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ocial Competence, Language and Literacy Ability of Kindergartners: The A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 및 문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 Back, Ji Sook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 Kwon, Eun Joo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백지숙 (동국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권은주 (동국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17.04.30
  • Accepted : 2017.06.24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n kindergartners' social competence, language and literacy Ability. Participants were 1203 children attending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t used the 'Social Competence Inventory', 'SECCYD', 'HEQ', 'PIPPS'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 Scale' in collection of dat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18.0 program and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parent-child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language and literacy ability and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 Parent-child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were predictable variable affecting th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urth,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found to be predictable variables affecting the young children's language and literacy ability.

본 연구는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 및 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데이터의 1203명 이였다. '사회적 유능감 검사도구', 'SECCYD', 'HEQ', 'PIPPS', '교사-유아 상호작용 검사도구' 들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 인지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한 변인은 자기조절로 나타났고 이어서 언어능력이 추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언어 및 문해능력과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유능감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부모-유아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또래상호작용이 추가적인 예측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 및 문해능력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는 예측변인으로는 또래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교사-아동상호작용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수, 조윤영, 조진희(2012).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실 문해환경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49-74.
  2. 김명자(1991).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구논문.
  3. 김선미 (2015). 부와 모 간의 양육태도.훈육방식.유아문제행동 인식 차이 비교.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성현(2015). 인지놀이에 기반한 유아 정서.사회적 유능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성현(2016).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상호작용이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4(2), 131-155.
  6. 김성현, 배율미(2016).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유아의 자기조절의 중재적 효과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2), 471-494.
  7. 김지연(2005). 어린이집 교사의 언어적 행동과 영아의 언어발달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숙령(2010).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부모와 교사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1, 197-215.
  9. 길현주, 김수영(2014). 교사의 수용적, 반응적 태도 및 언어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3(2), 39-52.
  10. 박성덕, 장연주(2016). 부모, 교사,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2(2), 229-251.
  11. 박영신(2011). 영아기 공동주의와 유아기 발달의 종단적 관련성: 어휘, 사회적 능력과 마음이해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1(6), 217-234.
  12. 박주희, 이은해(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아동학회지, 22(4), 1-15.
  13. 성지현(2012).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2(4), 229-253.
  14. 오세경, 정재은, 김치곤(2016). 유아의 정서실행기능과 또래상호작용이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4(4), 173-192.
  15. 이종각(2009).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 명령적 언어통제유형 및 유아의 정서표현성, 또래유능성간의 경로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정지나(2005).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유능성: 유아 내적 표상의 매개 효과 검증.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차인영, 최미미, 서영숙(2016).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교실환경과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10(1), 95-117.
  18. 최혜영, 신혜영(2008). 아동 또래놀이행동 척도(PIPPS)의 국내 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9(3), 303-318.
  19. 한옥순(2001). 이야기극화놀이가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어휘습득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 Anthony, L. G., Anthony, B. J., Glanville, A. D., Naiman, D. Q., Waanders, C., & Shaffer, S.(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u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in the classroom.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 133-154. https://doi.org/10.1002/icd.385
  21. Berns, R. M.(2006). Child, family, school, community: Socialization and support(7th ed.). Belmont, CA: Wadsworth.
  22. Denham, S. A., & Burton, R.(2003). Social and emotional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ming for preschoolers.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23. Dickinson, D. K., & Tabors, P. O.(2002). Fostering language and literacy in classrooms and homes. Young Children, 57(2), 10-19.
  24. Dunsmore, J. C., & Karn, M. A.(2004). The influence of peer relationships and maternal socialization on kindergartners' developing emotion knowledge.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5(1), 39-56.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501_3
  25. Fantuzzo, J., Coolahan, K., Mendez, J., McDermott, P., & Sutton-Smith, B.(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411-431. https://doi.org/10.1016/S0885-2006(99)80048-9
  26. Girolametto, L., & Weitzman, E.(2002). Responsiveness of child care providers in interactions with toddlers and preschooler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3(4), 268-281. https://doi.org/10.1044/0161-1461(2002/022)
  27. Gresham, F. M., & Elliott, S. N.(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SSRS). American Guidance Service.
  28. Guralnick, M. J., & Neville, B.(1997). Designing early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M. Guralnic(Ed.), The effectiveness of early intervention,(pp. 579-610). Baltimore: Brookes.
  29. Hatano, G., & Inagaki, K.(1991). Sharing cognition through collective comprehension activity.
  30.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1988).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1), 39-53. https://doi.org/10.1016/0885-2006(88)90028-2
  31. Kostelnik, Whiren, Soderman, & Gregory.(2009).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6th Edition). NY: Delmar.
  32. Landau, S., & Milich, R.(1990). Assessment of children's social status and peer relations. In A. M. La Greca(Ed.), Through the eyes of the child: Obtaining self-reports from children and adolescents(pp. 259 - 291).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33. McCabe, P. C.(2005). The social and behavioral correlates of preschoolers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Psychology in the Schools, 42(4), 373 - 387. https://doi.org/10.1002/pits.20064
  34. McCabe, P. C., & Altamura, M.(2011). Empirically valid strategies to improv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of preschool children. Psychology in the Schools, 48(5), 513-540. https://doi.org/10.1002/pits.20570
  35. McCay, L. O., & Keyes, D. W.(2001). Developing social competence in the inclusive primary classroom. Childhood Education, 78(2), 70-78. https://doi.org/10.1080/00094056.2002.10522707
  36. Merrell, K. W.(2003). Behavioral, social, and emotional assess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Psychology Press.
  37.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Steering Committee(1999). Classroom Observational System. Washington, DC: Author.
  38. Thompson, A., Hollis, C., & Richards, D.(2003). Authoritarian parenting attitudes as a risk for conduct problems.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2(2), 84-91. https://doi.org/10.1007/s00787-003-0324-4
  39. Turnbull, A. P., Turnbull, H. R., Agosta, J., Erwin, E., Fujiura, G., Singer, G., & Soodak, L.(2005). Support of families and family life across the lifespan. National goals and research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15-37.

Cited by

  1. The Relationship of Parent-Child Interaction and Social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Depression and Childhood Happiness vol.39, pp.1, 2018, https://doi.org/10.18612/cnujes.2018.39.1.255
  2.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군집분석에 따른 언어·수학능력 차이분석 vol.39, pp.5, 2017,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5.002
  3. 교사의 놀이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vol.17, pp.2, 2021,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