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Elements at the Management of Udam Chae Deug-gi's Gyeongcheondae(擎天臺)

우담 채득기의 경천대 경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요소의 해석

  • Lee, Yoo-Jin (Environmental Planning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Kim, Soo-Jin (Environmental Planning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Sim, Woo-Kyung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Korea University)
  • 이유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 ;
  • 김수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 ;
  • 심우경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Received : 2010.11.16
  • Accepted : 2010.12.15
  • Published : 2010.12.01

Abstract

This research was made on the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elements which is shown at nature management around Gyeongcheondae managed by Udam Chae Deug-gi, scholar in Joseon dynasty. Naming the nature management and natural features not only reflected on the formation toward the view of nature by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s, but influenced on the fashion of garden culture. Udam Chae Deug-gi dwelt in the riverside of Sangju, Kyungbuk as the characteristics of hermitage and managed landscape and had a willing to live a life free from worldly cares. The Gyeongchundae 28 landscapes, which was managed by himself, represent that natural features are named on the basis of neo-confucian principle and loyalty and he imposed symbolic meaning on landscape management by practically translating his aesthetic consciousness to reality; the name of detailed landscape is largely 'loyalty to Ming dynasty and to king's order and loyalty', 'Taoism' and 'Management will of landscape' by the life of metaphor and enjoyment, and symbolizes 'Searching for learning'. In addition, by selecting 10 out of 28 landscapes around Gyeongcheondae, lyrically describing the landscape by representing the change of time, season and the climate which is the scenic term of Great 8 Sosang views in fashion at that time focusing on the place he strolled or enjoyed watching himself; it can be seen that such moves are related with the landscape management in fashion in order to understand microcosmic providence with the change of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Udam Chaedeug-gi is regarded as the neo-confucian view of nature for which any value scholars in Joseon dynasty have to own - 'loyalty' and 'integrity' - he usually emphasized himself to name the natural features and overcome the darkness of society comparing the landscape management around Gyeongchundae he lived a life free from worldly cares to the situation of Joseon dynasty when a transition times between Ming and Chung comes from China.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선비인 우담 채득기가 경영한 경천대 일원의 산수경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요소의 해석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산수경영과 자연경물에 대한 명칭부여는 동시대 지식인들의 자연관 형성에 투영되었을 뿐 아니라 정원문화의 유행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우담 채득기는 경북 상주의 낙동강변에서 은거하며 산수를 경영하고, 유유자적하는 삶을 살고자 하였는데, 그가 경영한 경천대 28경은 성리학적 절의와 충절의식에 입각하여 자연경물에 이름을 붙이고 자신의 미의식을 현실화하는 등 산수경영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세부적인 경관의 명칭으로는 크게 '대명의리와 충절', '신선사상' 그리고 풍유와 소요자적 삶에 따른 '산수경영의지', 마지막으로 '학문탐구' 등을 상징하였다. 또한, 경천대 일원의 28경처 중 특별히 10가지의 경관을 선택하여 자신이 실제 소요하거나 유희했던 장소를 중심으로 소상팔경의 경관어휘인 시간과 계절 그리고 기상의 변화를 서정적으로 노래하고 있는데, 이는 자연환경의 변화를 통한 소우주의 섭리를 이해하고자 한 당시의 산수경영의 유행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담 채득기는 자신이 은거한 경천대 일원의 산수경영을 명 청 교체기라는 조선의 상황을 비유하여, 자연의 경물에 이름을 붙이고, 또 암울한 사회를 극복하고자 노력한 것은, 그가 평소 강조한 의리와 절개라는 조선선비들이 가져야 할 덕목을 가치 있게 내세운 성리학적 자연관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구율(2004). 우담 채득기의 생애와 시세계 연구. 대동한문학회지. 20: 57-75.
  2. 강경모 인터뷰(2010. 10).
  3. 구미래(2002). 한국인의 상징세계. 서울: 교보문고.
  4. 권태을(2008a). 자천동 산수록고. 상주문화. 18: 207-238.
  5. 권태을(2008b). 우담 채득기의 군신언지록고. 상주대학교 상주문화연구. 18: 115-145.
  6. 경천대 인터넷 홈페이지(http://gyeongcheondae.sangju.go.kr).
  7. 김기탁(1991). 우담 채득기의 누정시가 연구. 상주대학교 상주문화연구. 1: 151-209.
  8. 김덕현(2000). '삶의 질'을 위한 경관 독해 - "자연미"와 "장소성"에 대한 문화지리학적 시론. 대한지리학회지. 35(2): 23-37.
  9. 김성균(1993). 하회마을의 문화 경관. 문화역사지리. 5: 91-94.
  10. 김수진, 김태수, 심우경(2007). 서계 박세당의 석천동 경영과 이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1-12.
  11. 김수진, 김태수, 심우경(2008a). 이태(1483-1536)의 월연정 별서 경영과 이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18-30.
  12. 김수진, 김태수, 심우경(2008b). 한강 정구(1543-1620)의 무흘구곡 경영과 이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59-73.
  13. 김태수(2009). 조선시대 선비의 은거문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노재현, 박율진, 김형율(2008). 배산 연주정 12경의 경관상과 표현미학적 특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1): 9-19.
  15. 노재현(2009). 중국 무이구곡의 장소미학과 하천형태학적 특성: 국내 구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1-11.
  16. 노재현(2010). 통도팔경의 경관상징성과 서사구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1): 27-37.
  17. 네이버 국어사전(http://krdic.naver.com).
  18. 네이버 백과사전(http://100.naver.com).
  19. 네이버 항공지도(www.naver.com).
  20. 馬華, 陳正宏,(1997). 중국은사문화. 서울: 동문선.
  21.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22. 손오규(2006). 산수미학탐구. 제주: 제주대학교 출판부.
  23. 심우경(2003). 소쇄원에 내재된 상징성. 한국정원학회 소쇄처사 양산보 탄신 50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초록집. pp.77-88.
  24. 심우경(2007). 古墳壁畵에 表現된 理想鄕이 庭苑文化에 미친 影響.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11-24.
  25. 이상희(1999).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권. 서울: 넥서스.
  26. 이석해(2004). 최치원 관련 유적의 문화경관 특성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재근(1992).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재근(2004). 명승지정 평가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상주 경천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산업기술 연구. 16: 1-10.
  29. 이행렬(2006). 한산팔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3): 23-38.
  30. 임병학(2007). 선진유학에 나타난 하도낙서. 국학연구. 11: 253-281.
  31. 임영주(2004). 한국의 전통문양. 서울: 대원사.
  32. 유주희(2007). 그림으로 본 조선시대 바둑문화. 한국바둑학회지. 1: 21-42.
  33. 정동오(1973). 양산보의 소쇄원에 대하여. 한국조경학회지. 1 (2):27-33.
  34. 정동오(1982). 정약용의 원림생활연구: 정다산 전서를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1(2):123-136.
  35. 정동오(1987). 윤선도의 부용동원림에 관한 연구. 고산연구. 1: 269-294.
  36. 채득기(1979). 우담선생문집. 우담선생유적보존회.
  37. 최기수(1989). 曲과 景에 나타난 韓國傳統景觀 構造의 解釋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최은창, 홍광표(1994). 보길도 부용동 세연정정원의 공간구성 원리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2(1): 135-148.
  39. 허균(2001). 전통미술의 소재와 싱징. 서울: 교보문고.
  40. 허균(2003). 뜻으로 풀어본 우리의 옛 그림. 서울: 대한교과서.
  41. 홍재휴(1959). 우담 채득기와 봉산곡 연구: 병자호란을 배경한 가사의 신자료. 어문학. 5: 7-43.
  42. 황기원(2006). 경관으로 본 울산 반구대 암각화 유적. 울산 반구대 문화유적보존 관련 학술대회 발표문. 미술사학연구. 252: 353-368.
  43. 황위주(2008). 낙동강 연안의 유람과 창작 공간. 한문학보. 18: 1281-1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