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의 한국 민족주의적 특성: <공동경비구역 JSA>와 <한반도>를 중심으로

The Korean Nationalis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lockbuster Films: Focusing on and

  • 류재형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투고 : 2012.05.30
  • 심사 : 2012.07.16
  • 발행 : 2012.08.15

초록

'민족'이란 무엇이고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한국 민족주의'는 무엇을 의미하며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라 불리는 일련의 영화들을 통해서 한국 민족주의는 어떻게 재현되는가? 이러한 의문에 해답을 제공하는 데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의 민 족주의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이미 상당 기간 이루어졌고 연구자간 민족주의라는 큰 맥락에 대해서는 이미 합의된바 또한 적지 않다. 그러나 이론적인 확증이 없는 인상비평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고 몇몇 이론적 논의 또한 대부분 서구 유럽의 민족 형성과정과 이에 토대한 민족주의론에 바탕을 두어 왔다. 이에 한국민족주의 담론이라는 이론적 논의를 추가하여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 속에 내재된 한국의 사회, 문화, 역사적 특수성을 더욱 정확하게 포착하고자 한다. 또한 최근 들어 민족주의를 모티브로 삼지 않은 영화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는 진화 단계에 접어들었고, 이에 진화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하기에 앞서 그것의 원형에 대한 민족주의 담론을 보완 재정립함으로써 향후 기대되는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의 진화론에 초석을 제공하는 데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연구 대상은 한민족의 역사적 특수성을 적확하게 보여주는 <공동경비구역 JSA (2000)>와 <한반도 (2006)>이며 한국 민족주의 담론을 중심으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What is 'nation' and 'nationalism?' What does 'korean nationalism' mean? And how is korean nationalism represented through a chain of films called 'the korean blockbuster fil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to these ques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lockbuster films have been studied for quite a long time and the researchers have agreed with the context about nationalism in a large sense. However, majority of the studies ends up in the journalistic or impressionistic criticism without any theoretical discussion. Few theoretical criticisms also have founded on the formation process of nation of the Western Europe and their nationalism. Hence I would like to add the discourse of korean nationalism and to seize more accurately the social/cultural/historical peculiarity of the korean blockbuster films. In addition, as non-nationalist narratives have recently emerged, korean blockbuster films are entering to the evolution process. On th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seems to exist in providing a cornerstone to the expected evolution theory of the korean blockbuster films by means of complementation and reestablishment of nationalism of their first generation. and , presenting socio-historical peculiarity of the Korean nation, are examined by the close textual analy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