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cryptoxanthin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3초

Association of serum carotenoid, retinol, and tocopherol concentrations with the progression of Parkinson's Disease

  • Kim, Ji Hyun;Hwang, Jinah;Shim, Eugene;Chung, Eun-Jung;Jang, Sung Hee;Koh, Seong-Beo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2호
    • /
    • pp.114-120
    • /
    • 2017
  • BACKGROUND/OBJECTIVES: A pivotal role of oxidative stress has been emphasized in the pathogenesis as well as in the disease progression of Parkinson's disease (PD). We aimed at investigating serum levels of antioxidant vitamins and elucidating whether they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and progression of PD. MATERIALS/METHODS: Serum levels of retinol, ${\alpha}$- and ${\gamma}$-tocopherols, ${\alpha}$- and ${\beta}$-carotenes, lutein, lycopene, zeaxanthin and ${\beta}$-cryptoxanthin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104 patients with idiopathic PD and 52 healthy controls matched for age and gender.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oxidant vitamins and the disease progression, multiple group comparisons were performed among the early PD (Hoehn and Yahr stage I and II, N = 47), advanced PD (stage III and IV, N = 57) and control groups. Separate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between the measured antioxidant vitamins and clinical variables, such as Hoehn and Yahr stage and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UPDRS) motor score. RESULTS: Compared to controls, PD patients had lower levels of ${\alpha}$- and ${\beta}$-carotenes and lycopene. ${\alpha}$-carotene, ${\beta}$-carotene and lycopene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advanced PD patients relative to early PD patients an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Hoehn and Yahr stage and UPDRS motor score in PD pati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erum levels of retinol, ${\alpha}$- and ${\gamma}$-tocopherols, and other carotenoids between PD patients and controls.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se vitamin levels and clinical variables in PD patients. CONCLUSTIONS: We found that serum levels of some carotenoids, ${\alpha}$-carotene, ${\beta}$-carotene and lycopene, were lower in PD patients, and that these carotenoids inversely correlated with clinical variables representing disease progres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decreases in serum ${\alpha}$-carotene, ${\beta}$-carotene and lycopene may be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as well as progression of PD.

신선초 녹즙섭취가 흡연자의 지질 수준 및 혈장 항산화 비타민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een Vegetable Juice (Angelica Keiskei) Supplementation on Plasma Lipids and Antioxidant Status in Smokers)

  • 김정신;김혜영;박유경;김태석;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9호
    • /
    • pp.933-941
    • /
    • 2003
  • It has been suggested that green juice supplementation may have some health promoting benefits. We evaluated the effects of green juice (Angelica keiskei) consumption on parameters of lipid profiles and plasma antioxidant status in healthy male smokers. Fifty-four smokers were supplemented with 300 ml of green juice for 6 weeks while maintaining their normal diet.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on week 0 and week 6 in order to evaluate plasma lipid profiles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 plasma antioxidant vitamin levels (ascorbic acid, $\alpha$ -tocopherol, ${\gamma}$ -tocopherol, $\alpha$ -carotene, $\beta$ -carotene, cryptoxanthin and lycopene) , the degree of LDL oxidation and GOT, GPT levels for liver function. Plasma ascorbic acid level remained at the same level. However, $\alpha$ -tocopherol and ${\gamma}$ -tocopherol normalized by total cholesterol (p <0.05) and $\beta$ -carotene (p <0.001) level were all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green juice supplementation. Plasma cholesterol was reduced for 12%, LDL-cholesterol was reduced for 9.3% after green juice consumption, while plasma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was not changed. Oxidized LDL assessed by conjugated diene (CD) , was decreased (p < 0.0001) after green juice consumption. These results further support a role for green juice supplementation in the improvement of lipid status, preven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thereby reducing risk factors of numerous diseases associated with elevated oxidative stress in smokers.

DsLCYB Directionally Modulated β-Carotene of the Green Alga Dunaliella salina under Red Light Stress

  • Yanhong Lan;Yao Song;Yihan Guo;Dairong Qiao;Yi Cao;Hui X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12호
    • /
    • pp.1622-1631
    • /
    • 2022
  • Carotenoids, which are natural pigments found abundantly in wide-ranging species, have diverse functions and high industrial potential. The carotenoid biosynthesis pathway is very complex and has multiple branches, while the accumulation of certain metabolites often affects other metabolites in this pathway. The DsLCYB gene that encodes lycopene cyclase was selected in this study to evaluate β-carotene production and the accumulation of β-carotene in the alga Dunaliella salina. Compared with the wild type, the transgenic algal species overexpressed the DsLCYB gene, resulting in a significant enhancement of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with the total amount reaching 8.46 mg/g for an increase of up to 1.26-fold. Interestingly, the production of α-carotene in the transformant was not significantly reduced.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regulation of DsLCYB on the metabolic flux distribution of carotenoid biosynthesis is directional. Moreover, the effects of different light-quality conditions on β-carotene production in D. salina strain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rotenoid components of β-carotene and β-cryptoxanthin were 1.8-fold and 1.23-fold higher than that in the wild type under red light stress,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the accumulation of β-carotene under red light conditions is potentially more profitable.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대사증후군 및 혈청 카로테노이드와의 관련성 (Associations of Non Alcoholic Fatty Liver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nd Serum Carotenoids)

  • 박선균;이현정;이덕희;이성국;천병렬;김성애;이혜성;손효경;김성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1호
    • /
    • pp.39-44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non alcoholic fatty liver with metabolic syndrome and the serum carotenoid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general hospital in South Korea from November, 2004 to August, 2005. The study subjects were 350 sampled persons who were aged from 40 years and older (males : 180, females : 170). They were grouped into the normal, mild and severe groups according to fat accumulation in their livers, as determined by ultrasonography. We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non alcoholic fatty liver and metabolic syndrome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we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non alcoholic fatty liver and the serum carotenoids by a general linear model(ANCOVA). Results : After adjustment for the effect of potential covariate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associated with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p trend <0.001). If the odds ratio of normal group is 1.00, then that of the mild group is 2.80 (95% C.I=1.17-6.71) and that of the severe group is 7.29 (95% C.I=2.76-19.30). The prevalence of metabolic alterations fitting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class of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except for criteria of high blood pressure, a large waist circumference and low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 (p trend <0.001). The level of serum ${\beta}$-carotene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class of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p trend=0.036), but the levels of serum ${\alpha}$-carotene, lycopene, ${\beta}$-cryptoxanthin and lutein were not decreased.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non alcoholic fatty liver wa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and with the serum ${\beta}$-carotene level.

감귤과피 유색미의 취반 특성

  • 서성수;노홍균;윤광섭;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57-157
    • /
    • 2003
  •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감귤은 지리적 기후 조건으로 내한성이 강한 만다린계 온주밀감이 주종을 이루나 최근 과잉생산으로 인한 가격하락과 수입자유화에 따른 대처의 일환으로 경쟁력이 높은 품종을 장려 보급하고 있다. 감귤의 국내 연간 생산량은 56만 톤으로 과일 전체 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하며 과실의 약 20%가 과피로서 그 일부가 한약재로 쓰이나 대부분이 버려지고 있다. 감귤의 과피에는 carotenoids, bioflavonoids, pectin 및 terpenes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천연에서 발견되고 있는 약 300여종의 carotenoids계 색소 중 115종이 감귤에 존재한다. 감귤 과피의 주요 carotenoids로는 비타민 A의 역할을 하는 $\beta$-carotene과 cryptoxanthin을 비롯한 $\beta$-citraurin이며 천연 착색제로 활용되고 있다. 또, 주요 bioflavonoids로는 모세혈관의 수축을 촉진시켜 고혈압 예방과 이로 인한 각종 질환을 방지하는 작용을 가진 hesperidin과 혈액내 LDL 콜레스테롤의 양을 줄이는 작용이 알려진 naringin이 있다. 그 외의 감귤 flavonoids도 항산화작용, antimutagen 활성, 항암, 항알레르기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알려져 있다. 밀감 과피의 bioflavonoids는 약 60여종이 분리되어 그 구조가 밝혀져 있으나 90% 이상이 hesperidin이다. 또 과피유에는 $\delta$-limonene을 주성분으로 하는 휘발성 향미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향미 개선제로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로 쌀 위주의 식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와 쌀 소비량은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반면 기능성을 가미한 쌀의 소비가 늘고 있음을 감안하여,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생산되고 있는 감귤 과피의 물 균질액을 쌀에 코팅하여 아름다운 색상과 기능성을 지닌 유색미를 제조함과 동시에 그 취반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유색미의 색상은 진노랑(L*; 63.6, a*; -7.87, b*; 46.35)으로 취반 후에도 유사한 색상을 나타내었다. Total carotenoids는 감귤과피에서는 10.74mg%, 과피의 물 균질액에는 0.46mg%이었으며 유색미에는 0.l2mg%, 유색미 취반에는 0.05mg%를 나타내었다. Hesperidin은 과피, 물 균질액, 유색미 및 유색미 취반에서 각각 2173.l2mg%, 108.65mg%, 21.73mg% 및 8.67mg%이었으며, naringin은 각각 1468.40mg%, 73.38mg%, 14.62mg% 및 5.87mg%를 나타내었다. 감귤과피의 유리아미노산은 asparagine이 94.22mg%로 가장 높았으며, methionine이 24.88mg%, alanine이 19.64mg%, ${\gamma}$ -aminoisobutylic acid가 15.37mg%로 이들 4종의 아미노산이 전체 유리아미노산함량의 70%를 나타내었다. 유색미 취반에는 백미 취반에 비하여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15%정도 증가되었으며, 그 중에서 glutamic acid는 2.5 배가 증가되었다. 감귤과피의 주요 무기질은 K(652.60mg%)와 Ca(222.50mg%)로 전체 무기질 함량의 86%를 차지하였으며 유색미 취반은 백미 취반에 비하여 K는 2.3배, Mn는 76%, Ca, P, Mg은 16~26%, Fe는 13%가 각각 증가되었다. 취반의 경도, 점착성 및 깨짐성은 유색미 취반과 백미 취반간에 차이가 없으나 응집성과 탄력성은 유색미 취반에서 높았다. 색상에 대한 기호도, 구수한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유색미 취반에서 높았으며 단맛, 쓴맛은 백미 취반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Plasma Carotenoid Levels in Healthy men and Acute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in Taegu

  • Cho, Sung-Hee;Lee, Nan-Hee;Suna Im;Im, Jung-Gyo;Bae, Bok-Seon;Park, Young-Sun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권5호
    • /
    • pp.728-734
    • /
    • 1997
  • Plasma carotenoid levels were compared among 64 healthy male subjects (control) and 38 patients of ischemic heart disease(IHD) and 20 ones of cerebral infarction(CI) all of whom were over 50years of age. Another 98 healthy male subjects aged 23 to 58 were selected to compare their plasma carotenoid levels by age groups, Levels of lutein ,zeaxanthin and crpytoxanthin were lower in IHD(34$\pm$2, 13$\pm$1 and 62$\pm$7$\mu g$/dl)and CI(36$\pm$3, 12$\pm$2 and 41$\pm$6$\mu g$/dl)patient groups than in control group (84$\pm$5, 16$\pm$2 and 69$\pm$3$\mu\textrm{g}$/dl) while those of lycopene, $\alpha$-and $\beta$-carotene varied little among the three groups. The sum of the six carotenoid levels were levels were, therefore,highest(205$\pm$14$\mu\textrm{g}$/dl) in the control group followed by IHD(155$\pm$15$\mu g$/dl) and CI(128$\pm$17$\mu g$/dl) patient groups, Among the 98 healthy male subject for the age group study, levels of the three major carotenoids increased with age from the twenties to the fifities ; lutein, from 64$\pm$6 to 89$\pm$8$\mu g$/dl, cryptoxanthin, 57$\pm$8 to 73$\pm$4$\mu\textrm{g}$/dl and $\beta$-carotene were more significantly correlated(r=0.30 to 0.61, p<0.01), whereas levels of lycopene and $\alpha$-caroteme were significantly(r=0.21 - 0.23, p<0.05) correlated.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5) : 728~734, 1997)

  • PDF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비타민 A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vitamin A)

  • 김유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2호
    • /
    • pp.201-210
    • /
    • 2022
  • 비타민 A는 필수 미량영양소로써, 시력, 생식, 성장과 발생, 세포 분화 등의 다양한 체내 정상 기능 유지에 필요하다.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비타민 A는 감염, 면역저하, 암 등에서 치료적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되었다. 본 논문은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비타민 A의 제정과 개정 근거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단위변경에 따른 문제점과 향후 202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설정을 위한 제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는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대비 표준체중의 변경에 따라 비타민 A의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성별, 연령별 약간의 개정이 있었다.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부터 비타민 A의 단위가 RE에서 RAE로 변경되면서 카로티노이드의 비타민 A 활성도는 절반으로 감소되었다. 한국인의 비타민 A 주요 공급원은 식물성 식품이므로 한국인의 비타민 A 섭취량은 불량하게 평가되고 있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비타민 A 섭취분석에는 레티놀과 베타-카로틴만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다른 형태의 비타민 A 전구체인 알파-카로틴, 베타-크립토잔틴과 등의 카로티노이드들의 함량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계절 차이가 뚜렷한 우리나라의 특성에 맞는 비타민 A의 함량 분석방법이 필요하다. 보다 더 정확한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설정을 위해서는 연령과 성별에 따른 데이터와 기초 미량영양소 상태, 비만도, 식이 패턴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무엇보다 비타민 A의 공급이 제한적인 식물성 식품에서도 비타민 A섭취가 가능한 다양한 급원식품을 찾고, 동물성 식품으로부터의 비타민 A의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의 모색도 요구된다.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 A 섭취현황 : 2007~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Estimated dietary intake of vitamin A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2)

  • 김성아;전신영;정효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4호
    • /
    • pp.258-26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비타민 A 섭취 실태와 그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제 4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07~2012) 자료의 24시간 회상법 자료와 상용식품 중 레티놀 및 카로티노이드 함량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1일 레티놀, 6종의 카로티노이드 (${\alpha}$-카로틴, ${\beta}$-카로틴, 리코펜, ${\beta}$-크립토잔틴, 루테인/제아잔틴) 및 비타민 A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 33,069명의 평균 비타민 A 섭취량은 레티놀 당량으로 $788.4{\mu}g\;RE/day$였으며, 레티놀 활성당량으로는 $488.9{\mu}g\;RE/day$였다. 대상자의 비타민 A 섭취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새로 개정된 20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의 비타민 A 기준과 비교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2010년의 RE 기준으로는 42.9%가, 2015년의 RAE 기준으로는 70.6%가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75세 이상 대상자 중 80% 이상이 새로 개정된 기준에 따르면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었고,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비타민 A 섭취 부족 위험이 증가하였다. 각 식품군 별 비타민 A의 섭취량을 산출하였을 때에는, 채소류, 조미료류, 해조류, 과일류 순으로 기여율이 높았다. 새로 제정된 영양섭취기준에 따라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 A 섭취량을 평가한 결과, 종전에 비해 매우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한 충분한 양의 비타민 A를 섭취하도록 교육하고 권고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 A 섭취량을 추정하고, 섭취의 적절성을 평가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비타민 A의 섭취 실태를 확인한 본 연구에서 더 나아가 우리나라 국민의 비타민 A 및 레티놀, 카로티노이드의 섭취량과 대사지표 및 부족 증상의 발생 등과의 연관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산 및 비타민 E 보충 식이가 제2세대 흰쥐 간조직과 혈청의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tty Acids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Antioxidant Systems in the Liver and Serum of the Second Generation Rat)

  • 황혜진;박정화;엄영숙;정은정;김수연;이양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7-262
    • /
    • 2002
  • $\omega$3계 지방산 결핍군인 safflower oil(SO)군, 지방산을 바람직한 비율로 공급한 mixed oil(MO, P/M/S ratio=1.0 : 1.5 : 1, $\omega$6/$\omega$3 ratio=6.3)군 및 비타민 E를 보충시킨(MO+비타민 1500 mg/kg diet, ME군)식이로 임신되기 3~4주전부터 섭취시키고, 이로부터 출생한 제 2세대 쥐의 간과 혈청에서의 항산화비타민과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식이 지방산과 비타민 E의 보충에 따른 항산화비타민 농도의 변화를 보면 생후 3주의 간조직과 생후 9주의 혈청에서 비타민 E를 보충한 ME이 MO군보다 $\beta$-carotene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p<0.05)되어 나타났다. Lycopene농도는 생후 3주의 간에서 MO, ME군에 비하여 SO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p<0.05), 혈청에서는 생후 3주와 9주 모두 실험군간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cyptoxanthin의 농도는 간과 혈청에서 생후 3주와 9주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간조직의 SO군과 MO군간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은 생후 3주와 9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비타민 E의 첨가시 생후3주의 간에서 GSH-Px의 활성은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고, SOD/GSH-Px의 비율은 식이지방산의 불포화도에 따른 타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비타민 E의 첨가시 생후 3주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어 나타났다. 생후 9주에서는 이러한 실험군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생후 9주가 되면서 식이에 어느 정도 적응된 결과라고 사료된다. 혈청에서의 GSH- Px의 활성은 생후 3주의 경우 불포화도가 높은 식이를 섭취한 SO군에서 MO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 식이의 높은 불포화도로 인하여 방어기전으로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증가되었을 가능성과 동시에 최근 항산화체계에 관련성이 있다고 연구되고 있는 oleic acid(18:1)의 비율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여 여러 항산화계의 균형성과 상호작용 측면에서 종합적인 결과로 해석해야 함을 지적해 주었다.

Effects of Dietary Paprika and Lipid Levels on Growth and Skin Pigmentation of Pale Chub (Zacco platypus)

  • Lee, Choong-Ryul;Pham, Minh Anh;Lee, Sang-M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6호
    • /
    • pp.724-732
    • /
    • 2010
  • Two feed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paprika (DP) and lipid (DL)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and skin pigmentation of pale chub, Zacco platypus. Six diets (designated as $P_0L_8,\;P_0L_{17},\;P_8L_8,\;P_8L_{17},\;P_{16}L_8\;and\;P_{16}L_{17}$) were formulated to contain 0%, 8% and 16% paprika with 8% and 17% lipid, respectively. For the growth experiment (Exp I), three replicate groups of fish (average weight 2.6${\pm}$0.2 g) were fed one of the six experimental diets for 8 weeks. At the end of the feeding period, survival was above 94%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etary treatments. Weight gain, feed efficiency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the $P_{16}L_8$ diet were lower than for fish fed the $P_0L_8$ diet. The highest total carotenoid (TC) content was observed in fish fed the $P_{16}L_8$ diet. For the pigmentation experiment (Exp II), each experimental diet was fed to two replicate groups of fish (average weight 9.0${\pm}$0.5 g) for 8 weeks. At the end of the feeding period, TC content of the ski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DP (p<0.05). The highest TC content of the skin was observed after 6 weeks of feeding at all dietary treatments. Astaxanthin content of the skin was not affected by DP and DL (p>0.05). The capxanthin and zeaxanthin contents of ski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DP, whereas the opposite trend was observed for lutein and ${\beta}$-cryptoxanthin contents. The skin lightness ($L^*$ values)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the values of $a^*$ and $b^*$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paprika (p<0.05).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feeding a diet containing 8% paprika and 8% lipid for 6 weeks could improve skin pigmentation of pale chub without any advers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