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y MBTI Personality Types of Infant Childcare Teachers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

  • Kang, Won Mi (Siheung Sujung Childcare Center) ;
  • Moon, Hae Lyu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 Received : 2017.04.16
  • Accepted : 2017.06.24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depending on MBTI personality types of infant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present study were 350 infant childcare teachers. The results for each research question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MBTI personality types and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f infant childcare teachers was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higher professionalism was evident when preference for judging(J) type of infant childcare teachers among MBTI personality types was stronger, and lower professionalism was evident if preference for perceiving (P) type was stronger. Second, the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s of infant childcare teachers was that extrovert teachers had higher percep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han introvert teache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etween sensing and intuition types. Teachers of thinking type had higher perception about fairnes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than those of emotional type, and teachers of judging had higher perception about socio-economic status, community service, and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han those of perception. Based on this study result, discussion was made on the fact that provision of more proper role among child and infant classes may result in efficiency and emotional and professional support is necessary so that professionalism of infant childcare teachers may be heightened.

본 연구는 영아반 보욕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전분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반 보육교사 35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 중 판단형(J)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높은 전문성 인식을 보이며, 인식형(P)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낮은 전문성 인식을 보였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외향형 교사가 내향형 교사보다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감각형과 직관형에 따른 전문성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고형 교사가 감정형 교사보다 '공정성'과 '전문단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판단형 교사가 인식형 교사보다 '사회 경제적 지위', '사회 봉사성',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 채용시 MBTI 성격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반과 영아반 중 더 맞는 역할을 제공할 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과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정서적 전문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현주(2004) 유치원 교사의 성격 특성과 문제인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김선영, 서소정(2010). 이원화된 유아교사(유치원,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교사효능감 및 일원화에 대한 인식: 교사의 대학전공과 근무기관에 따른 비교. 아동학회지, 31(3), 215-233.
  3. 김선영, 이지영(2004). 유치원 교사의 MBTI성격유형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261-280.
  4. 김순혜(1998).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과 역할수행능력 인식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김애자, 최경희(2004).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과 직업적 문제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4), 175-197.
  6. 김영재(1999). 교사의 성격 유형과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은성, 최윤경, 김문정((2011). 보육인력 전문성 제고를 위한 보육교사 자격제도 개선방안.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265-286.
  8. 김정택, 심혜숙(1990). 성격유형검사(MBTI)의 한국 표준화에 관한 일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 44-72.
  9. 김정택, 심혜숙(2013). MBTI개발과 활용(개정판). 서울 : 한국심리검사연구소.
  10. 김정택, 심혜숙, 제석봉(2007). MBTI개발과 활용(개정판). 서울: 한국심리검사연구소.
  11. 김희진, 김언아, 홍희란(2004)-영아
  12. 단현국, 유영의(2006).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놀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3(2), 267-283.
  13. 백은영(2004). 유치원교사의 성격특성과 갈등관리특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4. 변길희, 김나림(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0(4), 21-34.
  15. 보건복지부(2016). 보육통계 2016: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16. 손현희(2007).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직에 대한 전문성 인식도와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손흥숙(2015). 보육교사 전문성 담론의 개념적 쟁점. 교육학연구, 53(1), 195-211.
  18. 심성경, 백영애, 이희자, 이영희, 변길희, 김은아, 박유미, 박주희, 최대훈, 박경신(2009). 보육학개론. 서울: 공동체.
  19. 안선희, 김지은(2010). 영아 보육교사의 자질 및 역할과 전문성에 관한 심층사례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3), 87-97.
  20. 양승옥(2002). 유치원교사 양성체계와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 한국교원교육연구. 19(1), 25-43.
  21. 유준호, 이진화(2006). 유아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한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활용. 영유아교육연구, 9, 5-25.
  22. 이연승, 조미나(2005).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태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41-67.
  23. 이은미(2002). 유아교육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보자원 활용. 교사역할수행에 관계 연구.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4. 이은주, 윤혜영, 부성숙(2012). 어린이집 원장,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발도르프교육연구, 4(1), 19-36.
  25.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1995).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26. 이재무, 김행열(2013).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창의성 및 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3(4), 47-71.
  27. 이현서(2012). MBTI 성격유형별 외모관리와 신체만족도 및 신체이미지 관심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8. 이현정(2008). 가정보육시설에 관한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인식비교.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9. 이현주(2015).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93-112.
  30. 이희선(2004). 보육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4(2), 79-90.
  31. 임동호(2012).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1), 1-17.
  32. 임주희, 최연실(2006).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부모갈등, 부모관련 스트레스, 부모자녀 간의사소통의 영향. 아동학회지, 27(4), 233-246.
  33. 한미숙(2003). 유아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4. 허정혜(2004). 유치원 교사의 성격 특성과 교사의 역할 수행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5. 홍혜경(2001).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6. Bankovic, I.(2014). Early childhood professionalizm in Serbia: Current issues and develop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22(3), 251-262. https://doi.org/10.1080/09669760.2014.944885
  37. Boyd, M.(2013). "I love my work but...": The profession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Qualitative Report, 18(71), 1-20.
  38. Broudy, H. S.(1984). The university and the preparation of teacher. In L. G. Katz & J. D. Raths (eds.), Advances in teacher education, 1. N. 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39. Brazelton, T. B., & Greenspan, S. I.(2000). The irreducible needs of children: What every must have to grow, learn, and flourish. New York: perseus.
  40. Harwood, D., Klopper, A., Osanyin, A., & Vanderlee, M. I.(2013). "It's more than care":Early childhood educators'concepts of professionalizm. Early Years: An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and Development, 33(1), 4-17. https://doi.org/10.1080/09575146.2012.667394
  41. Hargreaves, A., & Fullan,M. G.(1992). Understanding teacher development.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2. Hildebrand, V.(1984).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Inc.
  43. Hilgard, E. R., Atkinson, R., Atkinson, R. C.(1979). Introduction to Psychology(7th ed.). NY: Harcourt Brace Jovanovich, Inc.
  44. Jung, C. G.(1971). Psychological types. Bollingen Series XX. The Collected Works of C. G. Jung, vol.6.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45. Jung, C. G., Hall, C. S, Jacobi. J.(2007). C. G. 융 심리학 해설[Interpreting Jung psychology](설영환 역). 서울: 선영사. (원전은 1986년에 출판).
  46. Lindasy, P., & Lindsay, C. H.(1987). Teachers in preschools and child care centers: Overlook and undervalued. Child and Youth Care Quarterly, 16(16), 91-100. https://doi.org/10.1007/BF01083974
  47. Myers, I. B., & McCaulley, M. H.(1985). Manual: A guide to development and use of the Myers-Briggs Types Indicator. Palo Altor.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48. Rothstein, M. G., Paunonem, S. V., Rush, J. C., & King, G. A.(1994). Personality and cognitive ability predictors of performance in graduate business school.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4), 516-530. https://doi.org/10.1037/0022-0663.86.4.516
  49. Wittmer, D. S., & peterson, S. H.(2011). 영아 발달과 반응적 교육[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responsive program planning: A relationship-based approach](이승연, 김은영, 강재희, 문혜련, 이성희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6에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