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대항 공론장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Counter Public Sphere during the Early Modern Era in Korea

  • 원숙경 (동의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윤영태 (동의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투고 : 2012.05.31
  • 심사 : 2012.07.16
  • 발행 : 2012.08.15

초록

조선 후기 대항 공론장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역사적, 규범적, 분석적 차원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당시 민(民)을 중심으로 형성된 대항 공론장은 반(半)봉건 반(反)외세적 성격을 띤 하부 공론장의 역할을 함을 발견하였다. 즉, 조선 후기의 대항 공론장은 당시 정치사회적 환경을 극복하고, 생존의 문제를 해결코자 한 반(半)봉건 반(反)외세적 성향이 가진 생동적인 공론장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선 후기 대항 공론장은 지속성을 유지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후 항일운동의 발판이 되었고, 나아가서는 오늘날 민중운동의 이념적 근거가 되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authors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nter public sphere during the late Chosun era based on three dimensions: historical, ideological, and analytical. The counter public sphere during the late Chosun era was a lively communicative sphere where the common people, who resisted the premodern ideas and foreign power, tried to overcome the oppressing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Although the counter public sphere did not continue to grow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era, it provided a basi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ideological ground for the democratic movement today.

키워드