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formance of Laying Period of Two-way Crossbreed Parent Stock to Produce Laying-type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s

산란 전용 토종 실용계 생산을 위한 2원교배 종계의 산란 능력 검정

  • Kim, Chong-Dae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Choo, Hyo-Jun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ang, Bo-Seok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im, Hak-Kyu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Heo, Kang-Nyeong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Lee, Myeong-Ji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Son, Bo-Ram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Suh, Ok-Suk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Choi, Hee-Cheol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Hong, Eui-Chul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김종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추효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강보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김학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허강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이명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손보람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서옥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최희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홍의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Received : 2012.08.06
  • Accepted : 2012.09.06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laying period of two-crossbred of Korean native chickens for producing laying hens. A total of four hundred eighty female 2-crossbred chicks that restored strains and were aboriginal at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There were four crossbreds (4 replications/crossbred, 30 birds/replication) as A) C strain ${\times}$ Y strain, B) C strain ${\times}$ L strain, C) C strain ${\times}$ G strain, and D) C strain ${\times}$ W strain,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age at first egg among crossbreds (P>0.05). Egg weight and body weight of B crossbred at first egg was higher than other crossbreds (P<0.05). Body weight of B crossbred was the highest 20 to 72 weeks (P<0.05), and C and D crossbreds were lower compared to A and B crossbreds (P<0.05). Average feed intake of B crossbred was the highest among crossbreds (P<0.05), and that of A crossbred was higher compared to C and D crossbreds (P<0.05). Weekly feed intake of four crossbreds decreased from 50 weeks. Weekly egg weight of B crossbred was the highest and that of D crossbred was the lowest among crossbreds (P<0.05). Feed conversion ratio of A and B crossbreds was lower than that of C and D crossbreds. Hen-house egg production of C crossbred was the highest among crossbreds until 26 weeks old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rossbreds from at the age of 26 weeks (P>0.05). Hen-day egg production decreased after at the age of 38 weeks. Weekly egg production of A and B crossbreds was higher compared to C and D crossbreds at the age of 68~72 weeks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e basic data on the record of laying period of 2-crossbreed Korean Native Chickens for producing laying hens.

본 시험은 토종 실용 산란계 생산을 위한 2원교배종 종계의 산란기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품종 복원 및 토착화한 토종 순종계의 2원교배종 암컷 480수를 이용하였다. 시험설계는 발생된 4교배종 병아리를 각각 A) C계통${\times}$Y계통, B) C계통${\times}$L계통, C) C계통${\times}$ G계통, D) C계통${\times}$W계통으로 하여 총 4처리구로 하고, 교배종에 따라 각각 4반복, 반복당 30수씩 총 480수를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초산일령은 네 교배종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초산난중과 초산시의 체중은 B계통이 가장 높았다(P<0.05). 20~72주령의 평균 체중은 B교배종이 가장 높았고, C와 D교배종은 A와 B교배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평균 사료 섭취량은 B교배종이 가장 높았으며, A교배종이 C와 D교배종에 비해 높았다(P<0.05). 주령별로 보았을 때 50주령 이후부터는 4교배종 모두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주령에 따른 평균 난중은 50주령 이후에 B교배종의 평균 난중이 가장 높고, D교배종이 가장 낮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대체로 A와 B교배종이 C와 D교배종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P<0.05). 26주령의 산란지수는 C교배종이 가장 높은 편이고 B교배종이 가장 낮았으나(P<0.05), 26주령 이후부터는 교배종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산란율은 38주령 이후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교배종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68~72주령은 각각 61.0, 51.8, 55.6 및 55.0%로 A교배종이 B교배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수정율은 A, B, C 및 D교배종이 각각 89.8, 91.2, 92.4 및 92.8%였다. 부화율은 각 교배종이 69.8, 70.7, 75.5 및 77.4%로 C와 D교배종의 A와 B교배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6~72주령까지 각 구간별로 성적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시기별로 사료를 교체하면서 산란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라 사료된다. 본 시험의 결과는 산란용 토종 실용계를 생산하기 위한 2원교배종의 산란기 성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bplanalp HH, Okamato, Dona Napolitano, Relph EL 1984 A syudy of heterosis and recombination loss in cross of inbred Leghorn lines derived from a common base population. Poultry Sci 53:234-239.
  2. Cheong IC, Chung SB 1985 Estimation of heterosis from strain crosses of single comb White Leghorns for certain economic traits. Korean J Anim Sci 27(3):135-142.
  3.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https://doi.org/10.2307/3001478
  4. Ohh BK, Yeo JS, Lee JK, Lee MY 1980 Study on heterosis in layer chicken. Korean J Poult Sci 7(2):28-36.
  5. Ohh BK, Yeo JS 1979 A study on crossbreeding for egg production. Korean J Anim Sci 21(4):389-393.
  6. SAS 2008 SAS/STAT Software for PC. SAS Institute, Cary, NC, USA.
  7. Sheridan AK 1981 A new explanation for egg production heterosis in crosses between White Leghorn and Australorps. Brit Poult Sci 21:85-88.
  8. 강보석 추효준 김학규 김종대 허강녕 황보종 서옥석 최희철 홍의철 2012 토종 실용계 생산용 2원 교배종 종계의 산란 능력 검정. 한국가금학회지 39(2):133-141.
  9. 강보석 홍의철 김학규 김종대 허강녕 추효준 서옥석 황보종 2011 산란형 토종닭 실용계의 생산 및 산란 능력 검정. 한국가금학회지 38(4):331-338.
  10. 강보석 정일정 이상진 김상호 오봉국 최광수 1997 한국재래 닭과 Rhode Island Red의 교잡에 의한 주요 경제형질의 잡종강세 효과 추정. II. 한국재래닭과 Rhode Island Red 교잡종의 산란 능력. 한국가금학회지 24(3):127-137.
  11. 국립종축원 1993 재래계 순수계통조성. 사업보고서:175-181.
  12. 국립축산과학원 2008 토종닭 사육 및 인증기준 설정 연구. 가금수급안정위원회.
  13. 대한양계협회 1995 II. 재래닭의 계통육성 및 일반능력검정. 재래닭 고품질 육용화 연구사업보고서. pp. 17-32.
  14. 대한양계협회 1994 VII. 부모계통(P.S) 우량교배종 선발. 재래닭 고품질 육용화 연구사업보고서. pp. 119-131.
  15. 박준영 오세정 1980 육용종계의 교배조합이 실용계의 사양과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7(1):31-42.
  16. 축산통계자료 2011 농림수산식품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7. 한국가금사양표준 2007 농림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8. 한성욱 1992 채란계의개량현황과 전망. 한국가금학회지 19(2): 7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