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Occurrence of Domestic Violence and Child Maltreatment : Perspective from Child Protection Services

아동학대와 가정폭력의 중복발생 연구 : 아동보호서비스의 관점

  • 김기현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용회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경희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정책연구팀)
  • Received : 2018.11.07
  • Accepted : 2018.12.10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o-oc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and domestic violence in South Korea, using the administrative data from Korean Child Protection Services. Existing literature showed that the co-occurrence rate was high and that the co-occurrence was important i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r child maltreatment.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co-occurrence of child maltreament and domestic violence in South Korea. None of the studies have examined the co-occurrence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 protective services. This study analyzed the rate of co-occurrence among abusive families involved with Korean Child Protective Service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child maltreatment. Results showed that 21.4% of the abusive families had also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Various characteristics(i.e., detailed abuse characteristic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perpetrators) differed between co-occurrence families and maltreatment-only families. Domestic violenc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child maltreatment, but the detailed relationships differed according subtypes of maltreatmen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ory and service integration between services for domestic violence victims and child protective servic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 내 아동보호서비스에 연루된 학대발생가정 정보를 분석하여 아동보호서비스 관점에서 아동학대와 가정폭력의 중복발생을 살펴보았다. 국외연구들은 학대발생가정에서 가정폭력과 중복발생 비율이 상당히 높으며 학대발생 예방이나 서비스 제공에 있어 이 중복발생이 매우 중요한 지점이라고 지적하나 국내에 관련연구는 아직 많지 않고, 더욱이 아동보호서비스의 관점에서 중복발생을 논의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학대발생가정 내 가정 폭력 중복발생 실태와 중복발생가정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기존 이론과 실증연구에 기반하여 설정한 가정폭력과 아동학대 발생의 관계에 관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보호서비스에 연루된 학대발생가정의 21.4%에서 가정폭력과의 중복발생이 관찰되었고, 중복발생 가정은 아동학대만 발생한 가정과 여러 측면에서 다른 특성을 보였다. 또한, 가정폭력과 아동학대 발생은 관련이 있었으나, 구체적인 관계의 양상은 학대 하위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아동학대 발생의 이론적 함의와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서비스와 아동보호서비스의 서비스 통합과 협력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들을 논하였다.

Keywords

Cited by

  1. Risk factors for child maltreatment in South Korea: An investigation of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vol.13, pp.3, 2018, https://doi.org/10.1111/aswp.12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