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정간호사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2초

기혼여성 간호사의 수면문제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일-가정 갈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Problems and Job Engagement in Married Female Nurses)

  • 박문경;이윤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11-319
    • /
    • 2020
  • 본 연구는 기혼여성 간호사의 수면문제와 일-가정 갈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일-가정 갈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직무열의를 증진하기 위한 전략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를 이용하여 이차 분석을 실시하였고, 총 259명의 기혼여성 간호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24와 AMOS 2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면문제(β=-.33)와 일-가정 갈등(β=-.30)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 요인이었고, 수면문제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일-가정 갈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직무열의는 이 변수들에 의해 28.0% 설명되었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무관련 웰빙을 증진하기 위하여 기혼여성 간호사가 지각하는 수면문제와 일-가정 갈등이 직무열의 예측인자임을 규명하였고, 이를 고려하여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무열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융합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교대근무 기혼여성 간호사의 일-가정 양립 경험 (Shift-Working Married Female Nurses' Experience of Work-Family Balance)

  • 박미진;김일옥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297-309
    • /
    • 2024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기혼여성 간호사의 일과 가정, 일상생활에 대한 생생한 경험과 교대근무의 특수한 상황적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대근무 기혼여성 간호사 1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심층적인 내면을 탐색하기 위해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120개의 의미 단위와 16개의 하위 구성 요소, 5개의 구성 요소가 도출되었다. 5개의 구성 요소는 '교대근무로 인한 일-가정양립 현실 인식', '일-가정 양립 어려움', '일-가정 양립 원동력', '직무수행에서의 만족감 요소',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이다. 본 연구는 교대근무 기혼여성 간호사의 일-가정 양립 경험의 심층적 탐색을 통해 이들이 직면한 상황을 파악하여 교대근무 기혼여성 간호사를 위한 일-가정 양립에 정교한 개선 전략 수립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Gender Discrimination Consciousness,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Married Female Hospital Nurses.)

  • 김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425-434
    • /
    • 2017
  • 본 연구는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S시 병원에 근무하는 기혼여성간호사 1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인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은 모두 높은 수준으로, 온정적 성차별의식이 적대적 성차별의식보다 높았다. 직장-가정 갈등은 40세 미만, 자녀 1명, 근무경력이 5년 이상 10년 미만 일 때가 높았다. 이직의도는 40세 미만(t=3.66, p<.001), 자녀가 없는 경우(F=5.76, p=.004), 일반간호사와 책임간호사(F=5.86, p=.004)가 유의하게 높았다. 적대적 성차별의식은 가정-직장 방향 갈등과 지원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직장-가정 방향 갈등과 가정-직장 방향 갈등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 기혼여성간호사들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의 정도와 이직의도를 이해할 수 있으며, 직장-가정 양립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후 의료기관 가정간호 이용실태 변화 (Changes on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s Utilization After Long-term Care Insurance Launch)

  • 진영란;홍월란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371-380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전후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소 수 및 이용량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직전 1년(2007.7.1~2008.6.30)과 제도도입 후 혼란기인 6개월 후 1년(2009.1.1-12.30)간 의료기관 가정간호 기본방문료(AN100)가 청구된 자료를 받아 분석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후, 약 40개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소가 문을 닫았고, 사업소가 한 곳도 없는 시군구가 전체 시군구 중 53%에서 59%로 증가하였다. 또한, 노인의 의료기관 가정간호 이용은 물론(이용자수 13.4% 감소, 방문건수 20.9% 감소), 비노인의 이용도 감소하였다(이용자수 3.5% 감소, 방문건수 3.9% 감소). 비노인의 가정간호 이용감소는 가정방문 간호사업소의 감소로 가정간호에 대한 접근이 낮아져 나타난 결과로 유추할 수 있다. 가정간호사업소 당 총 수입액은 2009년 1년간 평균 121,850천원으로 최소 인력인 가정전문간호사 2인의 인건비를 감안하면 수익이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의 의료기관 가정 간호 이용감소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로 대체된다고 하더라도, 비노인의 가정간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간호사신문에 게재된 일-가정 양립 주제분석 (A Thematic Analysis of Nurses' Work-Family Balance in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 김미영;이경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46-457
    • /
    • 2016
  • 본 연구는 질적 주제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간호사신문에서 간호사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주제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2년 9월 14일부터 2015년 2월 10일까지 간호사신문 웹 사이트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분석 대상은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일-가정 양립 관련 기사 총 473건이었다. 연구결과 일-가정 양립 정부정책, 일-가정 양립을 위한 대한간호협회의 활동 등 2개의 주제와 10개의 하부주제가 도출되었다. 일-가정 양립 정부정책으로는 육아 휴가 정책, 자녀양육 지원정책, 근무제도 개선정책, 가족친화적 문화정책이며, 일-가정 양립을 위한 대한간호협회의 활동으로는 다양한 근무형태 도입을 위한 활동, 24시간 직장보육시설 확충을 위한 활동, 유휴간호인력 지원 활동, 건강한 출산 양육환경 조성 활동, 가족친화적인 직장 환경을 위한 활동, 대체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활동으로 도출되었다. 지난 15년간 일-가정 양립을 다룬 기사의 수는 양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이었으며, 국가적 사건이나 사회 분위기에 따라 그 관심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고, 대한간호협회의 활동이 정부의 정책과 유기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간호사신문이 일-가정 양립과 관련하여 앞으로 선도해야 할 방향은 양성평등을 대변하는 젠더관점으로의 전환, 모성보호관련 이행이 취약한 실태나 문제점 등을 심층적으로 공론화하는 등 간호사의 입장을 대변해야 함을 시사한다.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경로분석 (Path Analysis of Work-Family Conflic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arried Women Nurses)

  • 강희순;이은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06-217
    • /
    • 2017
  • 본 연구는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직장가정 갈등, 소진 및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이들 요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J시 5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기혼여성 간호사 1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SPSS/WIN 18.0 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형의 적합도 검정 결과 수용 기준을 충족하였다($x^2/df=0.002$, GFI=1.00, AGFI=1.00, RMSEA=.00, NFI=1.00, CFI=1.00, TLI=1.09). 경로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직장가정 갈등, 소진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기혼여성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직의도를 32.0% 설명하였다. 특히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변수로 작용하였고, 사회적 지지와 소진 및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변수로 작용하여 소진과 이직 의도를 증가시켰다. 사회적 지지는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 소진과 이직의도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주어 소진과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보호요인이었다. 따라서 기혼여성 간호사의 소진과 이직의도를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서 는 직장가정 갈등에 초점을 둔 중재와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키는 프로그램이 효과적일 것이다.

기혼간호사의 일-가정양립경험: 가족확대기 간호사를 중심으로 (Work-Family Compatibility Experience of Married Nurse: Focusing on the Expanding Stage of the Family Life Cycle)

  • 김한나;김정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45-55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확대기의 기혼간호사들의 일과 가정의 양립의 경험의 본질을 탐색하고자 가족확대기의 기혼간호사 7명의 참여로 2015년 6월 1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가족확대기의 기혼간호사들의 일과 가정의 양립의 경험은 29개의 주제와 12개의 주제모음, 4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최종 도출된 4개의 범주는 '일과 양육 병행에 대한 현실', '일과 양육 양립의 대한 외적 내적 갈등', '양립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현실과의 타협', '양립을 위한 성장 욕구와 노력'으로 분석되었다. 기혼간호사의 일과 가정 양립의 원동력은 전문직 여성으로써의 가치감과 아이 양육에서의 행복감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따라서 기혼간호사의 일과 가정 병행을 위한 기관 및 가족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 갈등, 소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inical Nurses' Job Stress, Work-family Conflicts & Burnout on Depression)

  • 이은숙;강희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237-24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 갈등 및 소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중간보다 높은 정도였고, 직장가정 갈등은 중간 정도, 소진은 중간 이하였고, 우울은 가벼운 우울 정도였다.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직장가정 갈등이 높고, 소진이 높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장가정 갈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소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우울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직장가정 갈등 해소를 위한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