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ate of Parent Education and of Child Education at Home Related to Infant/Preschooler Abuse Prevention

영유아 학대예방 관련 부모교육 및 가정에서의 자녀교육 실태

  • 성영화 (백석대학교 사범학부 유아교육과) ;
  • 이숙자 (인천시 부평구 육아종합지원센터)
  • Received : 2018.01.29
  • Accepted : 2018.03.24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parent education experienced by parents and the state of child education at home relation to infant/preschooler abuse preven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2 selected parents who resided in I city and whose children were in infancy or early childhood. A survey was conducted, and frequency analysis or chi-square test was carried out after their answer sheets were gather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state of parent education, the parents who received education related to infant/ preschooler abuse prevention accounted for 12.6 percent, and the parents who were taught about all the four types of abuse outnumbered the others who weren't. The parents received that education at institu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perts in child abus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y replied they were satisfied with that education. As for the state of child education, the parents who replied they provided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t home accounted for 25.2 percent, and they answered they taught about physical abuse and how to cope with abuse. They responded they started to conduct this education in their homes when their children were in infancy, and they did it frequently in daily life mainly through conversations. They told it's difficult for them to offer this education at home due to a shortage of abuse-related materials. And whether they offered that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or not at hom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they received parent education or not.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manuals for abuse prevention education that can easily be used at home without any modifications was suggested, and education on neglect and the revitalization of publicity are required as well.

본 연구는 부모들이 경험한 영유아학대예방과 관련한 부모교육 실태 및 가정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녀교육실태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에 거주하고 있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302명의 부모들이며, 연구결과는 부모들이 응답한 설문지의 내용을 빈도분석하거나 카이검증을 실시하여 도출하였다. 먼저, 부모교육 실태를 살펴본 결과 영유아학대예방과 관련하여 교육을 받은 부모들이 12.6%로, 네 가지의 학대 유형 각각에 대해 교육을 받은 부모들이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들은 유아교육과 관련한 기관에서, 아동학대 및 유아교육관련 전문가에 의해 교육을 받았으며, 받은 교육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자녀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과, 가정에서 자녀에게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한 부모들은 25.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학대와 학대 시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하였다. 가정에서는 영아기부터 학대예방교육을 시작하고, 일상에서 수시로, 주로 대화를 통해서 교육을 실시한다고 부모들은 응답하였다. 부모들은 학대와 관련한 자료의 부족으로 가정에서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부모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른 가정에서의 자녀의 학대예방교육 실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에서 바로 연계하고, 쉽게 활용 가능한 학대예방교육 매뉴얼의 개발과 방임에 대한 교육 및 홍보의 활성화에 대해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 유수정(2014).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145-165.
  2. 고이(2014). 영아 어머니와 교사의 영아 학대에 대한 인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보람(2017). 육아종합지원센터 가정양육지원사업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서울자치구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서령(2003). 환경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경험이 자녀 지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수진(2017). 아동학대 및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영환, 이승민, 강두봉(2017). 부모교육 관련 국내연구동향 분석. 교육문화연구, 23(3), 75-94.
  7. 김오남(2004). 부모의 아동성학대 예방에 대한 실태와 요구도 및 교육프로그램 구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4), 73-84.
  8. 김윤희(2017). 아동학대와 아동권리 및 아동학대 예방교육 필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은영(2017). 우리나라 영유아학대 현황 및 예방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이슈 페이퍼, 37-35.
  10. 김홍석(2017). 제주지역 아동학대 실태 및 예방대책.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연구보고서, 1-186.
  11. 도미향, 장자경(2016).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인성 코칭 프로그램. 한국가정관리학회 2016 공동춘계학술대회, 이 시대 가정, 과연 안전한가?: 가정의 위기, 그 진단과 개선방향, (pp. 173-183). 서울: 중앙대학교 평동캠퍼스.
  12. 박금식, 하정화, 허두진(2013). 부산광역시 아동학대 예방 및 보호체계 구축방안 연구.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보고서, 1-180.
  13. 박은주, 오숙자(2012). 아동상담의 실태와 부모 인식에 따른 활성화 방안: 광주광역시 어린이집 종일반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2(1), 79-94.
  14. 박현미(2006). 웹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6(2), 157-178.
  15. 백경숙(2011).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태도와 결혼만족도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6(2), 181-198.
  16. 베이비뉴스(2018. 3. 13). 양육수당 신청 시 아동학대 예방 교육 받는다. http://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3112에서 2018년 3월 18일 인출
  17. 보건복지부(2016). 아동복지법.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1850&efYd=20160923#0000에서 2017년 3월 28일 인출.
  18. 보건복지부(2017. 5. 2).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교육의무기관 중 99.9% 교육 실시. 보건복지부 보도참고자료, 1-4.
  19.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17). 2016년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11-1352000-000025-10.
  20. 서예석, 이경실(2008). 유아 성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육아지원연구, 3(2), 145-175.
  21. 신지현, 김경화(2005). 어린이집의 학부모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보육학회지, 5(1), 123-140.
  22. 어린이집안전공제회(2017). 2017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안전교육: 어린이집 내 사고와 안전관리, 아동학대 예방교육. 서울: 어린이집안전공제회.
  23. 오미희(2016). 한국과 일본의 아동학대 연구동향: 법 제도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69, 295-314.
  24. 유흥옥, 유영의, 이진희(2013). 예비.현직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심각성 및 신고의 효과성, 신고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보육학회지, 13(3), 241-257.
  25. 이경숙, 박진아, 최명희(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2), 227-252.
  26. 이미화(2015). 부모교육제도 도입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요구. 육아정책포럼, 45, 19-28.
  27. 이사라(2010). 우리나라 아동학대 현황과 사회적 대처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지, 1, 27-41.
  28. 이연승(2002). 유아기 부모를 위한 아동학대 예방 교육에 관한 일 연구. 인문학논총, 5, 349-369.
  29. 이윤정, 성소영(2013). 유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 성역할 인식과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및 리더십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3(1), 113-132.
  30. 이인선(2013).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외국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젠더리뷰, 31, 56-60.
  31. 이혜란(2007). 유아 성 학대 예방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육아지원연구, 2(2), 59-85.
  32. 이호균, 장화정, 유선영(2001). 아동학대 예방 및 감소를 위한 아동.부모.교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아동권리연구, 5(1), 23-33.
  33. 임성혜, 이지숙(1997). 유아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에 관한 연구. 진주전문대학논문집, 20, 333-347.
  34. 정미라, 최혜정, 강수경(201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5(4), 179-199.
  35. 정해숙, 이은주(2016). 영유아부모의 아동학대와 대처방안 인식에 관한 연구. 아동보호연구, 1(1), 69-90.
  36. 조명자, 이서영(201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유아 권리 및 학대에 대한 인식 연구: 일반가정과 취약가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20(2), 277-295.
  37.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2017). 가정양육지원: 아동학대예방 부모교육. http://central.childcare.go.kr/lcentra l/d1_40000/d1_600061/d1_600205.jsp에서 2017년 8월 30일 인출
  38. 최승혜(2007). 아동학대 예방교육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최은영(2016). 유치원 아동학대에 대한 전문가, 교직원, 부모의 경험과 인식. 열린부모교육연구, 8(1), 199-216.
  40. 홍성훈, 김희수(2005). 아동이 지각한 가족폭력 수준과 불안 및 사회적응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5(1), 75-87.
  41. Barth, R. P. (2009). Preventing child abuse and neglect with parent training: Evidence and opportunities. The Future of Children, 19(2), 95-118. https://doi.org/10.1353/foc.0.0031
  42. Geeraert, L., Van den Noortgate, W., Grietens, H., & Onghena, P. (2004). The effects of early prevention programs fo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at risk for physical child abuse and neglect: A meta-analysis. Child Maltreatment, 9(3), 277-291. https://doi.org/10.1177/1077559504264265
  43. Lundahl, B. W., Nimer, J., & Parsons, B. (2006). Preventing child abuse: A meta-analysis of parent training programs.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16(3), 251-262. https://doi.org/10.1177/1049731505284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