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환경개선

Search Result 1,39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Indicators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 Lee, Sang-Min;Choi, Hyeong-ju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7 no.3
    • /
    • pp.35-4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present situation data related to school facilities through existing literature and related systems and to develop indicators related to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students' education and life in general.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econd Delphy Survey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index. As a result, a total of 88 education environment improvement indicators were set, including 43 indicators on the quantitative aspects of the area, adequacy of general classrooms, and appropriateness of multi-purpose steel sugar, 34 indicators on the qualitative aspects such as the level of seismic performance, age of fire facilities, aging of toilets, and aging of finishing materials, and 11 indicators on operational aspects such as energy usage and user satisfaction.

'학교도서관이 교육환경개선의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39 no.4 s.311
    • /
    • pp.23-30
    • /
    • 1998
  • 교육계를 중심으로 사회전반에서 책읽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감에 따라 학교교육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학교도서관이 교육환경개선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살펴 보고자 “도서관문화”에서는 7월 28일(화) 우리 협회 회의실에서 ‘교육환경개선과 학교도서관’이라는 주제로 좌담회를 가졌다. 이번 좌담회에는 김경욱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정책기획실장, 박희 사서교사협의회장, 오명숙 어린이도서연구회 문화부장, 이병기 서울중등학교도서관연구회 연구부장이 참석하였으며, 사회와 원고정리는 우리 협회 이용훈 기회부장이 맡았다.

  • PDF

A study on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urses in the colleges of environment-related science and engineering (환경분야 이공계 대학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 Park Jong-Sung;Lee Mu-Choo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6 no.1
    • /
    • pp.42-55
    • /
    • 2003
  • The goal of this study lies in analyzing the realities of the educational courses in the colleges of environment-related science and engineering and proposing plans for their improvement. In this regard, curriculums of each college were analyzed and the subsequent problems and implications were drawn out.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courses be directed toward job site-centered reform through conducting job analysis with experts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serving new courses demanded by industries in practice and providing training programs for industries.

우수한 교실음향 구현을 위한 설계기준 및 개선방향조사

  • Jeong, Jeong-Ho
    • Fire Protection Technology
    • /
    • s.42
    • /
    • pp.17-25
    • /
    • 2007
  • 쾌적하고 명료성이 높은 교실내의 음향환경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및 교사의 언어전달 이해 향상을 이룩할 수 있는 중요한 사항이다. 이러한 우수한 교육환경을 위해서는 우선 우리나라의 교실 음향 실태 파악과 함께 교육시설의 음향상태 및 소음에 의한 학업 성취도, 심리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정량적 조사가 이루어 져야 한다. 국내 교육시설의 음향 실태 파악을 통해 교육시설에서의 음향 및 소음 기준을 수립하여 교육시설내의 음환경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 교실 음향개선을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서 잔향시간과 배경소음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교실의 우수한 음환경을 위해 적절한 잔향시간은 $0.4\sim0.6$초, 배경소음은 NC-$25\sim30$수준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교사의 음성레벨과 배경소음과의 비(S/N비)는 최소 10 dB이상 되어야 강의 내용 전달이 가능하며, 각종 기계설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은 저소음 기기 선정을 통해 최소화하여야 한다. 인접 실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충분히 차단하기 위해서는 차음성능 우수한 구조의 벽계로 개선되어야 하며, 기밀성이 높은 출입문사용과 적절한 출입구 배치를 통해 인접한 교실로의 소음 전달을 최소화 할 수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MOOC Based on Open Source Platform (오픈소스 플랫폼을 활용한 MOOC 구축 방안)

  • Choi, Hyun Wong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149-152
    • /
    • 2017
  • 최근 4차 산업혁명 및 인터넷 환경이 변화되면서 대학 교육환경의 빠른 변화와 산업체에 재 교육이나 온라인 교육에 있어, 교육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교육환경을 바꾸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8년부터 '한국형 나노디그리' 모델을 개발하고 한국형 무크 강좌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MOOC에 대해서 알아보고 오픈소스 플랫폼(Moodle, Tao-testing, Joomla)를 활용하여 MOOC를 구축함으로서 대학교의 환경을 최소의 비용으로 강의자 및 교육자 위주의 환경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교육환경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design educational field of the college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현장의 실태연구)

  • Cho, kyu-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91-392
    • /
    • 2013
  • 본 연구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전문대학 디자인교육의 새로운 교육모델을 모색하고자 디자인 교육현장의 실태를 중심으로 디자인교육의 문제점 및 원인과 개선방안을 모색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디자인교육의 핵심주체인 교수와 학생, 행정 및 교육, 실습지원부서, 산업체, 정부 및 지원기관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입시제도의 개선, 재정지원의 집중화, 교수자의 연구지원, 학생의 인식전환, 산업체와의 실질적 협력강화 및 전문대출신에 대한 인식 및 대우개선, 정부지원기관의 차별화된 지원정책 발굴, 대학별로 특화된 교육과정운영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전문대학의 디자이너양성 교육은 급변하는 대학환경을 고려하여 교육주체의 내실화 및 관계집단의 인식전환을 고려한 새로운 직업교육모델을 개발, 운영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