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o-dam(愚潭) and Nok-mun(鹿門)'s understanding about the ground of universality in the pure goodness and its bases on the realizat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Yul-gok(栗谷)'s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Ch'i

선(善)의 보편성(普遍性)과 실현근거 관한 우담(愚潭)과 녹문(鹿門)의 이해 - 리통기국(理通氣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 Son, Heung-chul (Dept. of Korean Linguistics & Culture in the Interntional University of Korea)
  • 손흥철 (한국국제대 한국어문학과)
  • Received : 2010.01.24
  • Accepted : 2010.03.13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ere exists variou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ith various thoughts in human beings. Therefore, it causes very complicated conflict by these diversity. It would be impossible if there would not be solved in classes, areas, schools, cultures whether it is simple or complicated. The proposition which totally shows these logic are Cheng-Yi(程頤, 1033-1107)'s principle is one but its manifestations are many(理一分殊) and Yul-gok(栗谷, 1536-1584)'s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Ch'i. The main concern is how to realize concretly the pure goodness in theory of principal and vital force. There are opinion which Li shows it's pure goodness initiatively and it only has to be shown through Ch'i. Toi-gyeo(退溪, 1501-1570)and Woo-dam(愚潭, 1625-1707) thought the subjectivity lies on Li which shows itself even though Li can't shows itself. On the while, Yul-gok thought it realize through Ch'i, and Li has the superintendence which Li shows itself through Ch'i. Regardless with above, Nok-mun(鹿門, 1711-1788) had the point of view which pure goodness come to realize by the coincidence of Li and Ch'i, on the same time, it didn't matter whether the subjectivity lay on Li or Ch'i, Li showed by nature while Ch'i did by vital energy controlled and worked together. While Yul-gok established his theoretical ground of universality in the best pure good and its bases on the realization, Woo-dam put an emphasis on the practice and realization of goodness to endow with its positive meaning. On the contrary of it, Nok-mun emphasised vital enerty, that is, enabled to realize goodness which premised Li and Ch'i are reciprocally related to other in non-segregated condition(理氣不相離). Still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how the rightness can be concreately explained which human have to practice its pure goodness. It is not restricted on the Sung Confucianism, it is the material question in philosophy.

인간에게는 다양한 이해(利害)관계가 존재하고 다양한 사유가 존재한다. 이러한 다양성으로 인하여 세상에는 매우 복잡한 갈등관계가 형성된다. 계층·지역·학제·문화 등에서 단순 내지 복합적으로 형성되는 갈등관계는 그것이 해결가능성이 없다고 하면, 인간의 보편적 가치나 그 가치의 실현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논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명제가 정이(程頤, 1033-1107)의 리일분수(理一分殊)와 율곡(栗谷, 1536-1584)의 리통기국(理通氣局)이다. 성리학의 리기론에서 리는 순선(純善)인데 어떻게 이 순선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느냐가 문제이다. 리 스스로 자신의 순선을 드러낸다는 주장이 있고, 기를 통하여 드러낼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 있다. 퇴계(退溪, 1501-1570)나 우담(愚潭, 1625-1707)은 리 스스로가 자신을 드러내지는 못할지라도 적어도 자신을 드러내는 주동성은 리에 있다고 보며, 율곡은 어디까지나 기를 통하여 드러나며, 리는 기를 통하여 드러나도록 하는 주재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녹문(鹿門, 1711-1788)은 순선은 리와 기의 합일로서 실현된다고 보며, 이때 주동성이 리에 있는가 기에 있는가는 문제가 아니라, 공동주재로 리는 자연으로 기는 생의(生意)로 드러난다고 주장한다. 율곡이 선의 보편성과 그 실현근거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정립하였다면, 우담은 선의 실천과 실현에 좀 더 적극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리의 주재성과 주동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반면에 녹문은 리기불상리의 전제하에서 리의 선(善)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기의 담일성과 능동성 즉 생의(生意)를 강조, 리의 자연성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인간이 선을 실천하지 않으면 안 되는 당위성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인가? 이것이 문제다. 이것은 성리학 뿐만 아니라, 철학의 본래 문제이기도 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