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구식 구조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모듈러 골조의 각형강관 기둥과 C형강 보 접합부의 거동 평가 (Behavior of C-Shaped Beam to Square Hollow Section Column Connection in Modular Frame)

  • 이상섭;박금성;홍성엽;배규웅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471-481
    • /
    • 2015
  • 모듈러 건축은 사전에 설계 검토된 건물 요소를 공장에서 모듈로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송 조립하는 프리패브 건축 시스템이다. 모듈러 건축물의 구조 형식은 공법, 재료, 부재 구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지만 사용되는 모듈의 구조 형식은 크게 벽식과 가구식으로 나눌 수 있다. 벽식 모듈은 모듈의 입면을 패널을 이용하여 구성하여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을 전달시키는 방식이다. 가구식 모듈은 기둥과 보를 이용하여 모듈을 구성하고, 용도에 맞춰 입면을 마감하거나 개방시켜 놓는 방식이다. 이 두 가지 모듈 방식은 국내에도 사용된 바 있으나 최근 가구식 모듈이 보편화되고 있다. 가구식 모듈의 기둥 부재로 각형강관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보 부재로 C형강 또는 H형강이 사용되고 있다. 각형강관이 기둥 부재로 사용된 가구식 모듈간 접합을 위해 각형강관 기둥 단부에 고력볼트를 채우기 위해 액세스 홀을 가공하는 경우가 있다. 액세스 홀은 볼트체결을 위해 사람의 손이나 공구가 폐쇄형 단면인 각형강관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개구부로 액세스 홀은 기둥-보 접합부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패널존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에서는 가구식 모듈의 기둥-보 접합부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액세스 홀, 기둥 두께, 다이아프램을 변수로 5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가구주율법에 의한 장래가구추계 (A Household Projections Using Headship Rate Method)

  • 김형석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3권1호
    • /
    • pp.65-90
    • /
    • 2002
  • 가구는 인구, 사회, 경제적으로는 물론 통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단위이다. 전통적으로 가족주의에 기반을 둔 한국 사회가 최근산업화, 도시화 등의 영향으로 가구 구조에서 많은 변화를 겪고 있어, 장래 가구를 추정하는 것은 비단 산업이나 학문뿐 아니라 가족복지 정책을 수립하는데도 매우 중요하다. 장래가구를 추계하는 방법으로는 가구주율법이 단순하면서 자료에 대한 제한이 적을뿐더러, 한국 사회처럼 혼인 연령이 빠르게 상승하는 사회에 적합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장래 가구 주율은 가구주가 35세미만인 경우에는 선형로그식, 35세이상인 경우에는 순천이율(net transition rate)로 추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장래 가구주율 추정결과를 보면, 남자는 35-39세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50-54세에 정점에 달하는 일봉(one peak)패턴을, 여자는 20대에 증가하다가 30-34세에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는 쌍봉(two peaks)패턴을 보였다. 한편 가구추계의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20대 및 노인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늘어나는 1인 가구에 대해 가구형성과 해체 패턴을 좀 더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나타났다.

  • PDF

동북아 가구류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항만물류 비즈니스 모델의 탐색 (A Study on Trade Structure of Furniture and Port Logistics Business Model in North-east Asia)

  • 오용식;권문규;구경모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1-257
    • /
    • 2014
  •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필자들은 한중일 3국의 협력적 물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보완과 새로운 제안을 시도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특정 산업의 물류네트워크에 초점을 두었고, 지금까지 다루어진 바가 거의 없는 가구산업에서 새로운 한중일 협력적 물류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가구산업은 한중일 3국에서 모두 해외 의존도가 높고 물류문제가 이슈가 되는 산업이다. 따라서 가구류 수출입 물류구조는 항만배후지를 이용하여 합리화될 수 있는 여지가 크고, 거기에서 새로운 물류 비즈니스를 창출할 기회가 엿보았다. 그 결과 부산항 가구물류센터에서 중-일간 크로스독 기능과 일본향 수입가구 조립배송기능을 담당할 것을 제안하였다. '중일 크로스독 센터' 모델은 중일항로에서 부산항이 가진 지리적 이점과 고밀도 네트워크를 활용한 것이며, '일본향 수입가구 조립배송센터' 모델은 일본 수입가구의 조립과 배송기능을 부산 신항 배후지로 이전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가구류 항만물류 비즈니스모델의 현실화에는 크게 보아 적극적 투자유치활동의 전개, 부산항의 경쟁력 유지 강화, 부산신항 배후부지 활성화 등 3가지의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장려상 이태연, 주윤미, 김남성_ 강원대-Structure solution of remodeling

  •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 건축구조
    • /
    • 제12권4호
    • /
    • pp.82-83
    • /
    • 2005
  • 현재까지의 아파트 재건축은 대부분의 기존에 낮은 용적율의 저층 아파트를 용적율을 높여 고층으로 건설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때 증가하는 아파트 가구수는 일반에 분양함으로서 재건축 조합원인 원래의 아파트 주민과 시공사에게 경제성을 확보하여 주고, 따라서 그들간의 이해관계의 일치에 의해 재건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콘크리트 건물의 수명이 짧다는 일본의 경우도 그 수명이 37년이며 일반적으로 외국의 경우 콘크리트 건물의 수명이 50-60년은 된다는 점을 볼 때 20년만 넘으면 재건축을 요구하는 우리나라의 아파트의 수명은 선진국에 비하여 지나치게 짧다. 재건축이 주민과 시공사의 이해관계에 의한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재건축보다는 기존의 건물을 해체하진 않으면서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 PDF

사무용 수납가구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Office Filing System Furniture)

  • 신화경;하숙녕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129-138
    • /
    • 2002
  • 정보화에 따라 수납량이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수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최근의 사무환경 변화에 발 맞추어 국내 외 사무용 수납가구의 디자인 특성 및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무환경 디자인에 맞는 가구의 조건을 정리하고, 현재 우리 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국내 외 사무용 수납가구의 디자인 특성영역을 분석하여 사무환경에 대응할 수납시스템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사무용 수납가구 중 현재 일반화되어있는 lateral file 등 6가지 수납가구를 대상으로 국내 외 사무용 가구의 카다로그를 분석하였으며 사무용 수납가구의 디자인 특성으로는 수납가구의 크기, 형태, 색, 재료, 손잡이, 수납방법, 이동성, 융통성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현재 시판되는 수납가구의 디자인 특성분석결과에 따른 미래의 수납가구의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변화하는 사무환경에 맞춰 고정형보다는 이동이 가능한 가구와 함께 위치변동이 자유로운 수납가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수납가구의 크기는 서로 다른 제품과 혼합사용시 공간의 통일성 및 공간 사용의 융통성을 주는데 유리하므로 일정한 모듈의 규격화된 디자인이 필요하다. -무채색계열과 정해진 나무색상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형태에서, 앞으로는 변화하는 사무환경과 수납가구의 디자인에 맞춰 다양한 색상의 개발이 요구된다. -수납가구의 손잡이는 기능적인 면 외에도 다양한 이미지 변화의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손잡이의 디자인 변화가 필요하다. -수납구분방법은 대부분이 선반과 서랍식으로 구분되었고 서랍식인 경우 기능이 정해진 내부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나, 서랍의 내부와 외부에서의 다양한 수납방법과 디자인이 필요하다.

  • PDF

가구조사를 위한 이단추출 표본설계에서의 집락선택 (Choosing clusters for two-stage household surveys)

  • 박인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2호
    • /
    • pp.363-372
    • /
    • 2016
  • 우리나라 가구조사는 흔히 통계청의 조사구를 집락으로 사용한 이단추출의 자체가중 표본설계의 형태로 진행된다. 집락구조는 모집단내 개체변동성을 집락간과 집락내 분산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이와 연관된 표본집락수와 집락내 표본수의 결정은 표본추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조사구의 규모, 노후화, 가구명부 접근불가 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집계구와 같은 대안적 집락선택이 고려되기도 한다. 또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부터는 전통적 가구방문조사 방식에서 행정자료를 이용한 등록센서스 형태로 바뀜에 따라 기존 조사구의 형태나 규모의 변경되어 구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집락추출을 반영한 설계효과식을 통해 계통적 혹은 내포적 구성을 갖는 집락들의 선택이 주는 분산식 차이를 유도하고, 주어진 표본크기에서 동일한 분산을 갖는 집락구조별 표본할당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국 매릴랜드주 앤어룬델 카운티 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조사구와 집계구와 다소 유사한 사례연구를 포함하였다. 조사변수별로 집락통합이 주는 동일성 계수의 변화는 같지 않으며 이에 따라 집락구조에 따른 표본할당이 집락표본수와 더불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배달·테이크아웃 식품소비행태 비교 분석 (An Analysis of Delivery and Take-out Food Consumption According to Household Type)

  • 김지훈;임성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27-334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의 1인 가구 증가와 식품의 비대면 구매 증가 현상 속에서 7차 식품소비행태조사(2019) 자료를 이용하여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식품소비행태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차이가 나는 원인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1인가구의 인구 특성별 요인과 배달 및 테이크아웃 식품 이용 빈도가 배달·테이크아웃의 지출액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한 후 다인가구와 비교 기술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1인가구와 다인가구 모두 소득이 증가할수록 배달 및 테이크아웃 지출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1인가구가 다인가구에 비해 지출액이 높았다. 둘째, 1인가구의 여성일수록 배달 및 테이크아웃 지출비용이 높았으며, 다인가구의 여성은 상대적으로 배달 및 테이크아웃 지출비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라 배달 및 테이크아웃 지출비용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했으나 특정 연령에 따른 지출비용 차이는 검증되지 않았다. 넷째, 1인가구와 다인가구 모두 배달 및 테이크아웃 이용 빈도가 증가할수록 지출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인 가구에서 주 4회 이상 배달 및 테이크아웃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지출비용이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2020년 음식료 배달 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전국 17개 시·도 중 12곳에서 전년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며 보편적인 서비스산업으로 자리 잡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내 식품산업이 식문화 트렌드 변화와 인구구조 변화에 부합하도록 정책적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알루미늄제 폰툰형 레저보트 개발

  • 김헌우;심상목;백영수;조제형;신일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3회 정기총회
    • /
    • pp.138-140
    • /
    • 2007
  • 폰툰형 레저보트는 쌍동식 또는 삼동선식의 안전성이 확보된 선체와, 다양한 기능을 만족할 수 있는 상부구조로 구성, 건조비 뿐만 아니라 레저 접근성이 용이한 보트로서, 해양레저 선진국에서는 내수면뿐만 아니라 해수면에서도 함께 즐길 수 있는 가족형 레저보트로 인식되어 최근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폰툰형 레저보트는 최적의 공간활용을 위해 사각모양의 갑판형태로 인해 유체의 저항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선저형상, 추진시스템 및 조향운전장치 뿐만아니라 선수선저부의 슬래밍 충격에 대비한 구조강도 등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가구 4인 가족단위로 함께 즐길 수 있는 안전성이 높고, 낚시, 스쿠버 둥을 위한 편의시설이 확보한 선형 최적형상 연구 및 구조강조 해석을 통한 9인승 규모의 폰툰형 레저보트를 개발하고자 한다.

  • PDF

전통건축 지붕곡 구조분석을 통한 지붕가구부 설계도구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an Roof Structure Generating Tool based on the Structural Analysis of Roof Curvature in Traditional Buildings)

  • 이현민;안은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93-404
    • /
    • 2014
  • 본 연구는 전통건축 방식의 지붕곡을 전산학적으로 재해석하고 지붕가구부를 구성하는 부재들간의 기하학적 상관관계를 3D 데이터로 설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지붕곡을 형성하는 여러 개의 구성 요소, 즉 지붕가구부 부재들간의 상관관계를 전통건축 축조 방식에 근거하여 함수식으로 정의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가 원하는 지붕면을 구성하기 위한 각 부재들의 3차원 데이터 자동 생성 기법을 구현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부재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지붕곡의 속성이 변경되면 지붕곡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개의 부재들이 자동으로 재설계되는 방식으로써 전통건축 설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한옥의 다양한 지붕곡 설계를 보장하면서도 체계적인 설계와 규격화된 생산 및 가공을 가능하게 하여 한옥의 보급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합성 PC부재의 Steel-joint Connection Method 개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f steel-joint connection method of composite precast concrete members)

  • 김근호;이동훈;김선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11
    • /
    • 2013
  • Green Frame is a column-beam system formed by composite precast concrete column and beam connected with steel buried in both members. During the installation of Green columns, the columns of Green Frame, covering 3 floors per each piece and beams, the eccentricity can be observed due to the construction error and the weight of beam itself. Such eccentricity may have a little influence on a single frame, yet, it can develop critical issues to the installation of subsequent beams or beams on the upper floors in the context of a building as a whole that has multiple frames. These issues lead to delay in frame installation, decrease of productivity and increase of cost, etc.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steel-joint connection method in order to solve the issues. The steel-joint connection method exists on slope plane and reinforcing plate in steel frame buried in composite PC members. Through this method, the issues can be resolved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equipment or manpow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