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GF{\beta}1$

검색결과 655건 처리시간 0.026초

Gelatin-Chondroitin-Glucosamine Scaffold에 접종한 인간지방조직-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연골형성 (Chondrogenesis of Human Adipose Tissu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TMSCs) Seeded in Gelatin-Chondroitin-Glucosamine Scaffold)

  • 김응배;홍순갑;도병록;김해권;이준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2호
    • /
    • pp.99-111
    • /
    • 2011
  • 본 실험은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TGF-${\beta}1$)이 첨가된 chondrogenic induction medium(CIM)을 이용하여 인간지방조직에서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human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TMSCs)의 연골형성능과 gelatin-chondroitin-glucosamine scaffold(GCG-scaffold)에 접종시킨 ATMSCs의 연골형성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ATMSCs와 생쥐 chondrocyte를 기본배양액과 TGF-${\beta}1$이 첨가되지 않은 CIM1 및 TGF-${\beta}1$이 첨가된 CIM2에서 배양하여 연골형성능을 비교하였다. ATMSCs의 연골형성은 gelatin scaffold(G-scaffold)와 GCG-scaffold를 사용하여 glycosaminoglycan(GAG) 합성과 조직화학적 염색으로 연골기질형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펠렛 배양에서 ATMSCs와 chondrocyte의 GAG합성은 대조군에서 14일의 배양기간 동안 약간 증가하였으나, CIM1과 CIM2배양군은 배양 14일에 대조군에 비해크게 증가하였으며, CIM2 배양군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연골기질은 배양 14일에 CIM2 배양군에서만 Safranin O와trichrome에 의해 염색되었다. Well plate에서 배양된 ATMSCs의 증식은 모든 배양군에서 배양 10일까지 계속적인 세포증식이 일어났으며, 대조군에 비해 CIM 배양군이 높았다. ATMSCs 접종 후 플라스크나 scaffold의 세포부착률은 배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배양군에서 증가하였고, 플라스크에 비해 scaffold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Scaffold에 ATMSCs 접종후 GAG 합성은 28일의 배양기간 동안 대조군에서는 별 변화가 없었으나, CIM1, CIM2 배양군은 대조군보다 GAG합성이 증가되었다. CIM2 배양군에서 GAG 합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G-scaffold보다 GCG-scaffold에서 GAG 합성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한 ATMSCs의 연골기질형성도 CIM2 배양군의 GCG-scaffold에서 가장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펠렛 배양에서 ATMSCs는 생쥐 chondrocyte보다 낮은 연골형성능을 보였고, CIM2 배양군에서만 연골기질이 형성된 것으로 보아 TGF-${\beta}1$이 연골분화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 것이라 사료된다. G-scaffold는 효과적인 연골분화 환경을 제공해 줌으로써 ATMSCs의 세포부착률과 GAG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보여지며, G-scaffold보다 GCG-scaffold에서 많은 연골기질이 형성된 것은 GCG-scaffold에 첨가된 chondroitin과 glucosamine이연골기질 형성을 촉진시키는 물질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원발성 기흉환자 폐기포의 면역조직화학적 분석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he Bullae in Patients with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김광호;윤용한;김정택;백완기;김현태;김영삼;손국희;한혜승;박광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2호
    • /
    • pp.86-90
    • /
    • 2003
  • 폐 형성에 활성적인 또는 억제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FGF-7 성장인자, BMP수용체 II, 그리고 TGF-$\beta$ 수용체 II 유전자의 비정상 발현이 폐기포 생성에 관여하는지를 각각의 단일성 클론 항체를 사용하여 수술로 절제된 자연기흉 환자의 폐기포 조직들을 면역조직염색 방법으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재발성 또는 지속성 기흉으로 흉강경 또는 개흉술로 폐기포 절제술을 실시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1명의 환자로 15세에서 39세까지 연령분포를 보였으며 남자 30명, 여자 1명이었다. 폐기포 절제는 비디오흉강경이나 소절개개흠술을 통하여 폐기포벽에 손상을 가하지 않게 주의하면서 비디오흉강경용 스태플러(Endo GIA stapler)를 이용하여 절제하였으며 가능한 원형을 유지하여 신선한 상태로 포르마린에 고정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연구를 위한 표본을 만들었다. 폐기포 조직 슬라이드를 단일클론성 항 TGF-$\beta$ 수용체 II, BMP수용체 II 그리고 FGF-7인자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학적 염색방법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 31명중 TGF-$\beta$ 수용체 II항체에 양성 반응을 나타낸 환자수는 모두 24명이었다. 이들 중에는 18명이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고, 6명이 약한 양성 반응을 보였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를 고배율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TGF-$\beta$ 수용체 II의 염색이 기흉과 정상 폐조직 경계 부위에서 측히 강하게 염색됨이 관찰되었다. 이에 반하여, BMP수용체 II 그리고 FGF-7인자의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학적 염색 결과는 모든 환자의 조직들에서 음성으로 관찰되었다. 결론: 폐 조직이 형성될 때, 억제유전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알려진 TGF-$\beta$ 수용체 II의 발현이 증가되면서 폐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번 결론은 면역조직학적 염색 실험 결과만으로 밝혀진 사실임으로 좀 더 체계적인 분자생물학적 인 연구가 요구된다.

Hepatic Fibrosis Inhibitory Effect of Peptides Isolated from Navicula incerta on TGF-β Induced Activation of LX-2 Human Hepatic Stellate Cells

  • Kang, Kyong-Hwa;Qian, Zhong-Ji;Ryu, BoMi;Karadeniz, Fatih;Kim, Daekyung;Kim, Se-K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2호
    • /
    • pp.124-132
    • /
    • 2013
  • In this study, novel peptides (NIPP-1, NIPP-2) derived from Navicula incerta (microalgae) protein hydrolysate were explor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s on collagen release in hepatic fibrosis with the investigation of its underlying mechanism of action. TGF-${\beta}1$ activated fibrosis in LX-2 cells was examin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urified peptides NIPP-1 and NIPP-2. Besides the mechanisms of liver cell injury, protective effects of NIPP-1 and NIPP-2 were studied to show the protective mechanism against TGF-${\beta}1$ stimulated fibrogenesi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ore protein of NIPP-1 peptide prevented fibril formation of type I collagen, elevated the MMP level and inhibited TIMP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treatment of NIPP-1 and NIPP-2 on TGF-${\beta}1$ induced LX-2 cells alleviated hepatic fibrosis. Moreover, ${\alpha}$-SMA, TIMPs, collagen and PDGF in the NIPP-1 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NIPP-1 has potential to be used in anti-fibrosis treatment.

자하거(紫河車)가 칼슘재흡수, cyclooxygenase의 발현, PGE2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Hominis Placenta suppress Calcium release, cyclooxygenase expression and PGE2 synthesis)

  • 정연호;김나영;이태균;김동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63
    • /
    • 2005
  • Purpose : 자하거(Hominis Placenta; HP)는 건강한 사람의 태반을 홍제(烘製)하여 건조한 것으로 한의학에서는 기혈(氣血)을 대보(大補)하고 신정(腎精)을 보익(補益)시켜 구병(久病)으로 인한 신체허약(身體虛弱)이나 혹은 체질허약(體質虛弱)과 혈기부족(氣血不足) 및 신허정휴(腎虛精虧) 등 등(證)을 치료(治療)하는데 단미(單味) 또는 복방(複方)에 배오(配伍)하여 쓰여왔다. 또한 자하거는 면역학적으로 골대사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자하거의 항골다공증 활성을 분자세포생물학적으로 검정하고자 하였다. Methods : Osteoblast cells에서 자하거가 COX-2 mRNA의 발현과 $PGE_2$ 생합성을 억제시키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먼저 TNF-${\alpha}$, IL-${\beta}$ 와 IL-6를 처리한 후 $PGE_2$의 생합성과 더불어 COX-2 mRN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후 TGF-${\beta}$, 자하거(紫河車)와 이 둘의 조합인 자하거+TGF-${\beta}$가 COX-2 mRNA 발현과 $PGE_2$ 생합성을 저해시키는지 관찰하였다. 또한 자하거가 IL-1${\beta}$로 유발된 흰쥐의 과칼슘혈증을 감소시키는지를 확인하였다. Results : IL-6, IL-1${\beta}$와 TNF-${\alpha}$를 동시에 처리하면 이것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과 비교해 볼 때 $PGE_2$의 생합성과 더불어 COX-2 mRNA의 수치가 상승작용을 일으키며 증가하였다. TGF-${\beta}$, 자하거와 이 둘의 조합인 자하거+TGF-${\beta}$은 COX-2 mRNA 발현, $PGE_2$ 생합성 및 골재흡수를 감소시켰다. 자하거(紫河車)는 IL-1${\beta}$, TNF-${\alpha}$와 IL-6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인해 증가하는 COX-2 mRNA 발현과 $PGE_2$ 생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COX-1 mRNA 발현에는 유의성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자하거는 농도의존적으로 IL-1${\beta}$로 유발된 흰쥐의 과칼슘혈증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흰쥐의 두개골 골아세포에서 $PGE_2$ 생산에 대한 IL-${\beta}$, TNF-${\alpha}$, IL-6의 상승작용이 COX-2의 유전자 발현 증가에 기인함을 보여주었다. Conclusions :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자하거가 골대사과정중 골재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밝히게 되었으며, 자하거의 골다공증의 억제기전이 골재흡수관련 단백질들의 전사조절에 있음을 최초로 해명하게 되었다.

  • PDF

Changes of Bax, Bcl-2, CCR-2, MCP-1, and TGF-β1 genes in the left ventricle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after losartan treatment

  • Lee, Hyeryon;Kim, Kwan Chang;Hong, Young Mi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2권3호
    • /
    • pp.95-101
    • /
    • 2019
  • Purpose: Increased apoptosis was recently found in the hypertrophied left ventricle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s). Although the available evidence suggests that apoptosis can be induced in cardiac cells by various insults including pressure overload, cardiac apoptosis appears to result from an exaggerated local production of angiotensin in adult SHRs. Altered expressions of Bcl associated X (Bax), Bcl-2, chemokine receptor (CCR)-2,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MCP)-1,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1$, phosphorylat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PERK), and connexin 43 proteins, and kallikrein mRNA were investiga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losartan on the SHR model. Methods: Twelve-week-old male rats were grouped as follows: control (C), SHR (hypertension: H), and losartan (L; SHRs were treated with losartan [10 mg/kg/day] for 5 weeks). Western blot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s were performed. Results: Expression of Bax, CCR-2, MCP-1, $TGF-{\beta}1$, PERK, and connexin 43 proteins, and kallikrein mRN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C group at weeks 3 and 5. Expression of Bax, CCR-2, MCP-1, $TGF-{\beta}1$, and connexin 43 proteins and kallikrein mRN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losartan treatment at week 5. PERK protein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losartan treatment at weeks 3 and 5. Bcl-2 protein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C group at weeks 3 and 5. Conclusion: Losartan treatment reduced expression of Bax, CCR-2, MCP-1, $TGF-{\beta}1$, PERK, and connexin 43 proteins, and kallikrein mRNA in SHRs, along with decreased inflammation and apoptosis.

No Association of the TGF-β1 29T/C Polymorphism with Breast Cancer Risk in Caucasian and Asian Populations: Evidence from a Meta-Analysis Involving 55, 841 Subjects

  • Alqumber, Mohammed A.A.;Dar, Sajad Ahmad;Haque, Shafiul;Wahid, Mohd;Singh, Rohit;Akhter, Nasee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8725-8734
    • /
    • 2014
  •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gene 29 T/C polymorphism is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risk. However, reports are largely conflicting and underpowered. We therefore conducted a meta-analysis of all available case-control studies relating the TGF-${\beta}1$ 29T/C polymorphism to the risk of developing breast cancer by including a total of 31 articles involving 24,021 cases and 31,820 controls. Pooled ORs were generated for the allele contrasts, with additive genetic, dominant genetic and recessive genetic models. Subgroup analysis was also performed by ethnicity for the TGF-${\beta}1$ 29T/C polymorphism. No association was found in the overall analysis (C vs T: OR=1.028, 95% CI=0.949-1.114, p-value 0.500; CC vs TC: OR= 1.022, 95% CI=0.963-1.085, p-value 0.478; CC vs TT: OR= 1.054, 95% CI=0.898-1.236, p-value 0.522; CC vs TT+ TC: OR= 1.031, 95% CI=0.946-1.124, p-value 0.482; TT vs CC+TC: OR= 0.945, 95% CI=0.827-1.080, p-value 0.403). Similarly, in the subgroup analysis by ethnicity, no association was found in Caucasian (C vs T: OR= 1.041, 95% CI=0.932-1.162, p-value 0.475; CC vs TC: OR= 1.031, 95% CI=0.951-1.118, p-value 0.464; CC vs TT: OR= 1.081, 95% CI=0.865-1.351, p-value 0.493; CC vs TT+TC: OR= 1.047, 95% CI=0.929-1.180, p-value 0.453; TT vs CC+TC: OR= 0.929, 95% CI=0.775-1.114, p-value 0.429;) and Asian populations (C vs T: OR= 1.004, 95% CI=0.908-1.111, p-value 0.931; CC vs TC: OR= 0.991, 95% CI=0.896-1.097, p-value 0.865; CC vs TT: OR= 1.015, 95% CI=0.848-1.214, p-value 0.871; CC vs TT+TC: OR= 1.000, 95% CI=0.909-1.101, p-value 0.994; TT vs CC+TC: OR= 0.967, 95% CI=0.808-1.159, p-value 0.720;). No evidence of publication bias was detected during the analysi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breast cancer risk was demonstrated overall or on subgroup (Caucasian and Asian)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TGF-${\beta}1$ 29T/C polymorphism does not play a role in breast cancer susceptibility in overall or ethnicity-specific manner.

Characterization of a Myostatin-like Gene from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 Kim, Hyun-Woo;Kim, Hak-Jun;Yoo, Myong-Su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1호
    • /
    • pp.16-23
    • /
    • 2007
  • Myostatin (GDF8) is a growth factor that limits muscle tissue growth and development in vertebrates. We isolated a myostatin-like gene (Py-MSTN) from the marine invertebrate,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Py-MSTN was highly expressed in the adductor muscle and in the gill unexpectedly. Amino acid analysis showed that Py-MSTN has 49%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and 64% similarity to human myostatin (Hs-MSTN), and 42% identity and 61% similarity to myoglianin, the only invertebrate homolog.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y-MSTN may be functionally similar to the vertebrate MSTN than the invertebrate homolog. Phylogenetic analysis suggested that Py-MSTN is an ancestral form of vertebrate MSTN and GDF11 and does not belong to other $TGF-{\beta}$ family members. Molecular modeling showed that Py-MSTN exhibits a similar tertiary structure to mammalian BMP7, a member of $TGF-{\beta}$ family. In addition, the amino acid residues which contact extracellular domain of the receptor were relavively conserved. Given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Py-MSTN is a functionally active member of the $TGF-{\beta}$ family and is involved In muscle growth and regulation.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여러 성장인자 발현의 변화 (Alteration of Growth Factor Expression after Acute Ischemic Renal Injury)

  • 고양심;이수연;김원;조수철;황평한;김정수;이대열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7호
    • /
    • pp.687-694
    • /
    • 2003
  • 목 적 :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손상된 세뇨관 상피세포의 재생은 순환하거나 국소적으로 생성된 성장인자나 cytokine, 생리적 인자 및 주위 환경들의 조절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신기능 회복에 따른 혈중 IGF-I의 변화와 전체 신장조직과 각 부위에 따른 IGF-I, -II, VEGF, $TGF-{\beta}1$, CTGF의 mRNA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 법 : 체중이 250-300 g의 백서를 대상으로 급성 허혈성 신손상을 시켜 유발된 급성 신부전 모델을 이용하여 급성 신부전의 진행과정에 따라 혈청 IGF-I치와 여러 성장인자 발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급성 신부전 진행은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혈청 IGF-I 농도는 iodinated IGF-I과 polyclonal anti-IGF-I 항체를 이용한 방사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신장에서 성장인자의 발현은 RT-PCR을 이용하였고 신장조직에서의 RNA 추출은 통상적인 방법에 준하였다. 신장에서의 IGF-I과 CTGF의 분포는 anti-IGF-I 항체와 anti-CTGF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 1) 양측 신동맥을 결찰한 후 1일째부터 체중 감소와 혈청 크레아티닌치의 증가가 관찰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3일째에 가장 현저하였다. 혈청 IGF-I은 신손상 후 1일 째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신손상 3일째에 더 증가되었다가 5일째부터는 신손상 전으로 회복되었다. 2) 신기능 회복에 따른 성장인자의 변화는 거의 유사하였다. IGF-I, IGF-II, $TGF-{\beta}1$ 및 VEGF의 mRNA 발현은 허혈성 신손상 후 1일째에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신손상 3일째에는 신손상 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7일째에는 거의 신손상 전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3) IGF-I과 IGF-II는 정상 신장에서는 주로 수질부 특히 바 깥쪽 수질부에서 발현되었고 허혈성 신손상 1일째에 현저하게 감소하였다가 3일째에는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TGF-{\beta}1$은 정상에서 신수질부에서 주로 발현되었고 1일째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가 회복되는 소견을 보였다. CTGF와 VEGF는 정상 신장의 수질부와 피질부 모두에서 발현되었으며 신손상 1일째에 현저하게 감소되었다가 3일째부터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소견을 보였다. 4) 정상 백서의 신장에서 IGF-I은 주로 피질부위의 신세뇨관에 분포하였고 사구체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1일째 신장의 피질부위에서는 IGF-I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CTGF는 정상 백서의 신장에서는 주로 혈관에 분포하는 소견을 보였는데 신손상 3일째에는 세뇨관에서 현저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결 론: 이번의 연구로 저자들은 IGF-I, IGF-II, $TGF-{\beta}1$, CTGF, VEGF 등과 같은 성장인자가 급성 허혈성 신손상 후 신기능과 세뇨관세포의 회복과정에 발현의 변화가 초래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신기능 회복을 촉진시키기 위해 여러 성장인자를 급성신부전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엉겅퀴 추출물의 기능 성분 분석 및 TGF-beta에 의한 간 성상 세포 활성 억제 효과 (Analysis of Active Components in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Extracts and Their Effect on TGF-beta Induced Hepatic Stellate Cells Activation)

  • 김선영;김상준;최영지;유강열;정창호;심재석;장선일;유동현;정승일
    • 생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0-117
    • /
    • 2013
  • Cirsium japonicum (CJ) leaf (L) alcoholic extracts were investigated for analysis their active components (flavonoids and flavanolignans; silymarins) and inhibitory effect on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induced hepatic stellate cells (HSCs, LX-2 cells) activation. The CJ root (R) extracts were also analyzed and compared with leaf extracts. Total flavonoid and polyphenol contents of the leaf extracts showed higher than those of the root extracts. The content of each flavonoid compound, which was analyzed by HPLC, in CJ-L extracts was also higher than in CJ-R extracts. The results of flavanolignans content in CJ-L and CJ-R extracts were consistent in flavonoid and polyphenol. We studied inhibitory effect of two extracts against TGF-${\beta}1$ induced HSCs activation. The CJ-L extracts significantly suppressed overexpression of profibrogenic factor, ${\alpha}$-smooth muscle actin and collagen-${\alpha}1$(I). The CJ-R extract also showed inhibitory effect on TGF-${\beta}1$ induced HSCs activation, but the efficacy was lower than in CJ-L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J-L may contribute to the fibrotic liver treatment.

반흔형성 과정에서 Sp1 전사인자 조절에 의한 TGF-β1 및 CTGF의 발현 (The Effect of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Sp1 for TGF-β1 and CTGF Expression in Scar Formation)

  • 박동만;손대구;한기환;이선영;채영미;장영채;박관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39-45
    • /
    • 2006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GF-b1 expression and CTGF expression,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Sp1 blockade on the expression of TGF-b1, CTGF and extracellular genes, clones of fibroblasts stably transfected with Sp1 decoy ODN. R-Sp1 decoy ODN was highly resistant to degradation by nucleases or serum, compared to the linear or phosphorothioated-Sp1 decoy ODN. Skin wounds were created on the back of 36 anesthetized rat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the rats with normal skin, with wounded skin without decoy, with wounded skin injected with R-Sp1 decoy, and with wounded skin injected with mismatched R-Sp1 decoy, respectively. Skins were collected at 3rd, 5th, 7th, 14th day after wounding. Cellular RNA was extracted by RT-PCR analysis. TGF-${\beta}1$ and CTGF were deeply related with skin fibrosis during scar formation and it appeared that TGF-${\beta}1$ may cause the induction of CTGF expression. R-Sp1 decoy ODN inhibited TGF-${\beta}1$ and CTGF expression both in cultured fibroblasts and in the skin of ra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argeting Sp1 with R-type decoy efficiently blocks extracellular matrix gene expression, and suggest an important new therapeutic approach to control the scarring in normal wound healing and fibrotic dis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