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愚潭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우담 정시한(愚潭丁時翰)의 견해 (Udam Jeong Sihan(愚潭 丁時翰)'s View on the Ido-seol(理到說))

  • 이원준
    • 한국철학논집
    • /
    • 제50호
    • /
    • pp.113-138
    • /
    • 2016
  • 본 연구는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의 만년 학설인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우담 정시한(愚潭 丁時翰, 1625~1707)의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퇴계 이도설에 대한 후대 학자들의 수용과 계승 및 발전의 양상을 이해하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퇴계 이후 이도설은 '물리도심(物理到心)'으로 이해되었고, 갈암 이현일(葛庵 李玄逸, 1627~1704)은 이를 무위의 본체인 '리(理)'에 '저기서부터 여기로 이른다'는 방향성과 운동성을 부여하였다고 비판하였다. 반면 우담은 '물리도심'을 긍정하였고, 이를 '리'의 온전한 체(體)를 부여받아 만물의 용(用)을 아울러 갖춘 '심(心)'이 만물을 통섭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기존에 구축한 '리의 용(用)'에 대한 정치한 해석에 기반하여 '이도(理到)'를 '물아위일(物我爲一)'로 확장하였다. 이때의 '물아위일'은 단순한 융회관통의 차원이 아닌 '물리'가 질서정연해져 '심' 속에 누가 되지 않는 경지가 된다. 우담의 견해는 '이도(理到)'의 서술어에 해당하는 '도(到)' 자체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이를 '진(盡)'으로 대체하여 이도설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려 한 갈암과는 그 양상이 사뭇 다르다. 우담은 보다 본체론적인 측면에서 해석을 시도한 것이다. 우담의 견해는 퇴계가 구축한 '리' 중심의 성리학 체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하나의 유용한 틀이 될 수 있다. 이는 우담의 리체용론이 퇴계학파의 사상 형성과 그 양상을 확인하는 데 중요한 이론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우담(愚潭) 정시한(丁時翰)은 퇴계(退溪)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 『사칠변증(四七辨證)』을 중심으로 - (Woodam Jeong Si-han's Understanding of Toegye)

  • 강희복
    • 한국철학논집
    • /
    • 제29호
    • /
    • pp.33-54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퇴계학파가 형성되고 전개되는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인물인 우담(愚潭) 정시한(丁時翰)(1625-1707)이 퇴계(退溪)(1501-1570)의 사상을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하는 문제에 대하여, 『사칠변증(四七辨證)』에 나타난 우담의 관점과 견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담(愚潭)은 17세기의 일원론(一元論)과 이원론(二元論)이 양립하는 시대를 살았다고 할 수 있는데, 퇴계의 사상에 대한 우담의 이해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담은 기본적으로 퇴계를 주자의 정통으로 보면서, 이기(理氣)에 대한 변론(이기지변(理氣之辨))과 성정(性情)의 근원(성정지원(性情之原))에 대한 퇴계의 진지(眞知)·실득(實得)을 따르고 실천하려고 하였다. 둘째, 우담은 옛날과 지금 사람들의 학문(學問)이 어긋난 이유는 다만 '이(理)'자(字)를 알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발(發)하는 것은 기(氣)이고, 발(發)하는 까닭은 이(理)이다"라는 율곡(栗谷)의 주장을 비판하고, 이치(理)의 궁극적 실재성·운동성(작용성)·근원성(주재성)과 이치(理)의 체용(體用)을 주장하는 퇴계의 견해를 따르지만, "이기(理氣)가 묘합(妙合)한 가운데, 이(理)는 항상 주(主)가 되고 기(氣)는 항상 보(輔)가 된다"(이주기보(理主氣輔))고 하면서 퇴계의 학설을 더욱 발전시켰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우담은 같음(동(同)) 가운데서도 다름(이(異))을 볼 수 있고 다름(이(異)) 가운데서도 같음(동(同))을 볼 수 있으며, 분석(분개(分開))할 때는 분석하고 종합(혼륜(渾淪))할 때는 종합하면서도 이를 입체적(통간(通看))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퇴계의 정신을 따르면서, 율곡의 학설을 비판하고 퇴계의 호발설(互發說)을 옹호하였다. 이렇게 볼 때 우담은 퇴계의 이기(理氣)와 심성(心性)에 관한 견해를 깊고 바르게 이해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서, 퇴계의 정신에 따라서 실천하며 살려고 노력하였다고 할 수 있다.

선(善)의 보편성(普遍性)과 실현근거 관한 우담(愚潭)과 녹문(鹿門)의 이해 - 리통기국(理通氣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Woo-dam(愚潭) and Nok-mun(鹿門)'s understanding about the ground of universality in the pure goodness and its bases on the realizat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Yul-gok(栗谷)'s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Ch'i)

  • 손흥철
    • 한국철학논집
    • /
    • 제28호
    • /
    • pp.267-296
    • /
    • 2010
  • 인간에게는 다양한 이해(利害)관계가 존재하고 다양한 사유가 존재한다. 이러한 다양성으로 인하여 세상에는 매우 복잡한 갈등관계가 형성된다. 계층·지역·학제·문화 등에서 단순 내지 복합적으로 형성되는 갈등관계는 그것이 해결가능성이 없다고 하면, 인간의 보편적 가치나 그 가치의 실현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논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명제가 정이(程頤, 1033-1107)의 리일분수(理一分殊)와 율곡(栗谷, 1536-1584)의 리통기국(理通氣局)이다. 성리학의 리기론에서 리는 순선(純善)인데 어떻게 이 순선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느냐가 문제이다. 리 스스로 자신의 순선을 드러낸다는 주장이 있고, 기를 통하여 드러낼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 있다. 퇴계(退溪, 1501-1570)나 우담(愚潭, 1625-1707)은 리 스스로가 자신을 드러내지는 못할지라도 적어도 자신을 드러내는 주동성은 리에 있다고 보며, 율곡은 어디까지나 기를 통하여 드러나며, 리는 기를 통하여 드러나도록 하는 주재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녹문(鹿門, 1711-1788)은 순선은 리와 기의 합일로서 실현된다고 보며, 이때 주동성이 리에 있는가 기에 있는가는 문제가 아니라, 공동주재로 리는 자연으로 기는 생의(生意)로 드러난다고 주장한다. 율곡이 선의 보편성과 그 실현근거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정립하였다면, 우담은 선의 실천과 실현에 좀 더 적극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리의 주재성과 주동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반면에 녹문은 리기불상리의 전제하에서 리의 선(善)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기의 담일성과 능동성 즉 생의(生意)를 강조, 리의 자연성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인간이 선을 실천하지 않으면 안 되는 당위성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인가? 이것이 문제다. 이것은 성리학 뿐만 아니라, 철학의 본래 문제이기도 하다.

우담 정시한의 「사칠변증(四七辨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odam Jeong Si-Han(愚潭 丁時翰)'s "Siqibianzheng (「四七辨證」)")

  • 서근식
    • 한국철학논집
    • /
    • 제59호
    • /
    • pp.343-370
    • /
    • 2018
  • 정시한은 72세에 "사칠변증"을 완성하고 이후에 제자 이식과 인물성동 이논변을 벌인다. 정시한의 입장은 인물성이론의 입장이었고 이식은 인물 성동론의 입장이었다. 그러나 인물성동이논변은 잊혀지고 "사칠변증"이 인정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당시에 퇴계학파와 율곡학파가 대립점에 있었고 서로가 서로의 입장을 비판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사칠변증"을 완성하게 되는 데에는 이현일의 "율곡이씨논사단칠정서변"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이의 사단과 칠정에 대한 생각은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라는 '혼륜(渾淪)의 입장'이었고, 이황은 사단과 칠정은 서로 다르게 해석할 수밖에 없다는 '분개(分開)의 입장'이었다. 정시한은 분개의 입장에서 혼륜의 입장을 비판하는 입장에 있었다. "사칠변증"을 통해 정시한은 무엇을 추구하려고 하였는가? 이러한 사실은 우리가 정시한이 제자 이식과 벌였던 인물성동이논변을 잊게 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현재 정시한의 "사칠변증"에서 이이를 비판한 사실은 알지만 정시한이 인물성동이논변을 벌였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중요한 논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왜 "사칠변증"이 우리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것일까? 그것은 정시한이 희망했던 희망하지 않았던 것과 상관없이 정시한 이후에 사단칠정논쟁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이익과 신후담, 정약용에게까지 "사칠변증"이 영향을 준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丁愚潭先生四詩之儒賢意蘊 (Confucianism and Confucian Connotation in Ding Shihan's(丁時翰) Four Poetry)

  • 張京華
    • 한국철학논집
    • /
    • 제27호
    • /
    • pp.469-496
    • /
    • 2009
  • 愚潭先生于理学, 以≪四七辨证≫贡献最大, 由此知名。 其诗咏作品, 传世甚少。 学者迄今鲜有论述。 那么愚潭之于诗学, 其才情如何, 即成疑问。 自宋周濂溪至朱晦庵以来, 理学诸儒多能吟咏, 故有"濂洛风雅"一派。 愚潭之诗與其理学著作, 究竟具有何种关联, 亦成疑问。 愚潭终身不仕, 儒书之外, 又谙熟佛典與仙道, 又性好游观, 凡此种种, 就外表而言, 则似介于儒学與佛,道之间, 那么愚潭先生之立身, 究竟为儒家, 为佛道, 亦颇有探讨价值。 其一生学养所归, 是否醇儒, 仍须辨明。

우담 채득기의 경천대 경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요소의 해석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Elements at the Management of Udam Chae Deug-gi's Gyeongcheondae(擎天臺))

  • 이유진;김수진;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27-143
    • /
    • 2010
  •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선비인 우담 채득기가 경영한 경천대 일원의 산수경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요소의 해석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산수경영과 자연경물에 대한 명칭부여는 동시대 지식인들의 자연관 형성에 투영되었을 뿐 아니라 정원문화의 유행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우담 채득기는 경북 상주의 낙동강변에서 은거하며 산수를 경영하고, 유유자적하는 삶을 살고자 하였는데, 그가 경영한 경천대 28경은 성리학적 절의와 충절의식에 입각하여 자연경물에 이름을 붙이고 자신의 미의식을 현실화하는 등 산수경영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세부적인 경관의 명칭으로는 크게 '대명의리와 충절', '신선사상' 그리고 풍유와 소요자적 삶에 따른 '산수경영의지', 마지막으로 '학문탐구' 등을 상징하였다. 또한, 경천대 일원의 28경처 중 특별히 10가지의 경관을 선택하여 자신이 실제 소요하거나 유희했던 장소를 중심으로 소상팔경의 경관어휘인 시간과 계절 그리고 기상의 변화를 서정적으로 노래하고 있는데, 이는 자연환경의 변화를 통한 소우주의 섭리를 이해하고자 한 당시의 산수경영의 유행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담 채득기는 자신이 은거한 경천대 일원의 산수경영을 명 청 교체기라는 조선의 상황을 비유하여, 자연의 경물에 이름을 붙이고, 또 암울한 사회를 극복하고자 노력한 것은, 그가 평소 강조한 의리와 절개라는 조선선비들이 가져야 할 덕목을 가치 있게 내세운 성리학적 자연관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愚潭丁時翰心性論淺析 - 以退溪, 栗谷, 愚潭比較為中心 (On Woodam Jeong Si-Han's Xin and Xing Theory)

  • 洪軍
    • 한국철학논집
    • /
    • 제27호
    • /
    • pp.447-468
    • /
    • 2009
  • 愚潭丁時翰(1625-1707)是朝鮮朝中期退溪學派的主要代表人物之一, 他一生隱居求志躬行心得為後世儒者所敬仰。 作為近畿主理論學者他同李玄逸(1627-1704, 字翼升, 號葛庵)一起, 對退溪的四七理論作了積極維護和系統闡述。 本文從比較的角度, 對愚潭的理氣說, 四端七情說, 人心道心說進行了簡要論述。 儘管他在理氣關係及四七理論的解釋上有些折衷退溪與栗谷思想之傾向, 但是從四七說以及對理氣關係的主僕, 上下位關係的解釋中我們還是可以看出其基於退溪的尊理貶氣, 理氣互發之義上的為學特色。 在人心道心說方面的特點在於, 其對朱子所講的實然之"心"的重視。

전이된 담도암 환자의 패혈증을 한다열소탕 및 우담과 항생제를 병행하여 치료한 환자 1례 (A Case Study of Metastatic Cholangiocarcinoma with Sepsis who Showed Symptomatic Improvement after Treated with Handayeolso-tang, Fel Tauri, and Antibiotics)

  • 이수민;최성헌;송안나;이지영;채진;정의홍;이수경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32-441
    • /
    • 2013
  • Objectives Despite the treatment with antibiotics, patients with sepsis has a high mortality (80%) in the underlying disease group.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improvement of septic condition of the cholangiocarcinoma patient after the treatment with Handayeolso-tang, Fel Tauri, and antibiotic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The patient's subjective symptoms such as chilling and abdominal pain were evaluated by NRS and the performance status was evaluated by ECOG. This case was literally compared with relevant published studies on prognosis of sepsis. Results Despite poor prognostic factor(MEDS score 18), the patient's symptoms such as fever, chilling, abdominal pain, and diarrhea and ECOG(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improved. The patient was hemodynamically stabilized on 3rd day from the treatment, and her laboratory test results were normalized on 7th day. Conclusions A female patient of metastatic cholangiocarcinoma came to the hospital for cholangitis, later causing septic shock. Both her symptoms and laboratory tes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treatment of antibiotics, Handayeolso-tang and Fel Tauri.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ing the synergistic combination of Korean orient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approaching to sep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