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glucosidase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34초

유산균의 장내환경개선효과 (Isolation of bifidobacteria inhibiting harmful enzymes of Korean intestinal bacteria)

  • 김동현;송미정;김숙희;박혜영;이영경;배은아;한명주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41-57
    • /
    • 1998
  • Five hundreds of bifidobacteria were isolated from an healthy Korean and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se isolated bacteria on harmful enzymes of human intestinal microflora were examined by cocultivation of the isolated bifidobacteria with E. coli HGU-3 or total human intestinal microflora.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E. coli or intestinal microflora cultivation, Bifidobacterium breave K-110, B. breve K-111 and B. infantis K-525 effectively inhibited harmful enzymes (${\beta}-glucuronidase$ and tryptophanase) of E. coli and lowered the pH of the culture media. Also they inhibited the harmful enzymes (${\beta}-glucosidase$, ${\beta}-glucuronidase$, tryptophanase and urease) and ammonia produc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and lowered pH of the culture media by increasing the number of bifidobateria on intestinal microflora. The inhibitory effect of bifidobacteria on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and Rotavirus infection were exammed. Bifidobacterium K-110 and K-111 inhibited effectively them. When these isolated bifidobacteria were administered to mice, the activities of fecal harmful enzymes were inhibited and the AC and ACF formation were suppressed. Among tested bifidobacteria, B. breve K-110 had high inhibitory effect of fecal harmful enzymes and ACF formation.

  • PDF

Cellulase Production in the Digestive Organs of Reticulitermes speratus, a Native Termite from Milyang, Korea

  • Lee, Young-Min;Kim, Yoon-Hee;Cho, Moon-Jung;Shin, Keum;Kim, Y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5호
    • /
    • pp.421-428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on enzyme production in the digestive organs of the native termite (Reticulitermes speratus) in Milyang, Korea. Four types of major cellulases [EG (endo-1,4-${\beta}$-glucanase), BGL (${\beta}$-glucosidase), CBH (cellobiohydrolase) and BXL (${\beta}$-1,4-xylosidase)] were present in the digestive organs of the termite. The strong enzyme activity for BGL was found from the native termite, and also shown that the enzyme was distributed in the salivary gland, foregut, and hindgut. BXL, which breaks down hemicellulose near the amorphous region, was detected mainly from salivary gland, foregut, and midgut. However, CBH was distributed mainly in the hindgut. Meanwhile, EG which degrades cellulose, was found mainly in the hindgut and salivary glands. These facts indicate that celluases production patterns are differ from different sites compare to the same species found in Japan, suggesting that enzyme production in the digestive organs of termites is changed according to their habitats.

Inhibitory Effects of Bifidobacterium spp. Isolated from a Healthy Korean on Harmful Enzymes of Human Intestinal Microflora

  • Park, Hye-Young;Bae, Eun-Ah;Han, Myung-Joo;Choi, Eung-Chil;Kim, Dong-Hy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54-61
    • /
    • 1998
  • Five hundreds of bifidobacteria were isolated from a healthy Korean and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se isloated bacteria on harmful enzymes of human intestinal microflora were examined by cocultivation of the isolated bifidobacteria with E. coli or total human intestinal microflora.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E. coli or intestinal microflora cultivation, Bifidobacterium breve K-110, B. breve K-111 and B. infantis K-525 effectively inhibited harmful enzymes ($\beta$-glucuronidase and tryptophanase) of E. coli and lowered the pH of the culture media. Also they inhibited the harmful enzymes ($\beta$-glucosidase, $\beta$-glucuronidase, tryptophanase and urease) and ammonia produc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and lowered pH of the culture media by increasing lactic acid bacteria of intestinal microflora. When these isolated bifidobacteria were administered on mice, fecal harmful enzymes were also inhibited. Among tested bifidobacteria, B. breve K-110 ha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f fecal harmful enzymes.

  • PDF

Lactobacillus 분리균주의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가능성 검토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us Isolates)

  • 방지훈;신화진;최혜정;김동완;안철수;정영기;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51-258
    • /
    • 2012
  • 본 연구는 동물의 분변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 특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생리생화학적 특성과 16S 리보솜 DNA 분석 결과 BCNU 9041, 9042는 Lactobacillus brevis와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를 대상으로 기초적인 안전성 실험을 시행한 결과, 이들 균주는 용혈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beta}$-glucosidase, ${\beta}$-glucuronidase, tryptophanase 및 urease와 같은 유해한 생성물을 생성하지 않는 안전한 생물자 원임이 확인되었다. BCNU 9041 및 9042은 pH 2.5의 산성 조건 및 담즙에서(0.3, 0.6, 1%의 oxgall이 포함된 MRS broth) 높은 생존률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식중독 원인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및 Shigella sonnei 에 대한 항균활성이 뛰어났다. 또한 BCNU 9041, BCNU 9042은 92-95%의 높은 소수성과 BSH (bile salt hydrolytic) 활성 및 cholesterol 흡수력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바이오틱로서의 우수한 기능성을 가진 BCNU 9041와 BCNU 9042의 기능성 식품 및 건강관련 제품으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천연 색소인 안토시아니딘 기반의 인쇄형 시간-온도이력 지시계 개발 (A Novel Printable Time-temperature Integrator with Anthocyanidin, a Natural Coloring Matter)

  • 장한동;양정화;김도현;안명현;한서현;이승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9-56
    • /
    • 2018
  • 인쇄형 TTI의 잉크로 천연물질인 안토시아닌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인쇄형 TTI를 제작하여 색 변화를 확인하였다. 안토시아닌은 반응속도가 느려 TTI에 적용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beta}$-글루코시다아제를 이용하여 안토시아닌의 탈당화를 유도하여 보다 불안정한 안토시아니딘 잉크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인쇄형 TTI로 제작이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인쇄적성을 확인하고 적용가능한 식품군을 탐색하였다. 실험결과, 인쇄적성의 경우, 틱소트로피의 히스테리시스 성질을 나타내어 인쇄적성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색 변화의 경우, 같은 온도와 pH 조건 하에서 안토시아닌 TTI의 색 변화 속도보다 안토시아니딘 TTI의 색 변화속도가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안토시아닌 인쇄형 TTI의 활성화 에너지는 65.21 kJ/mol, 안토시아니딘 인쇄형 TTI의 활성화 에너지는 86.92 kJ/mol로 확인되었다. 이는 ${\beta}$-글루코시다아제를 처리한 안토시아닌의 탈당화가 안토시아닌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할 뿐만 아니라, 활성화 에너지도 증가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TTI의 활성화 에너지와 식품의 활성화 에너지를 비교한 결과, 안토시아닌 TTI는 냉장 육제품에 한정적으로 적용 가능하였다. 반면에 안토시아니딘 TTI는 냉장 육제품과 냉장 어류에 적용 가능하였다. 하지만, 안토시아닌 TTI는 색 변화 종말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냉장 육제품에 적용이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안토시아니딘 TTI의 경우, 색 변화 종말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냉장 육제품과 냉장 어류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성스테로이드 호르몬과 해산 태생 경골어류의 성분화

  • 권준영;한형균;임한규;김대중;이찬희;권혁추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4년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요지집
    • /
    • pp.355-355
    • /
    • 2004
  • 난생 경골어류의 성분화는 내인성 및 외인성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해산 태생 경골어류의 성분화 과정에서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작용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유용 양식어종의 하나인 해산 태생어류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를 대상으로 이 종의 성분화에 미치는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조피볼락은 출산후 일령 45일 전후의 성이 미분화한 개체들이었다. 실험어는 3개 실험군으로 나누어 (각각 3반복), 1개월간 각각 estradiol-l7${\beta}$ 또는 methyltestosterone을 처리하였고, 하나의 실험군은 호르몬 처리를 하지 않았다 처리기간 동안에는 각 실험군으로부터 무작위 sampling을 실시하여, 호르몬 처리에 따른 체내 성스테로이드 호르몬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각 실험군의생식소 분화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은 diethylether로 추출한후, rndioirmmunoassay 방법 (RIA)으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대조구의 실험어는 1:1의 자연성비에 부합하는 성분화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estradiol-17${\beta}$ 처리구는 자성화, methyltestosterone 처리구는 웅성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성분화 shift는 외부에서 투여한 호르몬이 실재 내부호르몬양의 변화를 초래하여 이루어졌음이 RIA 분석에 의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산 태생 경골어류의 성분화 역시 성스테로이 드호르몬의 작용에 의하여 매개 또는 조절되어진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하지만 태생어류에서 이 호르몬의 실질적 작용 메카니즘 및 명확한 작용시기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요구되어 진다.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적(最適) 온도(溫度)는 $30^{\circ}C$, avicelase와 ${\beta}-glucosidase$의 최적(最適) pH는 5.0, CMCase는 pH 5.5 이었으며, 균사(菌絲) 생육(生育)은 pH 5.0에서 양호(良好)하였다. 배양(培養) 기간(期間)은 avicelase가 8일(日), CMCase가 10일(日), ${\beta}-glucosidase$는 16 일간(日間) 배양(培養)하였을 때 최대치(最大値)를 보였고, 균사(菌絲) 생육(生育)은 12일(日) 배양(培養)했을 때 가장 양호(良好)하였다.가한 반면, 중국인들은 고소한 향의 강도, 고소한 향의 기호도, 전체적인 맛에서 뚜렷하게 일본참기름을 우수하게 평가하였다.s의 항체(抗體)로 반응(反應)시킨 후 protein-A gold(15 nm)로 표식(標識)시킨 바 제일 바깥 상층(上層)의 keratinocyte에 있어서 세포막표면(細胞膜表面)을 따라 표식(標識)되어 세포막항원(細胞膜抗元)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소견(所見)으로 미루어 정상피부(正常皮膚) 중층편평상피세포(重層扁平上皮細胞)에서도 동일(同一)한 소견(所見)을 관찰(觀察)할 수 있다고 본다.al remnants, Resorption of fetus로 관찰된 것이다. Fetal death는 수정후 $14{\sim}18$일까지의 사망으로써 Maceration of fetus로 관찰되는 것이다. 통계학적 분석은 각 Group의 착상 을과 자궁 내 사망 율을 산출할 때에는 각 임신마우스에 따라 발생빈도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통계처리에는 Non parametric 검정인 Kluskal Wallis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개체 Level 영향인 착상을, 태아사망,

  • PDF

식품용 프로바이오틱 비스루트균의 주요 생균제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for Oral Bacteriotherapy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 백현동;정민용;정황영;김원석;김기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3-7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식품용 프로바이토틱 생균인 비스루트균의 인공위액과 인공담즙산에 대한 내성, 효소활성, 항생물질과 알콜에 대한 내성, 그리고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기작 등 주요 생균제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인공위액 내성 실험에서는 pH 2.5로 조성된 인공위액을 통과한 생존율이 매우 높았으며 균수가 $2.4{\times}10^7\;CFU/mL$의 수준이었다. 인공담즙산에 대한 내성에서는 pH 2.5의 인공위액을 통과한 비스루트균의 인공담즙산의 내성은 oxgall이 함유되지 않은 대조구$(1.6{\times}10^7\;CFU/mL)$에 비해 오히려 균수가 증가되었으며, 최종적인 생존수가 $3.3{\times}10^7\;CFU/mL$ 으로 확인됨으로써 프로바이오틱 생균으로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비스루트균은 발암효소인 ${\beta}-glucuronidase$${\beta}-glucosidase$ 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은 rifamycin $10\;{\mu}g/mL$ 이상의 농도에 대해서는 생육 저해를 보였으나, $nisin(100\;{\mu}g/mL)$, $streptomycin(20\;{\mu}g/mL)$, $tetracycline(20\;{\mu}g/mL)$에 대해 내성을 보였다. 그리고 비스루트균의 알콜에 대한 내성은 4%의 농도에서 저해를 받았으며, 8%의 농도에서 더욱 저해를 받으나, $8{\sim}32%$ 범위의 농도에서는 균수가 더욱 크게 감소를 하지는 않았다. Listeria에 대한 향균기작을 측정한 결과, 24시간이내에 L. monocytogenes ATCC 19111을 완전히 저해를 하였으며, bactericidal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비스루트균의 프로바이오틱 특성은 기능성 식품의 개발 등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국내산 침엽수 목분의 진탕배양에서 나타난 Fomitopsis palustris의 효소 활성 및 셀룰로오스 분해 (Enzyme Activities and Cellulose Degradation of Domestic Softwoods in Shaking Culture of Fomitopsis palustris)

  • 최두열;이영민;김영균;윤정준;김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91-99
    • /
    • 2007
  • 소나무,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등 국내산 침엽수 목분을 기질로 진탕배양했을 때 갈색부후균인 Fomitopsis palustris로부터 분비된 당 분해성 균체 외 효소는 Endoglucanase (EG), $\beta$-glucosidase (BGL) 및 $\beta$-1,4-xylosidase (BXL)와 함께 결정형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Cellobiohydrolase (CBH)도 활성을 갖은 것으로 나타났다. 4주간 배양에서 변재는 심재에 비해 큰 효소활성을 나타냈으나, 배양기간을 증가시킴으로써 효소활성이 커지는 것으로 밝혀져 효소에 의한 목질바이오매스 분해의 경우 심변재 혼합처리도 가능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그리고, 균체 의 단백질을 SDS-PAGE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수종에서 나타나는 효소의 단백질 패턴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효소를 이용한 목질계 바이오매스 분해의 경구 수종별 혼합처리도 가능함이 시사되었다. F. palustris에 의해 분해된 목분(60 mesh 통과) 셀룰로오스의 결정화도 감소율은 4주 배양에서 약 4.2~20.4%, 8주 배양에서 약 12.9~28.9% 수준으로 나타났다.

북구 이탄습지의 생지화학적 반응에 있어서 체외효소의 중요성-미량기체 발생량 및 용존유기탄소 동태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Importance of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in Northern Peatland Biogeochemistry-Possible Coupling with Trace Gas Emission and DOC Dynamics)

  • ;박석순;강호정
    • 생태와환경
    • /
    • 제39권4호통권118호
    • /
    • pp.435-444
    • /
    • 2006
  • 세 종류의 이탄습지 (bog, fen, swamp)에서 탄수유기물 분해에 관여하는 일군의 체외 효소 활성도. 미량 기체 ($CO_2$$N_2O$), DOC 변화 등을 12개월에 걸쳐 측정하였다 ${\beta}-glucosidase$, cellobiohydrolase, ${\beta}-xylosidase$, N-acetylglucosaminidase 등이 각각 $0.008-0.066\;{\mu}mole\;g^{-1}\;min^{-1}$, $0.003-0.021\;{\mu}mole\;g^{-1}\;min^{-1}$, $0.003-0.016\;{\mu}mole\;g^{-1}\;min^{-1}$, $0.004-0.047\;{\mu}mole\;g^{-1}\;min^{-1}$ 범위의 활성도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swamp에서의 활성도가 가장 높았고, fen과 bog의 순서로 나타났다. 세 종류 습지의 자료를 모두 합쳤을 때, 효소의 활성도는 미량 기체의 발생량이나 가용한 탄소의 양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4가지 효소 활성도의 평균값은 미량기체와 가용한 탄소량의 변화에 있어서 20-40% 정도의 변이를 설명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 비추어, 유기탄소 무기화에 관여하는 효소는 북구 이탄습지에서 미량기체 발생과 DOC 동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묵은지 스타터 Lactobacillus curvatus ML17의 생균제적 특성 및 기능성 조사 (Characterization of Probiotic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Lactobacillus curvatus ML17, a Mukeunji Starter)

  • 김효주;성혜미;신현경;김기명;양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009-1016
    • /
    • 2014
  • 묵은지 스타터로 개발된 Lb. curvatus ML17의 생균제적 특성 및 기능성 조사를 통하여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Lb. curvatus ML17은 용혈현상을 일으키지 않았으며 ${\beta}$-glucosidase와 ${\beta}$-glucuronidase의 발암효소 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균주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장내 생존성 확인 실험에서는 인공위액에서 2시간 처리한 다음 인공담즙에서 24시간 처리한 결과 초기 균수 대비 12.3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Caco-2 cell에 대한 부착율은 초기 접종균수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5.66{\times}10^9$ CFU/mL로 처리 시 17.31%의 부착율을 나타냈는데 20.78%의 부착율을 나타낸 양성 대조군 Lb. rhamnosus GG에 근접하게 높은 부착율을 나타내어 장내환경에서 바람직한 작용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유해균주에 대한 생육저해 활성 측정에서는 Micrococcus lut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72.88%로 양성 대조군인 0.1 mg/mL ascorbic acid보다 높은 free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AGS 위암세포 및 HT-29 결장암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에서는 Lb. curvatus ML17의 배양 상등액 $80{\mu}L/mL$ 처리 시 각각 82.91% 및 79.35%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Lb. curvatus ML17이 묵은지를 포함한 발효스타터로 사용되었을 경우 식품의 보존성 향상과 품질 유지 및 균주에 의한 건강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식품, 사료, 의약 분야의 다양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