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he Bullae in Patients with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원발성 기흉환자 폐기포의 면역조직화학적 분석

  • 김광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윤용한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김정택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백완기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김현태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김영삼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손국희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한혜승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해부병리학교실) ;
  • 박광원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중앙연구소)
  • Published : 2003.02.01

Abstract

Bulla is an air-filled space within the lung parenchyma resulting from deterioration of the alveolar tissue. Molecular mechanism of the formation of the bulla is not well described. Fibroblast growth factor(FGF)-7, bone morphogenetic protein(BMP) receptor,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beta$ receptor are known to have a stimulatory or inhibitory role in the lung formation. We investigated to see if these growth factor or cytokine receptors are involved in the bulla formation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bullous lung tissues from patients with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Material and Method: Bullous lung tissues were obtained from 31 patients with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including 30 males and 1 female from 15 to 39 years old. The bullous tissues were obtained by video-thoracoscopic surgery and/or mini-thoracotomy and fixed in formalin. Blocks of the specimens were embedded with paraffin and cut into 5-6 ${\mu}{\textrm}{m}$ thick slices. The sections were deparaffinized and hydrated and then incubated with primary antibodies against FGF-7, BMP-RII, or TGF-RII. Result: Of the 31 patients, 24 were TGF-RII positive including 18 strong and 6 weak positives. Observation with high magnification showed that strong immunostaining was detected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bullous and normal lung tissues. In contrast, all of the sections were negative with FGF-7 or BMP-RII antibodi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overexpression of TGF- P RII may be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bulla, although further molecular studies are needed to find out more detailed molecular mechanisms.

폐 형성에 활성적인 또는 억제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FGF-7 성장인자, BMP수용체 II, 그리고 TGF-$\beta$ 수용체 II 유전자의 비정상 발현이 폐기포 생성에 관여하는지를 각각의 단일성 클론 항체를 사용하여 수술로 절제된 자연기흉 환자의 폐기포 조직들을 면역조직염색 방법으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재발성 또는 지속성 기흉으로 흉강경 또는 개흉술로 폐기포 절제술을 실시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1명의 환자로 15세에서 39세까지 연령분포를 보였으며 남자 30명, 여자 1명이었다. 폐기포 절제는 비디오흉강경이나 소절개개흠술을 통하여 폐기포벽에 손상을 가하지 않게 주의하면서 비디오흉강경용 스태플러(Endo GIA stapler)를 이용하여 절제하였으며 가능한 원형을 유지하여 신선한 상태로 포르마린에 고정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연구를 위한 표본을 만들었다. 폐기포 조직 슬라이드를 단일클론성 항 TGF-$\beta$ 수용체 II, BMP수용체 II 그리고 FGF-7인자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학적 염색방법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 31명중 TGF-$\beta$ 수용체 II항체에 양성 반응을 나타낸 환자수는 모두 24명이었다. 이들 중에는 18명이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고, 6명이 약한 양성 반응을 보였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를 고배율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TGF-$\beta$ 수용체 II의 염색이 기흉과 정상 폐조직 경계 부위에서 측히 강하게 염색됨이 관찰되었다. 이에 반하여, BMP수용체 II 그리고 FGF-7인자의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학적 염색 결과는 모든 환자의 조직들에서 음성으로 관찰되었다. 결론: 폐 조직이 형성될 때, 억제유전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알려진 TGF-$\beta$ 수용체 II의 발현이 증가되면서 폐기포가 생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번 결론은 면역조직학적 염색 실험 결과만으로 밝혀진 사실임으로 좀 더 체계적인 분자생물학적 인 연구가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Surgery of the Chest(6th ed.) v.5 The pleura Cohen,R.G.;DcMeester,T.R.;Lafontainc,E.;Sabiston,Jr.D.C.;Speneer,F.C.
  2. Chest Surg Clin North Am v.5 Classification of cystic and bullous lung disease Shamji,F.
  3. Mechanism of Development v.92 The molecular basis of lung morphogenesis Warburton,D.;Schwarz,M.;Tefft,D.;Flores-Delgado G.;Anderson,K.D.;Cardoso,W.V. https://doi.org/10.1016/S0925-4773(99)00325-1
  4. Mol Genet Metab v.71 no.1-2 Induction of cardiac fibrosis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Lijnen,P.J.;Petrov,V.V.;Fagard,R.H. https://doi.org/10.1006/mgme.2000.3032
  5. Curr Opin Genet Dev v.12 no.1 TGF-beta signaling: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umorigensis Wakefield,L.M.;Roberts,A.B. https://doi.org/10.1016/S0959-437X(01)00259-3
  6. Ann Thorac Surg v.52 Cystic and Bullous Lung Disease Klingman,R.R.;Angelillo,V.A.;DeMeester,T.R. https://doi.org/10.1016/0003-4975(91)90939-N
  7. Am J Physiol The al-antitrypsin gene and emphysema Perlmutter,D.H.;Pierce,J.A.
  8. Arch Environ Health v.11 Experimental emphysema. Its production with papain in normal and silicotic rats Gross,P.;Pfitzer,E.A.;Toker,E.;Babyak,M.A.;Kaschak,M. https://doi.org/10.1080/00039896.1965.10664169
  9. am Rev Respir Dis v.132 Elastase and emphysema: current assessment of the protease-antiprotease hypothesis Janoff,A.
  10. Am Rev Respir Dis v.116 The inducation of pulmonary emphysema with leukocyte elastase Senior,R.M.;Tegner,H.;Kuhn,C.;Ohlsson,K.;Starcher,B.C.;Pierce,J.A.
  11. Am Rev Respir Dis v.129 Emphysema and bronchial secretory metaplasia induced in hamsters by human neutrophil products Snider,G.L.;Lucey,E.C.;Christensen,T.G.;Stone,P.J.;Calore,J.D.;Catanese,A.;Franzbalu,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