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 mathematics

검색결과 27,585건 처리시간 0.04초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교수효능감 변화 (A Change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eaching Practice Course)

  • 홍주연;한인기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55-17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change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eaching practice course. For this purpose we collect data through questionnaire from 61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o make a questionnaire we rearrange Ryang's MTES items.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fill out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e course. The data are analyzed by paired t-test using SPSS23. The result of paired t-test show that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scores and post-test scores is significant statistically. So we can conclude that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s changed and improved after teaching practice course.

수학교육 현상의 융합적 구조에 대한 소론 (The study of Complex structure in phenomenon of Mathematics Education)

  • 유충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0권4호
    • /
    • pp.439-449
    • /
    • 2014
  •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education, different opinions as to how to view the phenomenon of mathematics education have been suggested in various ways. As those conflicting opinions have caused fundamental tensions in the phenomenon of mathematics education, they remain fundamental standpoints that have been continuously advocated until now - not limited in a certain period. It can be argued that this situation was caused by partial or fragmentary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of mathematics education. If we are pursuing not a partial knowledge but a complete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education, how should it be formed to comprehensively study the entire phenomenon of mathematics education? To answer this question, Complex structure in phenomenon of Mathematics Education can be proposed. It is an explanation for the opposing opinions existing in the phenomenon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mathematics education as a whole.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포트폴리오 활용 (Using portfolio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2호
    • /
    • pp.175-19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using portfolio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actual application case. To achieve this goal, 28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developed their own portfolios in the regular study course for one semester under the pre-planned components of portfolio. Then they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their beliefs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and in the structured interview for drawing implications of using a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portfolio. According to the collected data, developing a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portfolio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liefs of mathematics teachers' roles and showed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s well as their learning. Continued investigation for more effective components of a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portfolio would be needed.

Examining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Noticing of Multicultural Contents in Mathematics Textbooks

  • Hwan, Sunghwan;Cho, Eunhye;Albert, Lillie R.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93-11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explored how 10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noticed multicultural content in a mathematics textbook. Building upon noticing framework (Jacobs, Lamb, & Philipp, 2010), we first examined teachers' attention toward multicultural content in a mathematics textbook. Then, we examined teachers'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 We employed a content analysis approach to examin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st mathematics teachers held a content integration perspective. Their view wa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referred to learning about the diverse cultures of different countries. Moreover, although they noticed some multicultural content in the textbook, they wanted to discuss them in superficially descriptive ways and avoid talking about social justice issues. Additionally, some teachers believed that mathematics is a culture-free subject. They argued that multicultural content should not be presented in mathematics textbooks. We also discussed uncommon themes, which were reported by only a few mathematics teachers.

학교에서의 이산수학과 그 역할에 관한 연구

  • 한길준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5-62
    • /
    • 2003
  • The goals of a major reform effort are to enable us to educate informed citizens who are better able to function in our increasingly technological society. Discrete mathematics is an exciting and appropriate vehicle for working toward and achieving these goals. it is an excellent tool for improving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Discrete mathematics has many practical applications that are useful for solving some of the problems of our society and that are meaningful to our students. Its problems make mathematics come alive for students, and help them see the relevance of mathematics th the real word. To build up the role of Discrete mathematics in the school,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theories and curricula related to discrete mathematics, and to collect a great deal of valuable material that will help teachers introduce discrete mathematics in their classrooms. In conclusion. mathematics teachers will find the need and importance of why and how discrete mathematics can be introduced into their curricula by this study.

  • PDF

제7차 교육과정의 이산수학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Discrete Mathematics i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1호
    • /
    • pp.77-101
    • /
    • 2005
  • NCTM에서 9-12학년 교육과정의 규준으로 설정한 바 있는 이산수학은 우리나라 f1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과목 선택형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과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산수학의 교수-학습방법을 논의의 대상으로 하여 학교수학에서 이산수학 학습의 중요성에 관한 최근의 논의들을 종합, 정리하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이산수학 지도내용과 교수-학습방법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산수학의 교수-학습에 관한 국내$\cdot$외 선행연구들의 수업 실행 사례들로부터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학교현장의 수학교사들이 이산수학의 지도를 위해 고려해야 할 교수학적 지침을 네 가지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제안 사항을 수업구성의 아이디어를 담고 있는 교육적 자료와 함께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 PDF

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mathematics narrative's influences on affects about mathematics of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 이기돈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1-41
    • /
    • 2016
  • 교육부는 실생활 또는 판타지 맥락의 이야기를 활용하여 수학적 지식의 구성 동기를 제공하고 흥미를 유발하려는 스토리텔링을 주창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수학은 실생활이나 판타지 맥락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기 어려운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런 경우 수학적 사실들이 어떤 점에서 흥미로운지를 수학 내러티브로 구성하여 교수학습 하는 것이 긍정적 수학 정서 형성을 위한 한 가지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한 일반고에서 치러진 4회의 정기고사 문항들을 소재로 개발한 4건의 수학 내러티브를 정기고사가 끝날 때마다 한 건씩 그 시험을 치른 한 명 내지 5명의 학생들과 논의한 사례를 분석하여 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서에 미치는 영향과 그 개선 방향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4건의 수학 내러티브에 대한 논의에 꾸준히 참여한 한 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서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학생의 변화와 다른 4명의 학생들의 반응으로부터 수학 내러티브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ISA수학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한국 학생들의 성차 추이의 배경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Gender Differences Changes of Korean students in PISA Mathematics Assessment)

  • 이은정;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4호
    • /
    • pp.313-32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PISA수학성취도 자료와 국내외 성차 관련 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차 추이와 그에 대한 배경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2000년과 2003년 PISA수학성취도 평가에서 유의미하게 큰 성차를 보인 반면 2006년부터 성차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성차의 급격한 감소 현상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국내외 성차 관련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여성의 이공계 진출을 유도하는 국가차원의 정책적 지원과 같은 사회문화적 변화와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교과서의 변화 등과 같은 요인들이 여학생의 수학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의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 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141-16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의 국내외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수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정의에 대한 국외의 연구는 1960년대 말부터 Freire의 비판적 수학교육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고, 국내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비판교육을 시작으로 최근에는 현장 교사들을 중심으로 자신들의 수학수업에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을 적용하는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현재의 우리나라 입시 등 교육 체제에서 적용이 쉽지 않음을 지적하면서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이 우리의 수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은 전통적인 수학 수업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인문학적 관점에서 통합과 융합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하며, 교사나 학생들에게 수학과 세상을 보는 관점을 보다 넓고 깊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영국의 수학교육에 대한 고찰: 고등학교 수학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UK Focusing on high school math education)

  • 강현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75-194
    • /
    • 2022
  • 본 연구는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앞두고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영국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국은 2017년 이후 16세 이후 수학을 강조하고 평가를 개정하였다. 이에 따라 영국의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에 해당되는 Key stage 4, Core Maths, A-level의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고등학교 공동과목, 일반선택과목, <기하> 과목과 비교하였다. 영국에서는 고등학교 단계에서 수학교육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에서 '수리력과 수학'을 강조하고 학생들의 수학 선택권을 확대하고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하여 새로운 수학 교과목 및 평가를 함께 개발하여 시행하고, 기존의 A-level 수학 평가를 개선하였다. 또한 주제 중심의 내용을 Key Stage 3부터 고등학교 단계에서도 발전적이고 지속적으로 다루고 다른 영역의 주제와 연결하여 다룸으로써 수학의 내적 외적 연결성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