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th}$ graders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3초

완주군 초등학생들의 건강행위 조사 (A Survey Research on Health Care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영숙;문영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5-53
    • /
    • 1996
  • The objective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to strengthen the ability and willingness of individuals in the course of each stage of their lives to take action in support of their health and that of their families and communities in the home, the place of work and the school, and during recre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need of school health promotion through health care behavior survey about diet, accident prevention, cigarette smoking experience, personal hygiene, visual impairment prevention, exercise, and environment prote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14 students composed of Samrye, Bongdong, Samrye-Dong, Iseo, and Songkwang elementary school in Wanju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aire corre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had been developed by WHO, ‘Health behavior in school children’. These were carried out from March 20 to April 20, 1996.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χ²-test with SPSS-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et related behavior 1) Girl students eat less breakfast than male students. 2) Girl students eat less 3 times a day than male students. 3) The rate of eating nutritious medicine was high in order of 4th, 6th, and 5th graders. 4) Girl students drink less milk than male students. 5) The intake frequency of eating between meals was high in order of 6th, 5th, and 4th grader. 2. Cigarette smoking behavior 1) The rate of cigarette smoking rarely was high in 5th grader. 2) Male students smoke cigarette more than girl students. 3. Personal hygiene related behavior 1) The rate of washing hands after using toilet room was low in order of 4th, 5th, and 6th graders. 2) The rate of washing hands after using toilet room was low in male students. 3) The rate of washing hands when entering home from outdoor was low in male students. 4)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before going to bed was low in male students. 5)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was low in male students. 6) The rate of bathing was most low in 4th grader. 7) The rate of bathing was low in male students. 4. Visual impairment preventive behavior 1) The distance between eyes and book was near in order of 6th, 5th, and 4th graders. 5. Exercise 1) The exercise time in school was less in 4th grader. 2) The exercise time in school was less in girl students. 3) The exercise time out of school was less in 4th grader. 4) The exercise time out of school was less in girl students. 5) The self evaluation score about exercise ability was low in girl students. 6. Environment related behavior D The rate of collecting waste separately in school was most low in 4th grader.

  • PDF

확률논리와 조합논리 미형성 학생의 논리지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 of Logical Thinking Students with Non-formation in Probabilistic Reasoning and Combinational Reasoning)

  • 김영신;박애련;임수민;정재훈;김수완;송하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69-76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확률 논리와 조합 논리가 형성되지 않은 학생들에게 논리 지도를 위한 최적의 시기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논리의 형성정도를 사전에 검사하였다. 검사도구는 GALT를 참고하여 개발하였고, 이는 과학 교육 전문가에게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처리 프로그램은 두 가지 논리가 모두 형성되지 않은 각 학년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는 바둑돌과 카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검사도구이다. 4주 뒤 사후검사에서 확률논리와 조합논리의 발달정도를 알아보는 검사를 다시 수행하였고 그 변화는 확인되었다. 확률논리의 경우 4, 5, 6학년에서 형성율이 각각 15%, 25%, 40% 증가하였고, 평균도 .15, .30, .50 증가하였다. T-검증에 의한 의미있는 결과는 6학년 중에서 얻어졌다. 그러나 과도기 학생 비율(21.7%)를 제외하면 형성 학생의 비율은 5.0%로 여전히 저조하였고, 다수의 학생(73.3%)은 미형성 상태를 유지하였다. 조합논리의 경우 4, 5, 6학년에서 형성율이 각각 20%, 25%, 63.2% 증가하였고, 평균도 .20, .25, .63 증가하였다. T-검증에 의한 의미있는 결과는 역시 6학년 중에서 얻어졌다. 그러나 처치 후 논리 형성 학생으로의 전이는 없었으며, 과도기 학생의 비율만 35% 증가하였다. 위의 연구결과, 확률논리와 조합논리가 형성되지 않은 학생들은 학습을 통한 향상은 이루어 졌지만, 인지발달과 같은 질적인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로 인하여 확률논리와 조합논리의 학습 효과가 큰 6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 개선을 위한 여러 분야에서의 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PDF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유 탐구보고서에 나타난 변인의 유형 (The Nature of Variables Represented in the Titles of 7th Graders' Inquiry Report)

  • 김재우;오원근;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97-301
    • /
    • 1998
  • 학생들이 무엇을 탐구로 생각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들이 여름 방학 과제로 제출한 자유 탐구보고서의 제목을 분석하였고 제목 속에 종속 변인과 독립 변인이 포함되어 있느냐 하는 것과 변인들의 성질(범주형, 연속형)을 준거로 탐구 보고서 제목을 9가지 유형을 나눌 수 있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중학교 1학년 4개 학급 141명으로 남녀 혼성이다. 이러한 유형들의 빈도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보고서 제목에 변인을 명확하게 기술하지 않으며, 변인을 기술한 학생들도 주로 범주형의 변인만을 기술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의 영어 형태소 도입 순위와 자연적 순서 가설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roduction order of English morphemes in the English textbook for the 7th graders and the natural order hypothesis)

  • 송해성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1호
    • /
    • pp.131-15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roduction order of 9 English morphemes in the English textbook used in the middle school and the learning order of the morphemes by the 7th graders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he subjects are 139 students in two middle schools, who learn English with different textbooks. The introduction order of each morpheme in two textbooks was examined according to its quantity and frequency. Data on the real learning order were collected through the written SLOPE test, and each morpheme was ranked by its group score. The introduction order of each morpheme in the textbook and the real learning order were analyzed by Spearman rank order correlation. It was shown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was very low. This means that those textbooks do not take the learning order of English morphemes into account. Also it was shown that in the earlier stage of learning English the introduction order of each morpheme in the textbook had much influence on its learning order, but in the later stage such influence reduced gradually. This means that the learning order of English morphemes approaches the natural order as time passes by.

  • PDF

초등수학에서 교구의 활용에 대한 선행연구물의 활용 방안 (An Effective Approach to Utilize Prior Studies Based on Using Teaching Tools)

  • 김해규;박선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79-205
    • /
    • 2006
  • 제 7 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여 이에 대한 실천 방안으로 활동중심 교육과정의 전개를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활동중심의 수업에서는 교구를 활용한 수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교구를 활용하여 초등수학 수업을 개선하려는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초등교사가 수업시간에 적절하게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들이 교구를 활용한 초등수학교육 관련 선행연구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 7 차 교육과정 $4{\cdot}5{\cdot}6$단계 수학교과서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교수 학습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CRESST 형성평가 프로그램(PowerSource(c))의 효과성 - 중학교 1학년 대수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Formative Assessment Program in CRESST Focused on the Algebra Domain in the 7th Grade)

  • 최승현;황혜정;류현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43-262
    • /
    • 2010
  • 미 연방정부 교육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고 있는 평가 기준 검사 전문연구센터인 CRESST(The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ent Testing at UCLA)에서는 지속적인 형성평가 실시에 따른 결과 반영을 통하여 교사의 수업 개선과 학생의 내용 숙달을 지원하고, 투입한 형성평가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5년 일정(2007년~2011년)의 장기적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이를 위하여, 일차년도인 2007년에 대수 영역의 내용을 중심으로 중학교 1학년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자료를 그 해 7월부터 우리나라와 공유하면서 본격적으로 공동 연구가 착수되었다. 이차년도인 2008년도에는, 2009년의 본 연구에 앞서 사전적 의미에서의 연구가 실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CRESST의 PowerSource(c) 프로그램을 토대로,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수 영역 성취도를 분석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활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반응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PDF

중학교 1학년 수학교실에서의 배움공동체 교수·학습 방법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Teaching Based on a Learning-communities Approach to Mathematics in Middle School)

  • 김선혜;이봉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17-439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수학교실에 도입한 배움공동체 교수 학습 방법의 효과를 수학성취도와 수학에 대한 태도의 두 측면에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로 다른 중학교 1학년 각각 1개 학급을 선정한 후에 한 학기 동안 각각 배움공동체 교수 학습 방법과 교과서 기반 설명식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성취도는 두 교수 학습 방법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학에 대한 태도는 배움공동체 교수 학습 방법으로 학습한 학생이 교과서 기반 설명식 교수 학습 방법으로 학습한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에 대한 태도의 7가지 하위 영역 중에서 수학에 대한 호기심, 과제집착력과 의지, 창의적 사고, 수학 수업 참여 등의 4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원기둥을 이용한 중학생의 공간기하 이해 능력 분석 (An analysis on middle school students' space geometrical thinking based on cylinder)

  • 장현석;홍정애;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2호
    • /
    • pp.113-130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원기둥으로 중학생의 공간기하에 대한 이해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중학교 43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그 응답 사례를 토대로 면담하였다. 학년과 성별에 따른 문항 정답률의 차이를 검증하고, 공간추론 능력 평가 문항에 대한 학생의 응답을 바탕으로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다.

초등 6학년의 학교 통계와 통계적 소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chool Statistics and Statistical Literacy of 6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 임다미;박영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91-4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확률과 통계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진단하고 통계적 소양과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래서 통계적 소양의 이론적 틀을 분석하고, 교과서 내용과 연관되는 요소를 찾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확률과 통계의 내용에 대한 성취 정도와 통계적 소양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 6학년의 통계적 소양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보완해야 될 요소를 알아보았다.

  • PDF

중학생의 우울 및 공격성과 DAS반응특성과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among Depression, Aggression and Draw-a-Stor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 손현숙;김갑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405-41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the use possibility of DAS as a depression assessment tool for middle school students by finding out their depression tendency and DAS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I have found out explored the differences between depression and aggression of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accordance with sex and grade, and also found a relationship between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0 middle school students in Pusan and Kyungnam, and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Silver's Draw-a-Story and Beck's depression scale and aggression scale. The results were analyzed two-way ANOVA analysis,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crosstab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epression level of the 9th grad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7th grade students. And the aggression level of males was higher than in females, and higher in 8th graders than in 7th graders. The emotion content scores and the self-image scores were related to depression and aggression. So when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were high, the emotional response of DAS and the self-image response were negative. Through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DAS has the power of discrimination as a tool measuring depression state and that DAS is meaningful because it showed it can be used as a tool for estimating the level of depression state of school students in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