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D_L$

검색결과 980건 처리시간 0.025초

소백산 국립공원내 조류 군집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Sobaeksan National Park)

  • 이우신;이준우;박찬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80-192
    • /
    • 1993
  • 본 연구는 소백산 국립 공원을 대상으로 계절별 조류 군집을 밝히고, 이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를 위하여 주등산로 3개소를 조사지로 선정하여, 1992년 2월부터 10월까지 4회에 걸쳐 야생조류 및 이의 서식에 미치는 인자를 조사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에서 조사기간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텃새 31종, 여름철새 17종, 겨울철새 6종 그리고 나그네새 4종으로 총 9목 12과 58종이며 이중천연기념물 323호인 새매, 황조롱이와 324호인 소쩍새 그리고 242호인 까막딱다구리가 관찰되었고 위기 조류인 큰오색딱다구리와 되지빠귀가 발견되었다. (서식종수는 봄철 38종, 여름철 33종, 가을철 26종 그리고 겨울철 22종이었다). 번식 조류 군집 중 수동 및 관목층을 둥지로 이용하는 길드와 수관층에서 먹이자원을 이용하는 길드가 대부분이었다. 제 1조사구역의 해발 900m이후의 자연식생과 제 2조사구역의 철쭉군락을 포함한 초원지역은 야생조류의 보호를 위해 관리가 필요하다. 제 3조사구역은 다양한 종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이 과수원, 농경지, 개활지 등의 다양한 서식지를 포함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지역은 밀도 또한 높게 나타나서 국립공원에서 조류를 관찰할 수 있는 적당한 장소라고 생각된다. 가을과 겨울철에는 풍부한 먹이 공급을 위해 먹이식물 및 활엽수림 조성 관리가, 봄철과 여름철에는 성공적인 번식을 위해 이용객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 PDF

딸기 근교계통 '원교3115호'와 '원교 3116호' 육성 (Breeding of inbred lines 'Wongyo 3115' and 'Wongyo 3116' in Strawberry)

  • 정호정;이선이;조일환;노일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3호
    • /
    • pp.443-447
    • /
    • 2015
  • '원교3115호'와 '원교3116호'는 종자와 영양체로 번식이 가능한 $S_9$세대의 근교계 품종으로 잡종강세 현상을 이용한 $F_1$ 품종육성을 위한 중간모본용으로 육성되었다. '원교 3115호'는 'Benihoppe' 유래 자식 계통($S_9$ 세대)으로 초형은 중간 직립형이고 초세는 원 품종보다 약하다. 화아분화는 빠른 편이고 화방당 꽃 수는 10개 내외이다. 과형은 원추형, 과색은 연분홍색이며 평균과중은 11g 내외의 소과종으로 수량은 원품종과 비교하여 매우 낮은 편이다. 이 품종의 가장 큰 특징으로 경도가 대조 품종에 비해 2배 정도 강하다. '원교 3116호'는 'Doyonoka' 유래 자식 계통으로 초형은 직립형이고 초세는 원 품종보다 약하다. 화아분화는 빠른 편이고 화방당 꽃 수는 8개 내외이다. 과형은 편구형, 과색은 적색이며 평균 과중은 12g 내외로 소과종이다. '원교 3116호'는 다른 근교 계통들에 비해 수량성이 높고 과형이 우수하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품질에 있어서도 두 품종 모두 당산비가 적절하여 식미가 좋으나, 탄저병과 흰가루병에는 이병성이고 진딧물과 응애 등 해충에 대해서도 다소 약한 경향이다.

실내 인공사료육에 의한 뽕나무하늘소(Apriona germari Hope) 유충의 발육 (Larval Development of Mulberry Longicorn Beetle, Apriona germari Hope, on the Artificial Diet)

  • 윤형주;박인균;마영일;설광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7-322
    • /
    • 1997
  • 실내 인공사료육에 의한 뽕나무하늘소(Apriona germari Hope) 유충의 발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야외 뽕밭에서 채집된 뽕나무하늘소 부화유충을 14L:10D 광조건의 $25^{\circ}C$ 항온기에서 애누에용 인공사료와 뽕나무 가지 분말을 동량비로 석은 인공사료에 의하여 실내사육한 결과, 유충의 1령에서 12령까지의 두폭 범위는 0.12~0.69 cm 내에 있었고 각 영기의 성장비는 1령과 2령간이 가장 컸다. 체중의 증가에 있어서 1령에 비해 8령의 경우는 약 176배, 12령의 경우와는 약 354배의 성장도 차이를 보였다. 각 영별 경과일구는 영이 진전될수록 경과일수가 길어졌으며 1령에서서 9령까지의 경과일수는 186.03일, 12령까지의 경과일수는 304.58일이었다. 인공사료육에 의한 1세대 유충 생존율은 3령기에 걸쳐 약 45%로 매우 낮았으나 그 이후 안정되어 8령까지의 유충 생존율은 40.8%이었다. 용화율은 32.4% 이었으며, 용화 시기는 7령에서부터 11령에 걸쳐 나타났지만, 8령과 9령째가 대부분이었다.

  • PDF

DMA 인터페이스를 갖는 블루투스 기저대역 모듈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Bluetooth Baseband Module with DMA Interface)

  • 천익재;오종환;임지숙;김보관;박인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9권3호
    • /
    • pp.98-109
    • /
    • 2002
  • 블루투스 무선 기술은 음성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단거리 일대다중 무선 주파수 통신을 위해 제안된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무선통신 기술이다. 블루투스는 2.4㎓ ISM 밴드에서 동작하며 약 l0m 범위의 다양한 이동 장치와 휴대용 장치를 위한 저가격의 기저대역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DMA 방식의 블루투스 기저대역 모듈을 개발하고 그 구조와 테스트 결과를 보인다. 개발된 모듈은 링크 컨트롤러, UART 그리고 오디오 코덱의 세가지 블록으로 구성되며 메인 프로세서 사이의 정보 전달 및 DMA지원을 위한 버스 인터페이스와 RF모듈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RF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DMA의 사용은 FIFO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을 사용하는 기저대역 모듈에 비하여 모듈의 구현 크기 및 데이터의 처리 속도에 있어서도 많은 차이점을 갖는다. 각 블록을 DMA를 지원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모듈을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작은 크기의 모듈은 생산비용의 절감과 함께 다양한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범용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모듈은 UART를 이용한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식을 지원하고 소프트 IP로 설계되었으며 FPGA와 ASIC으로 구현하여 개인용 컴퓨터 사이의 파일 전송과 비트-스트림 전송을 통해 테스트 되었다.

흡수성 차폐막의 치주조직 재생에 혈소판유래 성장인자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DGF-Loaded Biodegradable Membrane on Early Healing Stage in Guided Tissue Regeneration)

  • 류인철;배규현;설양조;구영;이승진;한수부;최상묵;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507-519
    • /
    • 1999
  • The ultimate objective of periodontal treatment is to stop disease progression and to regenerate destroyed periodontal tissues and thereby regain normal function. Growth factors are naturally found polypetides which stimulate many cellular activities pertaining to wound healing by acting as signal molecule in controlling cell movement, proliferation, and matrix production.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 is 28,000-35,000 Da molecular weight dimeric protein with 2 long positively charged polypeptide chains connected by sulfide bo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histologically the initial guided tissue regeneration in a periodontal defect f a beagle dog treated with a biodegradable membrane formed with polylactic acid (poly-L-lactic acid) and polyglycolic acid loaded with 200ng/$cm^2$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2 beagle dogs were used in he experiment. $5mm{\times}6mm$ alveolar bone defect was formed in upper and lower canines and third premolars and a reference notch was placed. PDGF-BB non-containing membrane was used as control. Each defect was randomly assigned to the test roup or the control group. The dogs were sacrificed 3 weeks after membrane placement. Toluidine blue and multiple staining was done for histological analysis. In the 3 week specimen in the control group, no new one formation could be seen. Small amount f bone resorption below the notch could be seen. In the notch, loose connective tissue with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could be seen. Also thin discontinuous new cementum could be seen and the membrane still retained its structure. Where PDGF-BB containing membrane was used, new bone formation could be seen in the notch at weeks and also continuous thin cementum could be seen. PDL cells were observed between new bone and new cementum and some were attached to bone and cement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w bone and cementum formation seen when PDGF-BB loaded membrane was used was due to inhibition of downgrowth of epithelial cells and also due to continuous release of the growth factor. Further study on the re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membrane nd the release characteristics of the PDGF-BB is necessary. Also, development of a membrane easier to use clinically is necessary.

  • PDF

불면환자의 수면의 질 척도, 우울척도, 한방진단시스템과의 연관성 연구(1) (Study on the Association of PSQI, IQ, BDI and DSOM in the Insomnia Patients(l))

  • 오경민;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9-119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Insomnia Questionaire(IQ),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Diagnos system of oriental medicine(DSOM) in the Insomnia Patients. Methods : For this study, we carried out PSQI, IQ, BDI and DSOM of 37 patients with insomnia who have come to Donguei oriental hospital of Donguei university from November 2008 to May 2009. And Using cross tabulation analysis, verified the association of PSQI, IQ, BDI and DSOM. Results : 1. The most Frequent Pathogenic Factor is blood-deficiency(血虛) in total patients. 2. The score of BD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eficiency of qi(氣虛), damp(濕), kdney(腎) in total patients. 3.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liver(肝) in total patients. 4.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and zp of insufficiency of Yin(陰虛), and the score of BD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blood stasis(血瘀) and zp of liver(肝) in female patients. 5.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eficiency of qi(氣虛) and zp of heart(心), and the score of IQ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liver(肝) in male patients. 6. The duration from onset in the group of 22-59years are longer than the group of 60-80 years and the duration of using hypnotics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otal sleep time in 22-59years group. 7.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liver(肝) in 22-59years group. 8.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BDI in 60-80years group. 9. The score of BD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eficiency of qi(氣虛) and zp of blood-deficiency(血虛), and the score of IQ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coldness(寒) in 60-80years group. 10. The score of IQ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and zp of dryness(燥) in below 6 Months Group. 11.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BDI in over 6 Months Group. 12.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liver(肝) in over 6 Months Group. 13. The score of IQ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ryness(燥) in BDI 2nd Grade Group. 14. The score of BD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kidney(腎) and the ag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heart(心) in BDI 3rd Grade Group. 15. The ag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amp(濕) in BDI 4th Grade Group. Conclusions :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complicated associations of the pattern of insomnia with depression and Diagnos system of oriental medicine. And especially this study showed apparent correlation between insomnia and depression in 60-80years group and over 6 months group.

  • PDF

일 고등학교 비만학생의 체지방 분포양상과 브로카지수와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Body Fat Distribution and the Broca Index of Obese Students in High Schools)

  • 김이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58-46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body fat distribution between obese boys and girls in high schoo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nt of body fat and the Broca Index. The survey of data was conducted from November 3rd to the 11th in 1997.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use of a mean, standard deviation and 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easurements of the percentage of body fat and lean body mass were made by a Bioelectrical Impedence while height, weigh and the Broca index were measured by a fatness measuring system. First, measurements of height, weight and the Broca index were made by a fatness measuring system on 1,125 1st year students and 1,076 2nd year students. The result of measurements, 216 obese boys and 100 obese girls appeared to have above 10% of the Broca index.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bese boys and girls were grouped by the level of the Broca index as follows: boys, 110-less than 120 60.0%, 120-less than 130 20.8%, 130-less than 140 11.1%, above 140 7.4%. ; girls, 110-less than 120 44.4%, 120-less than 130 32.0%, 130-less than 140 13.0%, above 140 11.0%. 2) Obese boys and girls were grouped by level of the percentage of body fat by Bioelectrical Impedence as follows: boys, less than 20% 5%, 20%-less than 25% 34.7%, above 25% 33.8% ; girls. less than 25% 15.0%, 25%-less than 30% 43.0%, above 30% 42.0%. 3) In obese boys the Broca index score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body weight(r = .741, p<.001), the percent of body fat(r=.604, p<.001), lean body mass(r=.375, p<.001), body fluid(r=.445, p<.001l).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 of body fat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lean body mass (r= -.074), body fluid(r= -.073). 4) In obese girls, the Broca index score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body weight(r= .693, p<.001), the percent of body fat(r=.645, p<.001), lean body mass(r=.531, p<.001), body fluid(r=.532, p<.01), and the percent of body weight score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lean body mass(r=.206, p<.01), body fluid(r=.207, p<.01).

  • PDF

내장산국립공원(內藏山國立公園)의 식물군집(植物群集) 및 이용행태(利用行態)에 관한 연구(硏究)(II) -이용객(利用客) 영향(影響) 및 행태(行態)- (Studies 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and Visitor's Activities in Mt. Naejang National Park(II) -User's Impact and Activity-)

  • 이경재;오구균;조재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4호
    • /
    • pp.401-413
    • /
    • 1988
  • 내장산국립공원 내장사지구의 이용객심리행태 및 환경에 대한 이용객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3개의 주요피크닉지역에서 설문조사와 순간밀도조사를, 주요통과지점에서 출입객 수 조사를 하였으며 환경영향은 실측조사를 하였다. 총탐방객 수는 1984년부터 100만명/연 수준으로 안정을 보이고 있었다. 환경영향은 등산로와 케이블카 종점부근, 전망대와 금선계곡간 사면에서 매우 심하였다. 봄철 피크시에는 약 5,000명, 가을 단풍철 피크시에는 약 53,000 명이 동시에 체류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총입장객 중 약20% 가금선 및 원적계곡을 이용하였고, 나머지 80%는 잔디광장, 케이블카만 이용하고 퇴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특성은 원거리형 국립공원형이었으며, 가을철 단풍구경이 주이용동기이었다. 이용면적증가에 따른 이용객의 만족도는 유의하게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직각회전방법에 의한 인자분석결과, 이용객의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제1인자는 주변경관에 관한 인자로 자연파괴, 혼잡도, 소음, 주변청결상태 순으로 부하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제2인자는 시설관리인자로서 화장실 수, 쓰레기통 수, 식수량, 안전성 순으로 부하되어 있었다.

  • PDF

임신 중 모체와 신생아 제대 혈청의 엽산과 비타민 $B_{12}$ 농도 변화 (A Change of Serum Folate and Vitamin $B_{12}$ Concentration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during Pregnancy)

  • 이금주;장혜미;안홍석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615-622
    • /
    • 2005
  • Folate and Vitamin $B_{12}$ are essential nutrients important during pregnanc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late and vitamin $B_{12}$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pregnant wome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umbilical cord serum folate and vitamin B12 levels and pregnancy outcomes. Dietary intakes of the pregnant women were estimated by 24 hour-recall (3 times). Serum folate and vitamin B12 levels in maternal blood and umbilical cord of 27 pregnant women at 1'st-, 2'nd-, 3'rd-trimester and delivery were measured by RIA (radioimmuno assay), respectively. Means of folate and vitamin $B_{12}$ intake were $283.53\pm58.01{\mu}g/day\;and\; 2.99\pm1.32mg/day$, respectively. Maternal mean serum folate levels of the trimester and delivery were $9.75\pm3.60ng/ml,\;10.46\pm4.63ng/ml,\;10.71\pm4.14ng/ml\;and\;15.05\pm7.04ng/ml$. Those materna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umbilical cord blood $(23.99\pm9.42ng/ml)$. Serum vitamin $B_{12}$ levels of maternal trimester and delivery were $479.07\pm137.56 pg/ml,\;310.96\pm137.56pg/ml,\;308.22\pm74.65pg/ml,\;and\;295.67\pm93.36pg/ml$,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umbilical cord blood $(500.13\pm185.60ng/ml)$.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uptake of folate and vitamin $B_{12}$ in the fetus may be due to an active placental transport mechanism. Maternal serum level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ose of umbilical cord blood, showing that folate and vitamin $B_{12}$ concentration of umbilical cord blood might be affected by maternal statu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folate levels in maternal-umbilical cord blood and the pregnancy outcomes. However, maternal vitamin $B_{12}$ level at l'st trimester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estational age except for birth weight and weight gain.

땅콩 단기개화성 선발 계통의 개화 및 결실 특성 (Flowering and Fruiting of Characteristics of Short Flowering Period Lines in Peanut)

  • 정영근;박기훈;두홍수;류점호;최선영;서득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37-442
    • /
    • 2002
  • 선발된 단기개화성 유전자원의 개화 특성 및 농업적 형질을 구명하여 협실의 균일도 향상에 의한 상품가치가 높은 땅콩을 육성하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기개화성 계통들의 출현기는 대광땅콩에 비하여 1-3일 빨랐으며, 개화기는 비슷하였으나, 개화기간은 대광땅콩이 52일인데 비하여 단기개화 계통들은 36-47일로써 5-16일이 짧았으며, 초형별로는 valencia type이 가장 짧았다. 2. 초형별 개화수는 virginia > spanish > valencia 순으로 적었으며, 40일 이하의 극단기개화 계통은 valencia type이 23%로 가장 많았다. 3. 초형별 차광에 따른 개화억제율은 대광땅콩의 63%에 비하여 valencia 43% > virginia 35% > spanish 10%순 이었으며, 농업적 형질별로 감소율은 valencia type이 가장 적었다. 4. 개화와 기상요인 상관정도는 온도와는 각 초형 공히 고도의 정의상관의 유의성이 있었으나, 일조시수와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5. 초형에 따른 절위별 자방병 분포비율은 저위절(제1절과 2절)에서 virginia 97%, spanish 88%, ㅍ미두챰 93%로 대광땅콩의 85%에 비하여 3-l2% 높았으며, 절위별 착협 분포비율은 저위절(제1절과 2절)에서 virginia 100%, spanish 95%, valencia 96%로 대광땅콩의 74%에 비하여 21-26%높았다. 6. 개화 후 일수에 따른 성숙협 비율은 대광땅콩에 비하여 단기개화 계통들이 평균 12-17% 높았으며, 단기개화 계통들의 각 형질과의 상관은 개화시와 개화일수, 개화일수와 성숙협 비율과는 고도의 부 상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