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Needs for Improving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rom Student's Perspective using CIPP Model

학생 관점에서의 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선 요구도 분석

  • 강경희 (공주대학교 대학교육혁신센터 전문연구원)
  • Received : 2020.07.22
  • Accepted : 2020.08.21
  • Published : 2020.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needs from the student's point of view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liberal arts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ata of 333 students at K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nam-do were analyzed for satisfaction by factors using the CIPP model and the needs by IP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CIPP was 3.38 on average and in the order of Process(3.49)> Input(3.40)> Product(3.34)> Context(3.30). Second, the priority of needs was 1) the needs of the social change and the students, 2) competent faculty and a suitable environment, 3) novel contents.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satisfaction were the novel educational contents, operating methods and reflecting need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were student growth and career,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goals and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policy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reflecting the voices of students.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 대비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해 학생 관점에서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분석한 것이다. 충청남도 소재 K대학에서 자발적인 참여 학생 333명의 자료를 CIPP 모형을 활용한 요인별 만족도 분석과 IPA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의 CIPP 만족도는 평균 3.38로, 과정(P, M=3.49)>투입(I, M=3.40)>산출(P, M=3.34)>상황(C, M=3.30) 순이었다. 둘째, 요구도 우선순위는 1) 교양 교육에 대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요구 및 학생의 요구 반영, 2) 역량 있는 교수진 및 적합한 수업 환경 제공, 3) 교육목표 달성 및 최신의 동향을 반영한 참신한 내용 구성 이었다. 셋째, 전반적인 만족도에는 참신한 교육내용, 운영방법, 요구반영이, 추천의향에는 학생 성장진로도움, 핵심역량도움, 교육목표와 편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학생의 목소리를 반영한 교양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이화,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의 미래-국내외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제29권, 제1호, pp.279-297, 2019.
  2. 손종현, 서근원, "지식기반사회에 조응하는 대학 교양교육체제," 교양교육연구, 제7권, 제3호, pp.61-96, 2013.
  3. 전호재, "대학 교육과정 개편의 방향 탐색(II)-교양 교육과정의 수준에서," 교양교육연구, 제13권, 제5호, pp.189-210, 2019.
  4. 윤유진, 이연주, "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국내외 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비교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pp.259-286, 2018.
  5. 전영옥, 오은정, 김효선, 이정민, 홍세령, "교육과정 매핑 시스템 기반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질 관리 방안-S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13권, 제2호, pp.437-466, 2019.
  6. 배상훈, 박정하, 한송이, 황수정, 이규린, "대학 교양기초교육 운영 모델 개발," 교양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pp.407-442, 2017.
  7. 이숙정, 이수정,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역량 기반 교양교육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6권, 제2호, pp.11-42, 2012.
  8. 정선호,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교양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pp.283-310, 2016.
  9. 고진영, 정기수,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H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475-504, 2017.
  10. 정효정, 전은화, 안솔뫼, "학생 요구에 부합하는 대학 교양 교과목 개발 방향 탐색," 열린교육연구, 제27권, 제2호, pp.171-189, 2019.
  11. 김무영, 김민영, "대학 인문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수업효과에 대한 인식 분석-A 대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pp.193-218, 2020.
  12. 강경희,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고유모델 개발 및 질 관리, 공주대학교 보고서, 2019.
  13. D. L. Stufflebeam, "The relevanc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J.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Vol.5, pp.19-25, 1971.
  14. 이상준, 윤관호, 김성윤, "교육서비스의 만족도지수 모형개발 및 IPA를 통한 개선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510-52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510
  15. http://konige.kr/sub02_08.php
  16. 이원석,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과 국내 교육분야 CIPP 평가 모형 활용 연구 고찰," 교육평가연구, 제32권, 제4호, pp.603-624, 2019.
  17. 박찬희, "CIPP 모형을 활용한 그린캠프 평가지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3호, pp.491-505,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3.491
  18. 이성하, 최명숙, "Stufflebeam의 7-CIPP평가 모형에 기초한 대학 학습동아리 프로그램 평가 준거 개발," 교육방법연구, 제28권, 제3호, pp.471-496, 2016. https://doi.org/10.17927/TKJEMS.2016.28.3.471
  19. 박영순, 천경희, 송영명, "CIPP 평가 모형에 기반한 대학의 생애단계별 교수개발 프로그램 평가 도구 개발," 교육학연구, 제55권, 제3호, pp.203-229, 2017.
  20. 정환수, 우유란, 이중정, "CIPP모형을 활용한 사이버 범죄 예방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7권, 제2호, pp.9-18, 2019. https://doi.org/10.14400/jdc.2019.17.2.009
  21. 박혜영, "CIPP 모형을 활용한 항공서비스 교육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510-523,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510
  22. 송영수, "대학 영어전용강좌(EMI)의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CIPP 평가모형을 바탕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4권, 제3호, pp.61-84, 2008.
  23. 전주현, 이재웅, "CIPP 평가 모형을 적용한 대기업사원 공학입문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제16권, 제3호, pp.79-86, 2013.
  24. J. A.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 of marketing, Vol.41, No.1, pp.77-97, 1977. https://doi.org/10.1177/002224297704100112
  25. 유정아, "대학보직교원의 역량탐색: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하여," 열린교육연구, 제23권, 제3호, pp.359-377, 2015.
  26. G. D. Borich,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 of Teacher Education, Vol.31, No.3, pp.39-42, 1980. https://doi.org/10.1177/002248718003100310
  27. O. G. Mink, J. M. Shultz, and B. P. Mink,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