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iO_2$ membrane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2초

In-situ 졸-겔 법을 이용한 저가습 작동용 수소 이온 교환막 연료전지용(PEMFC) 나피온/TiO2 복합막 (Low-humidifying Nafion/TiO2 Composite Membrane Prepared via in-situ Sol-gel Process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 최범석;고영돈;김화중
    • 공업화학
    • /
    • 제30권1호
    • /
    • pp.74-80
    • /
    • 2019
  • 저가습 작동을 위한 수소 이온 교환막 연료전지용 $Nafion/TiO_2$ 복합막을 졸-겔 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Nafion막에 $TiO_2$ 나노 입자를 함침시키기 위하여 $TiO_2$ 전구체 용액에 1일부터 7일까지 함침 시간을 달리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담금 시간이 증가할수록 Nafion막 내에 함침되는 $TiO_2$ 함량이 증가하였다. $TiO_2$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막의 표면의 친수성이 증가하면서 접촉각은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물 흡수력(water uptake)과 복합막을 통한 수소 이온 전도도는 담금 시간이 4일인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고 4일 이상인 경우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담금 시간이 7일인 경우에는 큰 $TiO_2$ 입자들이 막의 표면과 내부에 생성되어 애노드에서 캐소드로의 수소 이온 전도를 방해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전지 성능 시험 결과 물 흡수력 및 수소 이온 전도도의 결과와 상당히 일치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0.6 V에서 담금 시간이 1일, 3일, 4일 및 7일인 경우 전류 밀도가 상대 습도(relative humidity, RH) 40%에서 각각 0.54, 0.6, $0.63A/cm^2$$0.49A/cm^2$를 나타내었다. Nafion 분산액과 $TiO_2$ 입자를 혼합하여 제작한 막과 Nafion 115를 이용하여 RH 40%에서 수행한 전지 성능 결과와 비교할 때 졸-겔 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복합막의 경우 약 66%의 전지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Prepar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t doped $TiO_2$ Membranes

  • Bae, Dong-Sik;Han, Kyong-Sop;Choi, Sang-Hael
    • The Korean Journal of Ceramics
    • /
    • 제3권1호
    • /
    • pp.52-56
    • /
    • 1997
  • The Pt doped $TiO_2$ 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ed by the sol-gel process. The Pt doped titania sol was peptized with hydrochloric acid in the pH range of 1.23 to 1.32 at 5$0^{\circ}C$.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t doped titania sol was shown to be below 15nm and well dispersed in the solution. XPS show the Pt elements continuous and homogeneous dispersed in the $TiO_2$ membrane. The mean particle size of the Pt doped $TiO_2$ composite membrane has smaller than that of the undoped $TiO_2$ composite membrane.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Pt doped $TiO_2$ composite membrane was increased from 58 to 193 $\AA$ with firing temperature changed from 550 to 85$0^{\circ}C$. It was observed that the Pt doped $TiO_2$ composite membranes showed crack-free and homogeneous microstructue as well as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up to above 75$0^{\circ}C$.

  • PDF

음이온교환막 연료전지를 위한 TiO2 함량 조절에 따른 QPAE/TiO2-x 복합막의 치수안정성 및 이온전도도 동시 개선 연구 (Simultaneous Improvement of Dimensional Stability and Ionic Conductivity of QPAE/TiO2-x Composite Membranes According to TiO2 Content Control for 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 김상희;유동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19-27
    • /
    • 2022
  • A series of QPAE/TiO2-x (x = 1, 4, 7 and 10 wt%) organic/inorganic 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ed as electrolyte membranes for alkaline 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inorganic filler with quaternized poly(arylene ether) (QPAE) random copolymer. Among the prepared QPAE/TiO2-x organic/inorganic composite membranes, the highest ionic conductivity was 26.6 mS cm-1 at 30℃ in QPAE/TiO2-7 composite membrane, which was improvement over the ionic conductivity value of 6.4 mS cm-1 (at 30℃) of the pristine QPAE membrane. Furthermore, the water uptake, swelling ratio, ionic exchange capacity, and thermal property of QPAE/TiO2-x composite membranes were improved compared to the pristine QPAE membran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 fabricated QPAE/TiO2-x composite membranes have good prospects for alkaline 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applications.

$TiO_2$ 광촉매 막반응기를 이용한 유기물의 산화 (Oxidation of Organic Compounds Using $TiO_2$ Photocatalytic Membrane Reactors)

  • 현상훈;심세진;정연규
    • 멤브레인
    • /
    • 제4권3호
    • /
    • pp.152-162
    • /
    • 1994
  • 광촉매 $TiO_2$ 막에 의한 formic acid의 광분해 효율이 연구되었다. 막반응기는 용액의 정밀여과(micro-filtration)는 물론 유기물의 광분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다공성 $TiO_2$ 튜브 (평균기공: $0.2{\mu}m$)를 이용한 새로운 타입으로 개발되었으며 광원으로는 365 nm 파장을 갖는 UV를 사용하였다. 또한 반응기의 광분해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슬립케스팅법으로 제조한 $TiO_2$ 튜브표면을 $TiO_2$ 졸로 코팅하였다. $TiO_2$ 막 반응기의 분해효율은 용액의 투과량(flux), 막의 미세구조(졸의 pH), 공급산소량, $H_2O_2$와 같은 1차 산화제(primary oxidants)의 첨가 그리고 $Nb_2O_5$와 같은 물질의 도핑(doping)에 매우 민감함을 알 수 있었다. 최적의 광분해 반응조건에서 formic acid의 산화효율은 pH가 1.45인 $TiO_2$ 졸로 코팅한 막 반응기를 사용했을때 80% 이상이었다. Formic acid 용액에 1차 산화제 $H_2O_2$를 첨가하거나 막을 $Fe_2O_3$로 도핑함으로써 산화효율은 최고 20%까지 증가시킬 수 있었다.

  • PDF

기공형 polyethersulfone/TiO2 복합체 멤브레인의 유기염료분해 반응에 대한 광촉매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Organic Dyes by Porous Polyethersulfone/TiO2 Composite Membrane)

  • 송창현;진영읍;이원기;유성일
    • 공업화학
    • /
    • 제34권1호
    • /
    • pp.51-56
    • /
    • 2023
  • 광촉매 기반의 수처리 공정에서 TiO2 나노입자와 기공형 고분자로 구성된 복합체 멤브레인은 광촉매 반응후 나노입자를 회수하기 용이하다는 장점과 멤브레인 파울링(fouling) 억제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TiO2 나노입자가 복합체 멤브레인에 고착된 이후 나노입자의 광촉매 특성이 어떻게 변할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polyethersulfone (PES)/TiO2 복합체 멤브레인을 제조하고 유기염료분해 반응에 대한 광촉매 특성을 연구하였다. 복합체 멤브레인에 고착된 TiO2 나노입자의 염료분해반응 속도를 콜로이드 상에서 분산된 TiO2 나노입자와 비교함으로써 멤브레인에 고착화되기 전후의 TiO2 나노입자의 촉매 효율을 비교하였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서 $TiO_2$-Nafion 혼합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iO_2$/Nafion composite membrane in PEMFC)

  • 김미림;김태영;김성수;민병준;조성용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88.2-88.2
    • /
    • 2011
  • Proton exchange memb rane fuel cell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next generation power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due to high power density and low emissions. $TiO_2$/Nafion composite was prepared by the in-situ sol-gel method.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iO_2$-Nafion composite membrane were evaluated by current-voltage and impedance of the membrane eletrode assembly in a singl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 PDF

Development of photocatalytic PVA/$TiO_2$ nanofiber membrane by electrospinning and its application for Air Filtration

  • Linh, Nguyen Thuy Ba;Lee, Byong-Taek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8.1-38.1
    • /
    • 2010
  • Nanofibers have a large potential in air filtration applications. In this work, we have developed a photocatalytic polyvinyl alcohol PVA/$TiO_2$ nanofibers membrane for the treatment of air filtration by using electrospinning method. PVA were electrospun into nanofibrous membranes and $TiO_2$ nanoparticles were loaded in PVA nanofibers in various contents from 10% (w/w) to 50% (w/w). The UV-Vis spectra were conducted for testing the existence of $TiO_2$ nanoparticles in PVA fibers. SEM analysis indicated that $TiO_2$ nanoparticles were loaded on the surface of PVA fibers and dispersed linearly along the fiber direction, which originated from the effect of polarization and orientation caused by high electric field. X-ray diffraction (XRD) was used to determine the crystalline of the membrane. Tensile strength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embrane. Therefore, our work suggested that PVA/$TiO_2$ nanofiber membrane has a potential application in air filtration area.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VDF/TiO2 composite ultrafiltration membranes using mixed solvents

  • Tavakolmoghadam, Maryam;Mohammadi, Toraj;Hemmati, Mahmood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7권5호
    • /
    • pp.377-401
    • /
    • 2016
  • To study the effect of titanium dioxide ($TiO_2$) nanoparticles on membrane performance and structure and to explore possible improvement of using mixed solvents in the casting solution, composit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ultrafiltration membranes were prepared via immersion precipitation method using a mixture of two solvents triethyl phosphate (TEP) and dimethylacetamide (DMAc) and addition of $TiO_2$ nanoparticles. Properties of the neat and composite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Atomic force microscopy (AFM) and contact angle and membrane porosity measurements. The neat and composite membranes were further investigated in terms of BSA rejection and flux decline in cross flow filtration experiments. Following hydrophilicity improvement of the PVDF membrane by addition of 0.25 wt.% $TiO_2$, (from $70.53^{\circ}$ to $60.5^{\circ}$) degree of flux decline due to irreversible fouling resistance of the composite membrane reduced significantly and the flux recovery ratio (FRR) of 96.85% was obtained. The results showed that using mixed solvents (DMAc/TEP) with lower content of $TiO_2$ nanoparticles (0.25 wt.%) affected the sedimentation rate of nanoparticles and consequently the distribution of nanoparticles in the casting solution and membrane formation which influenced the properties of the ultimate composite membranes.

$TiO_2$광촉매 막을 이용한 수용액상 유기물의 산화효율 (Oxidation Efficiency of Organic Compounds in Water Using $TiO_2$ Photocatalytic Membranes)

  • 현상훈;심세진;정연규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3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39-39
    • /
    • 1993
  • 반도성 세라믹 광촉매 막 반응기 (membrane reactor)에 의한 난분해성 유독 유기물질의 분해공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TiO_2$ 막 반응기의 formic acid 및 trichloromethane에 대한 광분해 효율이 연구되었다. 막 반응기는 용액의 정밀여과 (microfiltration)는 물론 유기물의 광분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다공성 $TiO_2$ 튜브 (평균기공 : $0.2 \mu m$)를 이용한 새로운 타입으로 ㅐㄱ발되었으며 광원으로는 365 nm 파장을 갖는 UV를 사용하였다. 또한 반응기의 광분해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슬립케스팅법으로 제조한 $TiO_2$ 튜브표면을 $TiO_2$ 졸로 코팅하였다.

  • PDF

$TiO_{2}$ 광촉매 막의 전기화학 반응에 의한 유기물의 산화 (Oxidation of Organic Compounds through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Using $TiO_{2}$ Photocatalytic Membranes)

  • 현상훈;이기홍
    • 멤브레인
    • /
    • 제6권2호
    • /
    • pp.101-108
    • /
    • 1996
  • 반도성 세라믹 광촉매 막 반응기(membrane reactor)에 의한 난분해성 유독 유기물질의 효율적인 분해공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TiO_{2}$ 광촉매 막의 전기화학 반응에 의한 개미산(formic acid)의 산화/분해 효율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막 반응기는 용액의 여과(filtration)와 광전기화학 반응에 의한 유기물의 광분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복합막의 담체임과 동시에 전극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전기 전도성 $SnO_{2}$ 또는 stainless steel 다공성 튜브상에 pH가 1.45인 $TiO_{2}$ 졸을 졸-겔 침지 코팅하여 광촉매 복합막을 제조하였으며 광원으로는 365 nm 파장을 갖는 UV를 사용하였다. $TiO_{2}$ 광촉매 막의 전기화학 반응에 의한 개미산의 산화효율은 전극에 걸어주는 전압과 반응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투과량(flux)에는 거의 무관하였다. $TiO_{2}/SnO_{2}$ 복합막을 사용한 경우 외부 전압을 27V 걸어주었을때 77% 정도의 산화효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TiO_{2}$/stainless steel 복합막에서는 90% 이상이었다. 광촉매 전기화학 반응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투과량하에서도 개미산의 산화효율을 단순한 $TiO_{2}$ 광촉매 반응에서 보다 6~7배 가량 증진시킬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