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Elements at the Management of Udam Chae Deug-gi's Gyeongcheondae(擎天臺)  

Lee, Yoo-Jin (Environmental Planning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Kim, Soo-Jin (Environmental Planning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Sim, Woo-Kyung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Korea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28, no.4, 2010 , pp. 127-14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made on the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elements which is shown at nature management around Gyeongcheondae managed by Udam Chae Deug-gi, scholar in Joseon dynasty. Naming the nature management and natural features not only reflected on the formation toward the view of nature by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s, but influenced on the fashion of garden culture. Udam Chae Deug-gi dwelt in the riverside of Sangju, Kyungbuk as the characteristics of hermitage and managed landscape and had a willing to live a life free from worldly cares. The Gyeongchundae 28 landscapes, which was managed by himself, represent that natural features are named on the basis of neo-confucian principle and loyalty and he imposed symbolic meaning on landscape management by practically translating his aesthetic consciousness to reality; the name of detailed landscape is largely 'loyalty to Ming dynasty and to king's order and loyalty', 'Taoism' and 'Management will of landscape' by the life of metaphor and enjoyment, and symbolizes 'Searching for learning'. In addition, by selecting 10 out of 28 landscapes around Gyeongcheondae, lyrically describing the landscape by representing the change of time, season and the climate which is the scenic term of Great 8 Sosang views in fashion at that time focusing on the place he strolled or enjoyed watching himself; it can be seen that such moves are related with the landscape management in fashion in order to understand microcosmic providence with the change of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Udam Chaedeug-gi is regarded as the neo-confucian view of nature for which any value scholars in Joseon dynasty have to own - 'loyalty' and 'integrity' - he usually emphasized himself to name the natural features and overcome the darkness of society comparing the landscape management around Gyeongchundae he lived a life free from worldly cares to the situation of Joseon dynasty when a transition times between Ming and Chung comes from China.
Keywords
Cultural Landscape; Natural Landscape; Hermit Culture; Ideal World; Gyeongcheonda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정동오(1982). 정약용의 원림생활연구: 정다산 전서를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1(2):123-136.
2 정동오(1987). 윤선도의 부용동원림에 관한 연구. 고산연구. 1: 269-294.
3 채득기(1979). 우담선생문집. 우담선생유적보존회.
4 최기수(1989). 曲과 景에 나타난 韓國傳統景觀 構造의 解釋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최은창, 홍광표(1994). 보길도 부용동 세연정정원의 공간구성 원리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2(1): 135-148.
6 허균(2001). 전통미술의 소재와 싱징. 서울: 교보문고.
7 허균(2003). 뜻으로 풀어본 우리의 옛 그림. 서울: 대한교과서.
8 홍재휴(1959). 우담 채득기와 봉산곡 연구: 병자호란을 배경한 가사의 신자료. 어문학. 5: 7-43.
9 황기원(2006). 경관으로 본 울산 반구대 암각화 유적. 울산 반구대 문화유적보존 관련 학술대회 발표문. 미술사학연구. 252: 353-368.
10 황위주(2008). 낙동강 연안의 유람과 창작 공간. 한문학보. 18: 1281-1310.
11 심우경(2007). 古墳壁畵에 表現된 理想鄕이 庭苑文化에 미친 影響.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11-24.
12 이상희(1999).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권. 서울: 넥서스.
13 이석해(2004). 최치원 관련 유적의 문화경관 특성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재근(1992).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재근(2004). 명승지정 평가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상주 경천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산업기술 연구. 16: 1-10.
16 이행렬(2006). 한산팔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3): 23-38.
17 임병학(2007). 선진유학에 나타난 하도낙서. 국학연구. 11: 253-281.
18 임영주(2004). 한국의 전통문양. 서울: 대원사.
19 유주희(2007). 그림으로 본 조선시대 바둑문화. 한국바둑학회지. 1: 21-42.
20 정동오(1973). 양산보의 소쇄원에 대하여. 한국조경학회지. 1 (2):27-33.
21 김태수(2009). 조선시대 선비의 은거문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노재현, 박율진, 김형율(2008). 배산 연주정 12경의 경관상과 표현미학적 특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1): 9-19.
23 노재현(2009). 중국 무이구곡의 장소미학과 하천형태학적 특성: 국내 구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1-11.
24 노재현(2010). 통도팔경의 경관상징성과 서사구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1): 27-37.
25 네이버 국어사전(http://krdic.naver.com).
26 네이버 백과사전(http://100.naver.com).
27 네이버 항공지도(www.naver.com).
28 馬華, 陳正宏,(1997). 중국은사문화. 서울: 동문선.
29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30 손오규(2006). 산수미학탐구. 제주: 제주대학교 출판부.
31 심우경(2003). 소쇄원에 내재된 상징성. 한국정원학회 소쇄처사 양산보 탄신 50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초록집. pp.77-88.
32 구미래(2002). 한국인의 상징세계. 서울: 교보문고.
33 권태을(2008a). 자천동 산수록고. 상주문화. 18: 207-238.
34 권태을(2008b). 우담 채득기의 군신언지록고. 상주대학교 상주문화연구. 18: 115-145.
35 경천대 인터넷 홈페이지(http://gyeongcheondae.sangju.go.kr).
36 김기탁(1991). 우담 채득기의 누정시가 연구. 상주대학교 상주문화연구. 1: 151-209.
37 김덕현(2000). '삶의 질'을 위한 경관 독해 - "자연미"와 "장소성"에 대한 문화지리학적 시론. 대한지리학회지. 35(2): 23-37.
38 김성균(1993). 하회마을의 문화 경관. 문화역사지리. 5: 91-94.
39 김수진, 김태수, 심우경(2008a). 이태(1483-1536)의 월연정 별서 경영과 이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18-30.
40 김수진, 김태수, 심우경(2007). 서계 박세당의 석천동 경영과 이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1-12.
41 김수진, 김태수, 심우경(2008b). 한강 정구(1543-1620)의 무흘구곡 경영과 이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59-73.
42 강경모 인터뷰(2010. 10).
43 강구율(2004). 우담 채득기의 생애와 시세계 연구. 대동한문학회지. 20: 5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