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_2O_2$ scavenging

검색결과 672건 처리시간 0.025초

이팝나무 잎으로부터 항산화 및 항갈변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Antioxidant and Antibrowning Substance from Chionanthus retusa Leaves)

  • 이영남;정창호;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19-1425
    • /
    • 2004
  • 본 연구는 이팝나무 잎의 용매분획물을 이용하여 DPPH 소거 작용, 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실험한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높은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MPLC를 이용하여 그 활성물질을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화합물은 $^1H$, $^{13}C$-NMR 및 2DNMR을 이용하여 luteolin-4'-O-glucoside로 구조동정을 하였다. 분리한 luteolin-4'-O-glucoside와 기존 항산화제와의 비교실험에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다. 순수하게 분리한 luteolin-4'-O-glucoside를 이용하여 tyrosinase 저해 활성도 농도 의존적이었으며, $IC_{50}$ 값은 23.2 ${\mu}g/mL$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luteolin-4'-O-glucoside는 식품첨가물로 항산화제로서의 활용도 및 미백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Antioxidant Activity of Talinum portulacifolium (Forssk) Leaf Extracts

  • Rao, Thalapaneni Nageswara;Kumarappan, Chidambaram;Lakshmi, Sabapathi Mohana;Mandal, Subhash C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8권4호
    • /
    • pp.329-338
    • /
    • 2008
  •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through, reducing power, 2, 2-diphenyl-1-picryl hydrazyl radical (DPPH), nitric oxide radical (NO), superoxide radical, hydrogen peroxide radical ($H_2O_2$) scavenging activity and the amou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of chloroform, ethyl acetate, methanol and aqueous extracts of the leaves of Talinum portulacifolium. Chloroform extract of leaves of T. portulacifolium showed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ith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and concentration of extracts ($15-240\;{\mu}g/mL$). Among all the extracts, the highest amount of the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was found in the chloroform extract. Chloroform extract of T. portulacifolium showed an importa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wards the DPPH, NO, Superoxide and $H_2O_2$ radicals, with $IC_{50}$ values of 133.26, 165.75, 156.34 and $135.29\;{\mu}g/mL$, respectively. In the lipid peroxidation assay, extracts of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showed a remarkable inhibitory activity. The extracts showed significant activity in all the experiments but lower than the standard antioxidant, ascorbic acid.

양강추출물의 활성산소종 유도 세포독성과 DNA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 (Protection of ROS-induced cytotoxicity and DNA damage by the extract of Alpinia of ficinarum)

  • 이승철;신경승;허문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6-116
    • /
    • 2002
  • 양강추출물 (Alpinia officinarum, 70% ethanol extract)과 함유 주성분인 galangirn은 프리라디칼소거작용과 지질과산화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H_2O$$_2$ 또는 KO$_2$유도 세포독성에 대해서도 억제적으로 작용하여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DNA single strand breakage와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서도 보호작용을 하고 있다. 또한, 마우스 소핵시험에 의하여 adriamycin과 같은 superoxide 우발물질에 의한 염색체 수준에서의 손상에 대해서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양강추출물은 galangin을 유효성분으로하여 산소프리라디칼들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억제적으로 작용하는 기전으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노화, 암예방제로서의 응용가능성이 높은 추출물로서 향후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응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버섯균사체 발효 뽕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Leaves Extract Fermented by Hericium erinaceum)

  • 강정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25-103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뽕잎(Morus alba)을 노루궁뎅이 버섯균사체(Hericium erinaceum)로 발효시킨 열수 추출물(MA-HE)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MA-HE의 항산화 활성을 DPPH radical,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500{\mu}g/mL$ 농도에서 61.73%,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250{\mu}g/mL$ 농도에서 97.39%로 나타났다. MA-HE은 DNA의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생체고분자물질인 사람의 혈청단백질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였다. 세포에 $H_2O_2$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에 비하여 발효물을 $100{\mu}g/mL$ 농도로 전 처리한 세포생존율은 8% 증가했으며, 발효물을 $5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경우 세포 내 활성산소의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MA-HE이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작용도 뛰어난 것으로 사료되었다.

Ethanol Induces Autophagy Regulated by Mitochondrial ROS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Jing, Hongjuan;Liu, Huanhuan;Zhang, Lu;Gao, Jie;Song, Haoran;Tan, Xiaor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2호
    • /
    • pp.1982-1991
    • /
    • 2018
  • Ethanol accumulation inhibited the growth of Saccharomyces cerevisiae during wine fermentation. Autophagy and the release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ere also induced under ethanol stress.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autophagy and ethanol stress was still unclear. In this study, expression of the autophagy genes ATG1 and ATG8 and the production of ROS under ethanol treatment in yeast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ethanol stress very significantly induced expression of the ATG1 and ATG8 genes and the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H_2O_2$) and superoxide anion (${O_2}^{{\cdot}_-}$). Moreover, the atg1 and atg8 mutants aggregated more $H_2O_2$ and ${O_2}^{{\cdot}_-}$ than the wild-type yeast. In addition, inhibitors of the ROS scavenging enzyme induced expression of the ATG1 and ATG8 genes by increasing the levels of $H_2O_2$ and ${O_2}^{{\cdot}_-}$. In contrast, glutathione (GSH) and N-acetylcystine (NAC) decreased ATG1 and ATG8 expression by reducing $H_2O_2$ and ${O_2}^{{\cdot}_-}$ production. Rapamycin and 3-methyladenine also caused an obvious change in autophagy levels and simultaneously altered the release of $H_2O_2$ and ${O_2}^{{\cdot}_-}$. Finally, inhibitors of the mitochondrial electron transport chain (mtETC) increased the production of $H_2O_2$ and ${O_2}^{{\cdot}_-}$ and also promoted expression levels of the ATG1 and ATG8 genes. In conclusion, ethanol stress induced autophagy which was regulated by $H_2O_2$ and ${O_2}^{{\cdot}_-}$ derived from mtETC, and in turn, the autophagy contributed to the elimination $H_2O_2$ and ${O_2}^{{\cdot}_-}$.

상황버섯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효과 (Chemical Compounds and Biological Activity of Phellinus baumii)

  • 손미예;서권일;최선영;성낙주;이상원;박석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24-529
    • /
    • 2006
  • 상황버섯의 활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황버섯의 화학성분과 그 추출물의 과산화수소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상황버섯의 총 무기질 함량은 534.3 mg%였으며, K는 224 mg%로 가장 높았고, 총당과 환원당은 각각 56.2%와 9.8%였다.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16.9{\sim}765.5mg%$범위였으며,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phenyl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serine 및 valine이었는데, 그 중에서 phenylalanine의 함량이 765.5 mg%로 가장 높았다. 상황버섯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은 각각 33.3 mg/100 mL와 20.7 mg/100 mL로서, 다른 용매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H_2O_2$ 소거효과는 methanol 추출물 10 ${\mu}g/mL$에서 30분간 반응하였을 때 80%를 나타내어 대조구인 tocopherol 83.1%와 비슷하였다.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낮은 pH에서 높았으며, pH 1.2에서 물과 methanol추출물 500 mg/mL은 각각 57.3%와 51.8%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상황버섯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H_2O_2$와 아질산염 소거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효소처리에 의한 천도복숭아 음료의 기능성 증진 (Effect of Enzyme Treatment on Functional Properties of Nectarine Beverage)

  • 윤선주;이은탁;조준구;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379-138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효소 처리에 의하여 제조한 천도복숭아 주스에 함유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조구의 경우와 cellulase만을 처리한 처리구의 경우 각각 0.146 mg/mL, 0.148 mg/mL로 유사하였으나 pectinase만을 처리한 처리구와 pectinase와 cellulase를 혼합하여 처리한 처리구의 경우 각각 0.167 mg/mL와 0.171 mg/mL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작용, 즉 전자공여능(DPPH) 조사한 결과는 효소 처리구들이 대조구의 13.42%보다 높은 28.98% 이상으로 2배 이상의 활성을 나타나 효소처리에 의해 제조된 천도복숭아 주스가 열수추출에 의해 제조된 주스보다 높은 항산화기능이 유지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가 있었다. pH 조건별 아질산염 소거 효과를 비교하여 본 결과 대조구의 경우에서는 아질산염 소거능이 pH 1.2에서 약 79%로 나타났으나 효소 처리구들은 90%를 이상의 결과들을 보였으며, pH 3.0, pH 4.0, pH 6.0에서도 대조구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천도복숭아를 이용하여 제조한 주스의 유리아미노산 분석결과 aspartic acid, serine, alanine, GABA, glutamic acid가 총 유리아미노산 검출양의 86.71%에서 94.14% 범위로 대부분의 유리아미노산을 구성하는 것으로 검출되었으며, ornithine과 taurine 또한 검출이 되었다. 각종 무기원소 함량 조사의 결과는 질소성분(T-N)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효소처리구가 다소 높게 나왔으며, 인성분($P_2O_5$)의 경우는 대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칼슘성분(CaO)의 경우 45 mg/L 이상의 마그네슘성분(MgO)의 경우에서는 85 mg/L 이상의 농도를 보여 역시 높은 함유율을 보였으며, 칼륨성분($K_2O$)의 경우에서는 2,133 mg/L 이상의 농도를 보여 역시 상당히 높은 함유율을 보였다.

강황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C2C12 Myoblasts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Protective Effects of Hot Water Extract from Curcuma longa L. on Oxidative Stress-Induced C2C12 Myoblasts)

  • 정혜진;김신태;박정진;김기홍;김경미;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408-141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강황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강황 열수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474.4{\pm}31.9mg$ GAE/100 g 및 $892.1{\pm}21.2mg$ CE/100 g으로 나타났다. 강황 열수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은 DPPH 및 ABTS 라디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SC_{50}$ 값으로 계산하였을 때 각각 $188.5{\pm}3.0{\mu}g/mL$$92.0{\pm}0.9{\mu}g/mL$로 나타났다. 이러한 라디칼 소거능에는 강황 열수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C2C12 myoblast에 강황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1,000{\mu}g/mL$ 농도까지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안전성이 확인된 $500{\mu}g/mL$ 농도까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강황 열수 추출물의 $H_2O_2$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강황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보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_2O_2$ 처리 후 DCF-DA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수준을 측정한 결과 강황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 내 ROS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강황 열수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으며, C2C12 myoblast에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Oxidative DNA 손상에 대한 Quercetin 및 그 배당체들의 유전독성억제효과와 작용기전 (Antigenotoxicity and Action Mechanism of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 김수희;허문영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6-121
    • /
    • 1999
  •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showed a strong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to DPPH radical generation. However, there were not big differences between quercetin aglycone and glycosides under experimental condition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quercetin had pro-oxidant effect in bleomycin-dependent DNA assay. Quercetin aglycone and its glycosides, quercitrin inhibited $H_2$$O_2$- induced DNA damage in CHL cells. They also have an anticlastogenicity toward DNA breakage agent by radical generation like bleomyc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quercetin aglycone and its glycosides are capable of protecting the free radical generation induc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like $H_2$$O_2$. The mechanism of inhibition in hydrogen peroxide-induced genotoxicity may be due to their free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Therefore, quercetin aglycone and its glycosides may be useful chemopreventive agents by protecting of free radical generation which are involved in carcinogenesis and aging. However,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must also carefully examined for pro-oxidant properties before being proposed for use in vivo.

  • PDF

Synthesis and Biological Studies of Novel Biphenyl-3,5-dihydro-2H-thiazolopyrimidines Derivatives

  • Maddila, S.;Damu, G.L.V.;Oseghe, E.O.;Abafe, O.A.;Rao, C. Venakata;Lavanya, P.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34-340
    • /
    • 2012
  • A new series of ethyl 2-(4-substitutedbenzylidene)-5-(3'-(ethoxycarbonyl)biphenyl-4-yl)-7-methyl-3-oxo-3,5-dihydro-2H-thiazolo[3,2-a]pyrimidine-6-carboxylate derivatives ($\mathbf{8a-j}$) were synthesized. The newly synthesized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by $\mathbf{IR}$, $^1\mathbf{H}$ $\mathbf{NMR}$, $^{13}\mathbf{C}$ $\mathbf{NMR}$, $\mathbf{LCMS}$ $\mathbf{mass}$ and $\mathbf{C}$, $\mathbf{H}$, $\mathbf{N}$ analyses. All newly synthesized compounds were screened for their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Scavenging of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of nitric oxide radical,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antibacterial (Escheria coli, Pseudonmonas aeruginosa (gram-negative bacteria), Bacillus subtillis, Staphylococcus aureus (gram-positive bacteria)) and antifungal (Candida albicans Aspergillus nige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