 간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기 학대경험이 부부갈등을 매개로 자녀학대로 이어지는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직업군인 배우자의 가정 내 불화와 자녀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군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청소년의 우울과 관련 변인 연구: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Variables influencing Adolescents' Depression: Based on Gender Comparison)

  • 이창식;장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47-54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폭력 관련 변인의 영향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D시에서 중고등학교 청소년 10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평균차이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우울감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 학업성취도, 가족 소득 수준 및 학교급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우울감은 가정학대 경험과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남학생, 여학생 모두 가정학대, 학교 폭력 요인의 설명력이 유의하였고 가정학대의 설명력이 학교 폭력 관련 요인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우울감을 낮추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