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he Intergenerational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세대통합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Received : 2017.04.30
  • Accepted : 2017.06.24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effect of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 of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 of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constructed and implemen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f intergenerational program and of character education linking with nuri-curriculu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children aged 3 and 6 elderly people in their 70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children intergenerational program show the positive effect in order of filial duty, public order, cooperation, consideration, respect and sharing. Second, there were the changes of behavior and attitude from the children toward the elderly.

본 연구는 유아-노인 세대통합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세대 통합 인성교육프로그램에 관련 선행연구 탐색을 기초로 누리과정과 연계를 고려하여 유아-노인간 인성체험활동을 구성하여 실행하였다. 연구대상은 3세 유아 28명(실험집단 14명, 통제집단 14명)과 지역내 거주하는 70대 노인 6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유아의 인성검사는 정선영(2015), 배윤진(2007)의 유아 인성 평가 도구를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인성교육중심 노인-유아 세대통합프로그램은 효, 질서, 협력, 배려, 존중, 나눔 순으로 유아의 인성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노인-유아 세대통합 체험활동이 유아의 인성을 함양할 수 있으며 우리 사회 고유의 미덕을 계승할 수 있는 긍정적인 교육프로그램임을 확인해 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옥(2007).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세대 간 통합교육의 방향과 과제, 교원교육, 23(3), 125-136.
  2. 김영옥(2010). 유아교육 선진화의 핵심가치와 실현방안, 창의인성, 과학기술의 만남, 유아교육 선진화와 과학기술의 만남.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3-23.
  3. 김영옥(2014). 유아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공동체.
  4. 김미숙, 김민정(2016). 이야기할머니 활동이 유아의 인성과 노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1), 117-135.
  5. 김미희(2011). 아동.노인 세대통합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청주대 사회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혜상(2010). 세대통합 원에치료가 노인의 삶의 질 및 아동의 사회.심리.정서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영미(2013). 만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인성교육 내용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8. 김호현(2016). 인성교육을 위한 덕 윤리와 역량의 관계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0(6), 287-307.
  9. 교육과학기술부(2011). 유치원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10.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11. 문무경, 박창현(2016). 유아인성교육 시범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 열린유아교육연구, 21(4), 475-496.
  12. 박경란, 전예화, 김희년, 오찬욱(2004). 아동과 노인 간의 관계 향상을 위한 세대 통합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3(1), 17-27.
  13. 박연실(2010). 농촌지역 노인과 유아의 세대통합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박현진, 김숙자, 김현장, 장갑희(2012). 유아 인성교육 교수학습안 현장적용 및 효과연구; 한국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다문화적 접근에서의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XI.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429-456.
  15. 부산육아종합지원센터(2015).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및 영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 부산: 육아종합지원센터.
  16. 배윤진(2007). 너싱홈 방문을 통한 세대 교류 프로그램에 따른 유아의 인성 발달 및 반응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송인숙(2016). 누리과정과 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양승규(2003). 세대공동체 레크레이션 프로그램개발연구. 한서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유병렬(2015). 인성교육의 덕교육적 접근과 실천 원리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 26(1), 303-322.
  20. 이경민, 이정화, 이경선(2006).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1), 169-193.
  21. 이경민(2015). 21세기 사회 핵심역량: 인성교육과 행복교육을 중심으로 Session 12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행복과 인성;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한국교육학회 2015 연차 학술대회, 광복 70년,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육의 재설계(pp. 420-427). 8월 28일 부산: 부산대학교.
  22.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김문숙(2009). 미래한국인의 핵심역량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설계방안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서, RRC 2009-10-1.
  23.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2012). 미래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C2012-4.
  24. 이승자(2007). 아동, 노인간 세대공동체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원영, 방인옥, 박찬옥(1992). 유치원의 기본생활교육에 관한 연구. 유아 교육 연구, 12, 71-90.
  26. 임수진(2014).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유아교육연구, 34(6), 347-363.
  27. 임재택(2001). 유아교육기관의 노인, 아동 상호작용프로그램의 적용효과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5(3), 67-101.
  28. 원인숙(2011).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실태 비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정신, 육길나, 황성원(2012). 어린이집과 노인복지관 연계 세대통합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건행정연구, 16(4), 79-112.
  30. 조벽(2016). 인성이 실력이다. 서울: 해냄출판사.
  31. 정선영(2015). 음악활동을 통한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2014). 행복한 아이를 위한 부모인성교육 매뉴얼.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33. 최은진(2014). 세대통합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전공 박사학위논문.
  34. 최정인, 이경화(2016). 유아의 인성 함양에 미치는 조부모-손자녀 세대통합프로그램의 효과. 평생교육.HRD연구, 12(1), 167-184.
  35. 최영희(2012). 세대통합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적 효능감과 노인의 자아 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복지행정학과 사회복지 전공 석사학위논문.
  36. 최정인(2015). 노인-유아 세대통합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37. 통계청(2015).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38. 한정란, 양승규(2003). 세대공동체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성인 교육학회, 6(3), 1-27.
  39. 한정란, 김귀자(2004). 세대공동체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19, 61-82. 한국노인복지학회.
  40. 허은주(2003). 어린이집에서의 세대 간 학습활동의 효과.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1. Berkowitz, M. W.& Grych, J. H.(2000). Early character development and education.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11, 55-72.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101_4
  42. Lickona, T.(1999). Educating for character: How our schools can teach respect and responsibility. New York: Bantam Books.
  43. Schwab, K.(201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송경진 역) 서울:새로운 현재.
  44. Toffler, A.(2012). http://blog.daum.net/ttiokk/38

Cited by

  1. 협동미술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vol.17, pp.3, 2017, https://doi.org/10.21213/kjcec.2017.17.3.111
  2. Cross-age networks, successful aging, and depression among Middle-aged South Koreans living in Seoul vol.19, pp.1, 2021, https://doi.org/10.1080/15350770.2021.1868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