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0,+}AT$

검색결과 14,037건 처리시간 0.052초

주위 지형조건이 소음도 크기에 미치는 영향

  • 이덕수;최희철;강희설;송준익;권두중;유용희;김형호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36-137
    • /
    • 2002
  • 지형의 고저별 및 평지에서의 거리에 따른 소음도 크기변화 조사에서 급경사(상 $\longrightarrow$ 하)시 소음도는 발생지점에서 102dB, 고도 5m 하부지점에서 70.1dB, 10m 지점 62.1dB, $R^2$= 0.9533 였고 급경사(하 $\longrightarrow$ 상)시 소음도는 고도 5m 상부지점에서 74.6dB, 10m 지점 71.8dB, $R^2$= 0.8519였으며 평지에서는 발생지점에서 102dB, 10m 지점 76.2dB, 20m 지점 65.9dB, 50m 지점 55.3dB, $R^2$ = 0.9854로 거리에 따라 소음 감쇠현상이 컸으며 특히 10m 이내 지점에서의 감쇠폭이 컸다.

  • PDF

High-Resolution Numerical Simulation of Respiration-Induced Dynamic B0 Shift in the Head in High-Field MRI

  • Lee, So-Hee;Barg, Ji-Seong;Yeo, Seok-Jin;Lee, Seung-Kyu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3권1호
    • /
    • pp.38-45
    • /
    • 2019
  • Purpose: To demonstrate the high-resolution numerical simulation of the respiration-induced dynamic $B_0$ shift in the head using generalized susceptibility voxel convolution (gSVC). Materials and Methods: Previous dynamic $B_0$ simulation research has been limited to low-resolution numerical models due to the large computational demands of conventional Fourier-based $B_0$ calculation methods. Here, we show that a recently-proposed gSVC method can simulate dynamic $B_0$ maps from a realistic breathing human body model with high spatiotemporal resolution in a time-efficient manner. For a human body model, we used the Extended Cardiac And Torso (XCAT) phantom originally developed for computed tomography. The spatial resolution (voxel size) was kept isotropic and varied from 1 to 10 mm. We calculated $B_0$ maps in the brain of the model at 10 equally spaced points in a respiration cycle and analyzed the spatial gradients of each of them.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measurements in the literature. Results: The simulation predicted a maximum temporal variation of the $B_0$ shift in the brain of about 7 Hz at 7T. The magnitudes of the respiration-induced $B_0$ gradient in the x (right/left), y (anterior/posterior), and z (head/feet) directions determined by volumetric linear fitting, were < 0.01 Hz/cm, 0.18 Hz/cm, and 0.26 Hz/cm, respectively. These compared favorably with previous reports. We found that simulation voxel sizes greater than 5 mm can produce unreliable results. Conclusion: We have presented an efficient simulation framework for respiration-induced $B_0$ variation in the head. The method can be used to predict $B_0$ shifts with high spatiotemporal resolution under different breathing conditions and aid in the design of dynamic $B_0$ compensation strategies.

고주파에서 높은 신호 격리도를 갖는 접촉식 RF MEMS 스위치의 설계 (Design of Ohmic Contact RF MEMS Silicon Switch with High Isolation at High Frequencies)

  • 이용석;장윤호;김정무;김용권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509_1510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simulation results of ohmic contact RF MEMS silicon switch with a high isolation at high frequencies along with the position of a contact part, initial off-state and intermediate off-state including the state where a contact part is placed right over a signal line of coplanar waveguide (CPW). The ohmic contact part is connected with comb drives made of high resistivity single crystalline silicon. The released contact part is $30{\mu}m$ apart from the edge of signal line on the glass substrate along the lateral direction (x-direction) at initial off-state. The electrostatic force of the comb electrode creates the x-directional movement thus initial state is converted to the intermediate off-state. The initial off-state of the switch results in isolations of -31 dB, -24 dB and reflections of -0.45 dB, -0.67 dB at 50 GHz and 110 GHz, respectively. It shows the isolation degradation when the contact part moves right over the signal line of CPW like an initial off-state of a conventional MEMS switch. The isolations and reflections are -31 dB, -24 dB and -0.50 dB, -1.31 dB at 50 GHz and 110 GHz, respectively at the intermediate off-state.

  • PDF

청주지역 환경소음도 조사 및 분석 (Assessment and Analysis of Noise Pollution in Cheongju Area)

  • 연익준;주소영;김광렬
    • 환경위생공학
    • /
    • 제16권1호
    • /
    • pp.18-26
    • /
    • 2001
  • The increase of economic growth has brought out the noise pollutions in city regions. To evaluate these problem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assessment and analysis of noise pollutions at Cheongju area in winter and summer seasons. The noise levels were measured and analyzed at the general areas the 4 roadside areas (park,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area). As a result, following facts have been found. The equivalent sound levels(Leq) at general are in winter were 51.3∼78.2 dB(A) at the daytime and 41.1∼63.1 dB(A) at the nighttime And in summer there were 53.5∼77.3 dB(A) at the daytime and 41.9∼64.0 dB(A) at the nighttime,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higher than average value of Korea. At the roadside area, the values of Leq were 51.9∼72.8 dB(A) at the daytime, 44.3∼68.2 dB(a) at the nighttime in winter, and in summer there were 62.5∼73.1 dB(A) at the daytime and 50.4∼68.3 dB(A) at the nighttime,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lower than average value of Korea. The calculated traffic noise index(TNI) were 64.6∼93.6 at the daytime and 26.5∼106.6 at the nighttime in winter, In summer, there were 65.0∼90.7 at the daytime, and 32.3∼91.8 at the nighttime. The TNI values varied wide ranges at the nighttime according to traffic volumes.

  • PDF

양식장에서 사육하는 메기 (Silurus asotus)의 산소소비 및 암모니아 배설에 미치는 소음진동 영향 (Effects of Noise and Vibration on Oxygen Consumption and Ammonia Excretion in Cultured Catfish (Silurus asotus))

  • 허준욱;이정열;주진철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5권2호
    • /
    • pp.105-109
    • /
    • 2018
  • 진동 스트레스에 따른 양식 메기 (Silurus asotus)의 산소소비량 및 암모니아 배설량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메기의 평균전장은 $22.9{\pm}0.9cm$ (${\pm}SD$, n = 30), 평균체중은 $100.7{\pm}11.7g$ (${\pm}SD$, n = 30) 이었다. 진동 자극은 특수 제작한 진동기를 이용하여 48, 58 및 68 dB (V)이었으며, 이때의 소음은 $77.6{\pm}1.8dB$ (A) 크기를 주었다. 진동은 타임머를 이용하여 주간(08:00-18:00)에 15분 간격으로 11일간 계속하여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메기의 산소소비량 변화는 58 dB (V) 그룹에서 진동 후 1, 5, 9 및 11일째에 각각 21.8, 30.2, 36.0 및 53.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8 dB (V) 그룹에서는 1, 7, 및 11일째에 각각 22.7, 35.1 및 57.7% 감소하였다. 48, 58 및 68 dB 그룹에서 진동 자극 경과일수(D)에 따른 식은 각각 직선식으로 OC=0.374D + 90.762 ($r^2=0.048$), OC = -3.581D + 89.520 ($r^2=0.831$) 및 OC = -4.109D + 90.907 ($r^2=0.884$)이었다. 암모니아 배설량은 48, 58 및 68 dB (V) 그룹에서 진동후 1일째에 각각 34.8, 51.8 및 63.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8 및 58 dB (V) 그룹은 진동 3일째부터 11일째까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68 dB (V) 그룹은 1, 3, 5, 7, 9 및 11일째에 진동전(0일째)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동 48 dB, 58 dB 및 68 dB에서의 진동 경과 일수에 대한 암모니아배설량 감소율은 직선식으로 각각 AE=-1.646D + 115.915 ($r^2=0.265$), AE = -8.230D + 122.132 ($r^2=0.750$) 및 AE = -7.086D + 123.690 ($r^2=0.614$)로 나타났다.

FeCoB계 아몰퍼스 자성박막의 인덕턴스의 주파수 의존성 (Frequency Dependance of Inductance of FeCoB Amorphous Magnetic Films)

  • 신용진;소대화;김현욱;서강수;임재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413-417
    • /
    • 1998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frequency dependance of inductance of FeCoB amorphous magnetic films. $(Fe_{1-x}Co_x)_{79}Si_2B_{19}$ was used as the basic composition of amorphous magnetic film having near zero magnetostriction. The amorphous magnetic films were fabricated with x=0.94 and x=0.95 by using sputtering method at high frequency. The films were anneald under non-magnetic field and near crystallization temperatures(30min at $280^{\circ}C$, 30min and 1hr at $400^{\circ}C$, respectively).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with the fabricated films, the lowest coercive force was 0.084[Oe] at 400[W] of the input power and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360^{\circ}C$ . In the case 30min at 40$0^{\circ}C$ the inductance value in the low frequency with x=0.95 was higher by 488% than that with x=0.94. The quality factor Q was below 0.7 for all samples. We obtained the highest quality value at 400[KHz] with 30min at $280^{\circ}C$ and x=0.94. The value was about 0.62. Also, the quality factor value was about 0.35 at 1[MHz] with 30min at $280^{\circ}C$ and x=0.95.

  • PDF

해양 규조류 Cyclotella meneghiniana의 성장단계에 따른 비타민(B1, B7, B12) 및 특이적 미생물의 변동 (Changes in Vitamins (BB1, B7, B12) and Specific Bacteria on the Growth Stages of Marine Diatom Cyclotella meneghiniana)

  • 최원지;기장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203-211
    • /
    • 2019
  • Diatom growth is affected by associated bacteria that probably provide useful substances like vitamins.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sed the variation of vitamins $B_1$, $B_7$ and $B_{12}$ on the growth stages of the marine diatom Cyclotella meneghiniana and assessed putative vitamin-producing bacteria (e.g., ${\alpha}$- and ${\gamma}$-proteobacteria). HPLC analysis showed that total amounts of vitamins $B_1$ and $B_{12}$ decreased with cell growth, whereas vitamin $B_7$ increased gradually on the growth stages. $B_1$ and $B_{12}$ measured 0.5% and 0.18% at the stationary phase, following 0.25% and 0.72% at the lag phase. They considerably increased to 0.75% and 0.77% at the death stage. 16S pyrosequencing showed relatively high ratios of ${\alpha}$- and ${\gamma}$-proteobacteria in all the growth stages of the C. meneghiniana. In addition, we detected previously-reported vitamin-producing bacteria, such as Marinobacter, in high numbers. The species was dorminant in the lag (relative abundance 72%) and exponetial (72%) stages, whareas it decreased in the stationary (49%) and death (48%) stag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tamins $B_1$ or $B_{12}$ may be necesaary for diatom growth and that associated bacteria, including Marinobacter, may produce these substances for the cell growth of C. meneghiniana.

산란 전용 토종 실용계 생산을 위한 2원교배 종계의 산란 능력 검정 (Performance of Laying Period of Two-way Crossbreed Parent Stock to Produce Laying-type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s)

  • 김종대;추효준;강보석;김학규;허강녕;이명지;손보람;서옥석;최희철;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5-252
    • /
    • 2012
  • 본 시험은 토종 실용 산란계 생산을 위한 2원교배종 종계의 산란기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품종 복원 및 토착화한 토종 순종계의 2원교배종 암컷 480수를 이용하였다. 시험설계는 발생된 4교배종 병아리를 각각 A) C계통${\times}$Y계통, B) C계통${\times}$L계통, C) C계통${\times}$ G계통, D) C계통${\times}$W계통으로 하여 총 4처리구로 하고, 교배종에 따라 각각 4반복, 반복당 30수씩 총 480수를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초산일령은 네 교배종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초산난중과 초산시의 체중은 B계통이 가장 높았다(P<0.05). 20~72주령의 평균 체중은 B교배종이 가장 높았고, C와 D교배종은 A와 B교배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평균 사료 섭취량은 B교배종이 가장 높았으며, A교배종이 C와 D교배종에 비해 높았다(P<0.05). 주령별로 보았을 때 50주령 이후부터는 4교배종 모두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주령에 따른 평균 난중은 50주령 이후에 B교배종의 평균 난중이 가장 높고, D교배종이 가장 낮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대체로 A와 B교배종이 C와 D교배종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P<0.05). 26주령의 산란지수는 C교배종이 가장 높은 편이고 B교배종이 가장 낮았으나(P<0.05), 26주령 이후부터는 교배종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산란율은 38주령 이후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교배종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68~72주령은 각각 61.0, 51.8, 55.6 및 55.0%로 A교배종이 B교배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수정율은 A, B, C 및 D교배종이 각각 89.8, 91.2, 92.4 및 92.8%였다. 부화율은 각 교배종이 69.8, 70.7, 75.5 및 77.4%로 C와 D교배종의 A와 B교배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6~72주령까지 각 구간별로 성적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시기별로 사료를 교체하면서 산란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라 사료된다. 본 시험의 결과는 산란용 토종 실용계를 생산하기 위한 2원교배종의 산란기 성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Nd_{x}{(Fe_{0.9}Co_{0.1})}_{90-x}B_{6}Nb_{3}Cu_{1}(x=\;3,\;4,\;5)$ 초미세결정립합금의 자기특성 (Magnetic Propertes of $Nd_{x}{(Fe_{0.9}Co_{0.1})}_{90-x}B_{6}Nb_{3}Cu_{1}(x=\;3,\;4,\;5)$ Nanocrystalline Alloys)

  • 조용수;김만중;천정남;김택기;박우식;김윤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880-894
    • /
    • 1995
  • B의 함유량을 6 at% 고정하고 Nd함유량을 3~5 at%로 변화시킨 $\alpha$-Fe기 Nd-Fe-B 합금의 자기특성이 조사 되었다. 급속응고법으로 제조된 $Nd_{x}{(Fe_{0.9}Co_{0.1})}_{90-x}B_{6}Nb_{3}Cu_{1}(x=\;3,\;4,\;5)$ 비정질합금은 열처리에 의하여 초미세결정립으로 결정화하며, Nd의 함유량에 따라 잔류자화 및 보자력이 변한다. x=3의 경우 최적열처리조건에서 $\alpha$-Fe(Co) 부피분율의 증가로 잔류자 화는 증가하나, 보자력은 감소한다. 그러나 Nd 함유량의 증가는 $Nd_{2}{(Fe,\;Co)}_{14}B$ 부피분율의 증가로 인하여 잔류자화는 감소하나 보자력은 향상된다. $640^{\circ}C$, 10 min 열처리조건에서 $Nd_{5}{(Fe_{0.9}Co_{0.1})}_{85}B_{6}Nb_{3}Cu_{1}$의 결정립크기는 약 20 nm이며, 잔류자화, 보자력 및 최대에너지적 은 각각 1.35 T, 219 kA/m (2.75 kOe) 및 $129\;kJ/m^{3}$ (16.2 MGOe)으로 가장 우수하다.

  • PDF

토종오리 대형종의 산란중기(30~50주령) 생산 능력 (Performance of Middle Laying Period of Large-Type Korean Native Ducks)

  • 허강녕;추효준;김종대;김상호;김학규;이명지;손보람;강보석;최희철;이상배;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7-222
    • /
    • 2013
  • 본 시험은 토종오리 대형종의 산란중기 성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A와 B계통의 30주령 토종오리 168수를 선별하여 이용하였다. 시험설계는 A와 B계통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계통 당 6반복, 반복 당 14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평균체중, 사료섭취량 및 평균난중은 계통 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다(P>0.05). 주령에 따른 평균체중은 주령이 경과함에 따라 낮아져서 42주령에 2,649 g으로 가장 낮았다(P<0.05). 사료섭취량은 체중과 마찬가지로 주령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42~46주령에 190.5 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평균난중은 A와 B계통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주령에 따른 평균난중은 주령이 지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나, 사료섭취량이 감소된 시점인 42~46주령에는 83.8 g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산란율은 46주령까지 A와 B계통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46~50주령에는 A와 B계통이 각각 66.3%와 80.4%로 B계통이 A계통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주령에 따른 산란율은 42주령부터 산란율이 낮아졌으며(P<0.05), 46~50주령에 A계통은 낮은 상태로 유지되었으나, B계통은 다시 산란율이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34주령과 38주령까지의 산란 수는 A계통이 각각 48.9와 71.6, B계통이 각각 55.0과 77.7로 B계통이 A계통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후의 산란 수는 A와 B계통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주령별 산란 수는 주령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사료 요구율은 46~50주령에 A와 B계통이 각각 3.20과 2.70으로 A계통이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46주령까지는 두 계통 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주령별 사료 요구율은 42주령까지 감소하다가 사료섭취량이 최저로 나타난 42~46주령에 높아졌으며, 이후로 다시 감소하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