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rvice Scenario Development for Customized Evacuation Route Guidance Service in Regular Building

일반건물 맞춤형 대피동선 안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사례연구

  • Kim, Tae Wan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Advanced research division) ;
  • Lee, Sang Ki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Advanced research division) ;
  • Shin, Dong M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stitute of Disaster Management Convergence) ;
  • Lee, Sung Pil (Dongseo University, College of Design)
  • 김태완 (한국디자인진흥원 선행연구팀) ;
  • 이상기 (한국디자인진흥원 선행연구팀) ;
  • 신동민 (한국교통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 이성필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 서비스디자인루트)
  • Received : 2018.11.15
  • Accepted : 2018.12.21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ptimal service scenario to ensure that building occupants can be effectively evacuated from the building within the golden time without extra assistance in preparing and evacuating for fires. In addition,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dividing the current services into fire evacuation and preparedness phases by applying the Double Diamond process in order to find a way to better familiar them as a lifestyle and to always be prepared for fires. For the building occupants and managers, a total of 14 ideas were first suggested, including not only the services of how to evacuate from a fire, but also the life-style service functions associated with fire implementation technology in daily life. The 14 proposed ideas were conducted by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and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rvice recipient, and those were finally prioritized from the service provider's perspective, taking into account the cost and practicality of the service provi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fire phases considered by stakeholders and the perception of fire generally vary considerably.

본 연구는 화재 발생 시 대응과 대비의 단계에서 건물 상주자가 별도의 도움이 없이 효과적으로 골든 타임 내에 건물에서 자가 맞춤형으로 대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최적의 서비스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었다. 그리고 제공하는 서비스를 생활 밀착형으로 더욱 친숙하게 활용이 가능하고 평소 화재 발생 시 항상 대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더불다이어몬드 방법을 적용하여 화재 대응과 대비 단계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그리고 건물 상주객들과 관리자들에게 화재 동선대피에 대한 서비스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화재구현기술과 연관성 있는 생활형 서비스 기능까지 포함하여 총 14가지 아이디어를 1차적으로 제안하였다. 제안한 14가지 항목을 서비스수혜자의 관점에서 서비스품질평가 및 계층별 종합평가(AHP)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서비스제공자의 관점에서 비용적 측면과 현실성을 고려하여 14개 문항을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 한 결과 이해관계자들이 고려하는 화재 단계별 중요성 및 평소 화재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상당히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SBSOSM_2018_v8n4_13_f0001.png 이미지

Fig 1. Self Customized fire guidance system

SBSOSM_2018_v8n4_13_f0002.png 이미지

SBSOSM_2018_v8n4_13_f0003.png 이미지

Fig. 3 Concept Position Template

SBSOSM_2018_v8n4_13_f0004.png 이미지

Fig. 4 Double Diamond Research Method

SBSOSM_2018_v8n4_13_f0005.png 이미지

SBSOSM_2018_v8n4_13_f0006.png 이미지

Fig. 6 Service provider positioning analysis

SBSOSM_2018_v8n4_13_f0007.png 이미지

Fig. 7 As-Is, To-Be based fire response service scenario comparison

SBSOSM_2018_v8n4_13_f0008.png 이미지

Fig. 8 As-Is, To-Be based fire preparation and daily life service scenario comparison

Tab. 1 KANO Questionnaire Design Sample

SBSOSM_2018_v8n4_13_t0001.png 이미지

Tab. 2 KANO Evaluation Table

SBSOSM_2018_v8n4_13_t0002.png 이미지

Tab. 3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Calculation

SBSOSM_2018_v8n4_13_t0003.png 이미지

Tab. 4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SBSOSM_2018_v8n4_13_t0004.png 이미지

Tab. 5 Organized stakeholder's issu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SBSOSM_2018_v8n4_13_t0005.png 이미지

Tab. 6 Building managers and regular worker's Journeys Created by mapping out ideas in daily life

SBSOSM_2018_v8n4_13_t0006.png 이미지

Tab. 7 Ideas for the building managers and regular workers trough empirical research

SBSOSM_2018_v8n4_13_t0007.png 이미지

Tab. 8 Kano service quality result

SBSOSM_2018_v8n4_13_t0008.png 이미지

Tab. 9 4 factors of weighting scale analysis result

SBSOSM_2018_v8n4_13_t0009.png 이미지

Tab. 11 AHP analysis result

SBSOSM_2018_v8n4_13_t0010.png 이미지

Tab. 10 Examples of suitability Analysis

SBSOSM_2018_v8n4_13_t0011.png 이미지

Tab. 12 Final suggested ideas

SBSOSM_2018_v8n4_13_t0012.png 이미지

References

  1. 박철기, 다중이용시설물의 피난 유도에 관한 현황 조사 및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 최연이, 초고층 빌딩 화재 시 USN 적응적 라우팅을 이용한 피난 유도 시스템 설계,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 Almaden Design Research,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Changwon Industrial Complex Service Design Package Model Case study Report,"2016.
  4. IDEO, "Design Thinking Toolkit for Educator, " 2014.
  5. 최연이, 초고층 빌딩 화재 시 USN 적응적 라우팅을 이용한 피난 유도 시스템 설계,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6. 30층 이상 고층건축물 화재발생 현황, 소방청, 2018
  7. http://m.fpn119.co.kr/26470, 소방방재신문
  8. 화재 시 행동요령, 네이버 지식백과 (행정안전부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9. http://www.nfds.go.kr/fs_sense_0001.jsf?gb=v3,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
  10. 네이버 지식백과, 종합평가법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대한민국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