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formance of Middle Laying Period of Large-Type Korean Native Ducks

토종오리 대형종의 산란중기(30~50주령) 생산 능력

  • Heoa, Kang-Nyeong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Choo, Hyo Jun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im, Chong Dae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im, Sang Ho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im, Hak Kyu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Lee, Myeong Ji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Son, Bo Ram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Kang, Bo Seok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Choi, Hee Cheol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 Lee, Sang Bae (Samnhwa Breeding, Co., ltd.) ;
  • Hong, Eui Chul (Poultry Scienc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허강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추효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김종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김상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김학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이명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손보람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강보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최희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 이상배 ((주)삼화원종) ;
  • 홍의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금과)
  • Received : 2013.08.14
  • Accepted : 2013.09.02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large-type Korean native ducks at middle laying phase (30 to 50 weeks). A total of one hundred and sixty eight laying ducks were divided into A and B strains (6 replications/strain, 14 birds/replication and fed practical diet, for 20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daily feed intake and average egg weight. With increasing rearing period, mean body weight tended to be decreased and showed the lowest value (2,649 g) at 42 weeks of age (P<0.05). Similar trend was observed for weekly feed intake and average egg weight which decreased with passing weeks and was lowest (190.5 g and 83.8 g, respectively) at the age of 42~46 weeks (P<0.05). Daily egg production of B strain was higher than that of A strain at the age of 46~50 weeks (P<0.05). Weekly egg production of A and B strains commenced to decrease from the age of 42 weeks, however, B strain recovered at 46~50 weeks of age (P<0.05). At the age of 30~38 weeks, the egg production in B strain was higher than A strain (P<0.05),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the strains during 38~50 week. Feed conversion ratio of A strain was higher than that of B strain at 46~50 weeks of age (P<0.05). Weekly feed conversion was highest at the age of 42~46 weeks (P<0.05). In conclusion, the present results provides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performance record of large-type Korean native ducks for the middle laying phase.

본 시험은 토종오리 대형종의 산란중기 성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A와 B계통의 30주령 토종오리 168수를 선별하여 이용하였다. 시험설계는 A와 B계통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계통 당 6반복, 반복 당 14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평균체중, 사료섭취량 및 평균난중은 계통 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다(P>0.05). 주령에 따른 평균체중은 주령이 경과함에 따라 낮아져서 42주령에 2,649 g으로 가장 낮았다(P<0.05). 사료섭취량은 체중과 마찬가지로 주령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42~46주령에 190.5 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평균난중은 A와 B계통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주령에 따른 평균난중은 주령이 지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나, 사료섭취량이 감소된 시점인 42~46주령에는 83.8 g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산란율은 46주령까지 A와 B계통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46~50주령에는 A와 B계통이 각각 66.3%와 80.4%로 B계통이 A계통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주령에 따른 산란율은 42주령부터 산란율이 낮아졌으며(P<0.05), 46~50주령에 A계통은 낮은 상태로 유지되었으나, B계통은 다시 산란율이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34주령과 38주령까지의 산란 수는 A계통이 각각 48.9와 71.6, B계통이 각각 55.0과 77.7로 B계통이 A계통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후의 산란 수는 A와 B계통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주령별 산란 수는 주령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사료 요구율은 46~50주령에 A와 B계통이 각각 3.20과 2.70으로 A계통이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46주령까지는 두 계통 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주령별 사료 요구율은 42주령까지 감소하다가 사료섭취량이 최저로 나타난 42~46주령에 높아졌으며, 이후로 다시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Basso B, Bordas A, Dubos F, Morganx P, Marie-Etancelin C 2012 Feed efficiency on the laying duck: Appropriate measurements and genetic parameters. Poultry Sci 91:1065-1073. https://doi.org/10.3382/ps.2011-02008
  2.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https://doi.org/10.2307/3001478
  3. Food and Agriculture of the United Nations 2013 Food and agricultural commodities production. FAOSTAT.
  4. Klein-Hessling H 2007 Pekin duck breeders require special management. World's Poult Sci J 23:14-18.
  5.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4 Nutrient Requirements of Poultry. 9th rev ed.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6. Okruszek A, Ksiazkiewicz J, Woloszyn J, Kisiel T, Orkusz A, Biernat J 2006 Effect of laying period and duck origin on egg characteristics. Arch Tierz Dummerstorf 49(4): 400-410.
  7. SAS 2012 SAS/STAT Software for PC. SAS Institute, Cary, NC, USA.
  8. 국립축산과학원 2009 국내 사육 수입종오리의 생산성 비교. 최종연구보고서.
  9. 김학규 강보석 황보종 김종대 허강녕 추효준 박대성 서옥석 홍의철 2012 토종오리 육용종의 생산성과 도체수율. 한국가금학회지 39(1):45-52. https://doi.org/10.5536/KJPS.2012.39.1.045
  10. 김학규 추효준 김종대 허강녕 이명지 손보람 강보석 서옥석 최희철 홍의철 2013 토종오리 대형종 산란초기 능력. 한국가금학회지 40(1):17-23. https://doi.org/10.5536/KJPS.2013.40.1.017
  11. 김홍래 권형주 오성택 윤정근 최영인 추연경 강보석 김학규 홍의철 강창원 안병기 2012 사료의 에너지 및 조단백질 함량이 토종오리의 성장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9(3):167-175. https://doi.org/10.5536/KJPS.2012.39.3.167
  12. 농림부 2006 오리농법으로 생산한 유기오리 사료개발과 오리육 가공기술 개발. 최종연구보고서.
  13. 오리통계자료 2013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4. 한국가금사양표준 2007 국립축산과학원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