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rade Structure of Furniture and Port Logistics Business Model in North-east Asia

동북아 가구류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항만물류 비즈니스 모델의 탐색

  • 오용식 (한국해양대학교 국제무역경제학부) ;
  • 권문규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 구경모 (동의대학교 유통관리학과)
  • Received : 2014.08.25
  • Accepted : 2014.09.20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In general, furniture industry, with its high foreign dependency, has serious logistics issues that are commonly raised in such countries as Korea, China and Japan. This leads to my different possibilities & ways of rationalizing the logistics systems that utilize port hinterlands. Thus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create new logistics systems which will work effectively across the three countries. In this research study, we came up with 2 logistics models in which the port hinterland of Busan serves as the distribution center for furniture industry, and the models were suggested as the cooperative logistics business systems for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 the proposed models, 'Busan furniture logistics center' has the dual functions of 'the cross-docking center from China to Japan' and 'the assembly & delivery center for furniture imported by Japan'. To have this logistics business center materialized, we propose that policy-level supports from the relevant port authorities be provid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overseas investment promotion focused on the furniture industry of Japan, protection &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for the port of Busan, and uilization plans for the new port hinterland of the city.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필자들은 한중일 3국의 협력적 물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보완과 새로운 제안을 시도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특정 산업의 물류네트워크에 초점을 두었고, 지금까지 다루어진 바가 거의 없는 가구산업에서 새로운 한중일 협력적 물류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가구산업은 한중일 3국에서 모두 해외 의존도가 높고 물류문제가 이슈가 되는 산업이다. 따라서 가구류 수출입 물류구조는 항만배후지를 이용하여 합리화될 수 있는 여지가 크고, 거기에서 새로운 물류 비즈니스를 창출할 기회가 엿보았다. 그 결과 부산항 가구물류센터에서 중-일간 크로스독 기능과 일본향 수입가구 조립배송기능을 담당할 것을 제안하였다. '중일 크로스독 센터' 모델은 중일항로에서 부산항이 가진 지리적 이점과 고밀도 네트워크를 활용한 것이며, '일본향 수입가구 조립배송센터' 모델은 일본 수입가구의 조립과 배송기능을 부산 신항 배후지로 이전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가구류 항만물류 비즈니스모델의 현실화에는 크게 보아 적극적 투자유치활동의 전개, 부산항의 경쟁력 유지 강화, 부산신항 배후부지 활성화 등 3가지의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부원, "부산항의 현황과 발전전략", 제10차 세계한상대회 발표자료, 2011.
  2. 구경모.오용식, "부산신항 배후물류단지의 물류 비즈니스구축방안에 대한 고찰", 해양정책연구 제28권1호, pp27-57, 2013.
  3. 김갑환 외, 부산-일본 서안지역 컨테이너화물 최적물류 네트워크 구축방안, 부산대학교, 2010.
  4. 김율성.허윤수.이지훈, 국제산업물류도시의 물류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2009.
  5. 김종광, 한국가구산업의 경쟁력 강화전략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12.
  6. 박병주, 신항 배후지역 활성화를 위한 비즈니스 개발 및 기업유치 전략, 경남발전연구원, 2009.
  7. 박병주, 신항배후지역 활성화를 위한 물류 비즈니스 모델개발 및 기업유치방안, 경남발전연구원, 2009.
  8. 박진희.남기찬.곽규석.김환성, 한중일 협력적 물류 비즈니스 모델 개발(I), KMI-KMU국제물류학연공동연구센터, 2011.
  9. 오용식.권문규.구경모, 한중일 협력적 물류 비즈니스 모델 개발(II), KMI-KMU국제물류학연공동연구센터, 2012.
  10. 이상훈, 경기북부 가구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10.
  11. 이성우, "물동량 구조분석을 통한 광양항 항만배후단지 유치업종 선정연구", 국토연구원, 국토연구 제58권, pp.3-20, 2008.
  12. 이승덕, 한국 가구제조기업의 중국시장 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2007.
  13. 임영태.류재영, 항만배후단지의 물류 비즈니스 모델에 기초한 물류정책방향, 국토연구원, 2008.
  14. 장석인 외, 숙련집약형산업의 혁신전략 연구, 산업연구원, 2010.
  15. 정승주, "국가물류체계 구축성과와 중장기 구조개편 정책방향", 한국교통연구원 물류연구 성과발표회, 2010.
  16. 한국가구산업협회보, 각호
  17. 한국은행, 투입산출표, 2010.
  18. 황원구 외, 가구산업 경쟁력조사, 무역위원회, 2004
  19. 중국해관통계, 2011.
  20. 일본 財務省, 貿易統計, 각호
  21. 日本家具産業振興會, わが國家具産業の槪要, 2011
  22. 矢野経済研究所, 家庭用.オフィス用家具市場に關する調査結果, 2012.
  23. Beijing Zeefer Consulting Ltd., China Furniture Industry Profile, 2012.
  24. CSIL, World Furniture Outlook 2012, 2011.
  25. JETRO, "中國の家具市場動向", 2009.
  26. Ocean Commerce, International Container Transport Handbook, 2012.
  27. UNCTAD, HANDBOOK OF STATISTICS, 2010.
  28. 관세청 (http://www.customs.go.kr/)
  29. 경남발전연구원 (http://www.gndi.re.kr/)
  30. 국토해양부 (http://www.mltm.go.kr/)
  31. 국토해양부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 (https://www.spidc.go.kr/)
  32. 무역진흥공사 (http://www.kotra.or.kr/)
  33. 부산발전연구원 (http://www.bdi.re.kr/main/)
  34. 부산항만공사 (http://www.busanpa.com/)
  35. 일본 국토교통성 (http://www.mlit.go.jp/)
  36. 일본 경제산업성 (http://www.meti.go.jp/)
  37. 일본 무역진흥기구(http://www.jetro.go.jp/)
  38. 일본 세관 (http://www.customs.go.jp/)
  39. 일본 오피스가구협회 (http://www.joifa.or.jp/)
  40. 중국 국가통계국 (http://www.stats.gov.cn/)
  41. 통계청 (http://kostat.go.kr/)
  42.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http://stat.kita.net)
  43. 한국은행 (http://www.bok.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