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am Jeong Sihan(愚潭 丁時翰)'s View on the Ido-seol(理到說)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우담 정시한(愚潭丁時翰)의 견해

  • 이원준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전공)
  • Received : 2016.07.10
  • Accepted : 2016.07.30
  • Published : 2016.08.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appearance of development, inheritance and acceptance of Toegye Yi Hwang(退溪李滉, 1501~1570)'s theory after his life by examining Udam Jeong Sihan(愚潭 丁時翰, 1625~1707)'s view on the Ido-seol(理到說), the Toegye's latter theory. After Toegye, Ido-seol was translated as 'The principle of matters reaches the human mind'. Galam Yi Hyunil(葛庵 李玄逸, 1627~1704), the contemporary scholar with Udam, criticized this translation for applying the directivity and motility to 'Li', the immovable principle. However, Udam agreed with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of Ido-seol and understood it as the consilience of mind which got the entire principle(體) of 'Li(理)' and contained the application(用) of all things. He extended this concept as the level of 'sameness between objects and self [物我爲一]' based on his former theory, the exquisite interpretation of 'application of Li'. The meaning of 'sameness between objects and self[物我爲一]' is not amalgamation but applepie order of matter's principle in mind. The Udam's viewpoint is differ from Galam who tried to overcome the structural limit of Ido-seol by transforming 'Do(到)', the predicate of 'Ido(理到)', into 'Jin(盡)'. It means that he tried to interpret 'Ido(理到)' on the more essential aspect. His view can be the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the Toegye's neo-Confucianism system with 'Li(理)' as central figure. It suggested that Udam's theory of the principle and the applecation of 'Li' can be the important theory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Toegye schools' though and its development.

본 연구는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의 만년 학설인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우담 정시한(愚潭 丁時翰, 1625~1707)의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퇴계 이도설에 대한 후대 학자들의 수용과 계승 및 발전의 양상을 이해하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퇴계 이후 이도설은 '물리도심(物理到心)'으로 이해되었고, 갈암 이현일(葛庵 李玄逸, 1627~1704)은 이를 무위의 본체인 '리(理)'에 '저기서부터 여기로 이른다'는 방향성과 운동성을 부여하였다고 비판하였다. 반면 우담은 '물리도심'을 긍정하였고, 이를 '리'의 온전한 체(體)를 부여받아 만물의 용(用)을 아울러 갖춘 '심(心)'이 만물을 통섭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기존에 구축한 '리의 용(用)'에 대한 정치한 해석에 기반하여 '이도(理到)'를 '물아위일(物我爲一)'로 확장하였다. 이때의 '물아위일'은 단순한 융회관통의 차원이 아닌 '물리'가 질서정연해져 '심' 속에 누가 되지 않는 경지가 된다. 우담의 견해는 '이도(理到)'의 서술어에 해당하는 '도(到)' 자체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이를 '진(盡)'으로 대체하여 이도설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려 한 갈암과는 그 양상이 사뭇 다르다. 우담은 보다 본체론적인 측면에서 해석을 시도한 것이다. 우담의 견해는 퇴계가 구축한 '리' 중심의 성리학 체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하나의 유용한 틀이 될 수 있다. 이는 우담의 리체용론이 퇴계학파의 사상 형성과 그 양상을 확인하는 데 중요한 이론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